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지난해 대졸 이상 취업률 66.2%로 1.5%P 하락…2011년 이래 최저

송고시간2018-12-27 12: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전문대·일반대 취업률 동반 하락…'문송합니다'도 여전

취업자 평균급여 월 250만원…4명중 3명이 월급 100만∼300만원

채용박람회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채용박람회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지난해 대학·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이 66%대로 떨어지며 2011년 조사 시작 이래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일반대(4년제 대학)는 물론 전문대 취업률도 하락한 가운데 인문·사회계열, 여성, 비수도권 지역의 취업률이 여전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졸 이상 취업률 66.2%로 1.5%P 하락…2011년 이래 최저 - 2

◇ 대졸 이상 취업률 하락…직장인 비율 줄고 프리랜서 늘어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7일 '201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건강보험과 국세 자료를 바탕으로 2017년 2월과 2016년 8월 전국 일반대·교육대·산업대·전문대·각종학교·기능대와 일반대학원 졸업자 57만4천9명의 진로를 전수조사(2017년 12월 31일 기준)한 것이다.

2017년 고등교육기관(대학, 대학원) 졸업자 가운데 취업자는 33만7천899명이었다. 이는 대학원 진학자와 해외이민자 등을 뺀 취업대상자(51만55명)의 66.2%로 전년 조사(67.7%) 때보다 1.5%포인트 낮아졌다.

취업률은 2014년 67.0%를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올랐다가 하락세로 돌아섰다. 공공 데이터베이스(DB)를 바탕으로 한 현행 방식의 조사가 도입된 2011년 이래 취업률이 67%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료 = 교육부 제공]

[자료 = 교육부 제공]

분야별로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직장인)가 30만5천263명, 해외취업자가 2천532명, 1인 창(사)업자 4천740명, 프리랜서 2만 1천528명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비율은 전년 대비 0.8%포인트 줄었고, 프리랜서와 개인창작활동종사자는 각각 0.6%포인트와 0.1%포인트 늘었다.

학제별로 보면 일반대 취업률이 62.6%로 전년 대비 1.7%포인트 하락해 교육대(72.9%/ 11.6%포인트 하락), 기능대(79.5%/ 3.3%포인트 하락)와 함께 평균 이상 하락폭을 보였다.

전문대 취업률 역시 69.8%로 0.8%포인트 낮아졌고, 일반대학원 취업률도 77.7%로 0.6% 하락했다.

각종학교와 산업대 취업률만 각 1.0%포인트와 0.5%포인트 높아졌다.

[자료 = 교육부 제공]

[자료 = 교육부 제공]

모든 계열 취업률이 전년 대비 하락한 가운데 공학계열(70.1%)과 의약계열(82.8%)의 취업률은 평균을 웃돈 반면, 인문계열(56.0%), 사회계열(62.6%), 교육계열(63.7%), 자연계열(62.5%), 예체능계열(63.0%)은 평균에 못 미쳤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대학 졸업자 취업률은 67.5%, 비수도권은 65.4%였다. 둘 사이의 격차는 2.1%포인트로 전년(1.6%포인트)보다 확대됐다.

17개 시·도 가운데서는 인천(69.5%), 충남(68.5%), 경기와 제주(각 68.1%)지역 취업률이 평균보다 높았다.

1.5%포인트 상승한 제주지역을 제외한 16개 시·도의 취업률은 전년 대비 일제히 하락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 졸업자의 취업률은 67.8%, 여성 졸업자는 64.8%로 각 1.2%포인트와 1.6%포인트 하락했다.

성별 취업률 격차(3.0%포인트)는 2014년(3.8%포인트) 이후 2년 연속 줄었다가 지난해 다시 확대됐다.

2017년 졸업자 가운데 직장 취업자(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약 1년(11개월) 뒤 계속 직장인으로 남은 비율(유지취업률)은 78.8%로 전년(76.8%) 대비 2.0%포인트 높아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지난해 고용 상황이 취업률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유지취업률은 높아져 취업의 질은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 평균 월급 250만원…4명 중 3명은 100만∼300만원 받아

교육부는 올해 처음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전공별 취업현황 등 세부 정보도 발표했다.

분석 대상자(30만2천674명)의 월 평균소득은 249만6천원이었다.

계열별로는 의약계열이 283만5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공학계열(279만원)과 사회계열(241만1천원), 자연계열(237만5천원)이 뒤를 이었다. 인문계열은 220만1천원, 교육계열은 207만8천원, 예체능계열은 187만1천원을 기록했다.

취업자의 75.4%(22만8천83명)는 월 평균급여가 100만∼300만원 미만이었다.

월 평균급여가 400만원 이상인 이들의 비중은 공학계열(42.9%)이 가장 높고 100만원 미만 구간의 비중은 사회계열(29.8%)이 가장 높았다.

계열별로 보면 인문(49.4%), 사회(45.6%), 교육(57.4%), 자연(44.8%), 예체능(65.7%) 전공자의 경우 월 평균급여 100만∼200만원 미만 구간 비중이 가장 높았고, 공학(37.1%), 의약(39.6%)은 200만∼300만원 미만 구간이 가장 높았다.

학부 졸업자의 월 평균급여는 약 231만5천원, 대학원 졸업자의 월 평균급여는 약 442만9천원이었다.

취업 준비 기간은 '졸업 전'(35.3%)이 가장 많았고, 졸업 후 3개월 이내(24.7%)가 뒤를 이었다. 졸업 후 12개월 이상 걸렸다는 이들은 10.4%였다.

기업 유형별 취업자 분포를 살펴보면 중소기업(46.6%) 취업자가 절반 가까이에 달했고, 비영리법인(15.7%), 중견기업(11.2%), 대기업(9.8%)이 뒤를 이었다.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공공기관 및 공기업 취업자 가운데서는 공학계열 비중이 높았고, 비영리법인은 의약계열이 높게 나타났다.

산업 유형별로 보면 인문계열은 도·소매업, 사회계열·공학계열·자연계열·예체능계열은 제조업, 교육계열은 교육서비스업, 의약계열은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에 가장 많이 취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는 내년 1월 교육부(www.moe.go.kr)와 한국교육개발원(kess.kedi.re.kr) 누리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cindy@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