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외신속 3·1운동] ⑦ WP "선언문 든 소녀의 손 잘라내"…日편들던 워싱턴 '충격'

송고시간2019-02-18 10: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여학생들, 윌슨 美대통령에 "독립선언 들어달라 세계에 말해달라" 편지 파장

메릴랜드주 신문 "한국의 소녀가 자유를 향한 큰 시위 주도"…유관순 열사 추정

"일본은 '극동의 독일'"…"일본이 말한 것보다 상황 심각하고 시위 퍼져"

전세계 언론이 주목한 3·1 운동
전세계 언론이 주목한 3·1 운동

(서울=연합뉴스) 3·1 운동과 독립선언 소식은 일본의 조직적인 조작과 통제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아시아, 유럽, 남미 등 전세계 신문지면을 장식했다. 사진은 1919년 3월 이후 독립선언과 3·1 운동을 보도한 전세계 신문 지면을 합성한 것이다. 2019.2.15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 편집자주 = "조선 독립 만세".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한반도 전역을 울렸던 이 함성은 '세계'를 향한 우리 민족의 하나 된 외침이었습니다. 한민족이 앞장서 '행동'함으로써 제국주의에 신음하던 아시아·아프리카 식민지의 각 민족을 자각시켜 함께 전 세계적 독립운동을 끌어가자는 외교적 호소였습니다. 강대국의 이권 다툼이 판치던 당시 국제질서는 1차 세계대전 승전국의 자격을 얻었던 일본 편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기고만장하던 일본이 두려워한 것이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국제사회의 여론을 움직이는 외신 보도였습니다. 당시 일본은 3.1운동 초기 보도통제와 '프레임 조작'으로 관련 보도를 막는 데 그야말로 전력투구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의 문제이지, 진실을 감출 순 없었습니다. 독립운동의 산실이었던 중국 상하이(上海)로부터 시작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뉴욕, 워싱턴 D.C.에 이어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 로마, 러시아 모스크바, 브라질 상파울루, 싱가포르로 3·1운동 소식은 요원의 들불처럼 번져나갔습니다. 길지 않은 기사도 많았지만 이에 자극받은 각 식민지 국가에서는 앞다퉈 독립선언문이 나오면서 민족적 독립운동이 촉발됐습니다. 비록 한민족이 '자립'(自立)에는 실패했지만, 외신의 창(窓)을 통해 민족 자결과 독립에 대한 세계의 눈을 뜨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전 세계에 포진한 특파원망을 총동원해 당시 외신 보도들을 발굴해 시리즈로 보도합니다. 지금까지 3·1운동을 보도한 외신 일부가 부분적으로 소개된 적은 있지만, 세계 주요국 별로 보도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발굴해 소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관련기사>

[외신속 3·1 운동] ① 그 날 그 함성…통제·조작의 '프레임' 뚫고 세계로 [외신속 3·1 운동] ② 日언론엔 '폭동'뿐…총독부 발표 '앵무새' 전달 [외신속 3·1 운동] ③ 상하이서 첫 '타전'…은폐 급급하던 日, 허 찔렸다 [외신속 3·1 운동] ④ 韓人 여학생이 띄운 편지, '대륙의 심금'을 울리다 [외신속 3·1 운동] ⑤ 샌프란發 대서특필…美서 대일여론전 '포문' 열다 [외신속 3·1 운동] ⑥ 美 타임스스퀘어에 울려퍼진 독립선언…세계가 눈뜨다

(워싱턴=연합뉴스) 임주영 특파원 = 『우리는 매맞고, 감금되고, 칼에 베이고 찔리고 있습니다…한일합방은 우리의 바람이 아니며 일본의 계략일 뿐입니다…우리의 독립 선언을 들어주시고, 세계 각국에 알려주십시오』(1919년 3월 10일 '조선의 여학생'이 미국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쓴 편지』(참조 [외신속 3·1 운동] ④ 韓人 여학생이 띄운 편지, '대륙의 심금'을 울리다)

일제의 총칼에도 꺾이지 않은 한국 여학생들의 애끓는 '울부짖음'은 마침내 민족자결주의의 본산이었던 미국 워싱턴D.C.에도 당도했다. 일제의 국권침탈과 강압적 식민지배에 저항해 한민족 전체가 들고일어난 3.1운동 소식이 세계 정치·외교의 중심무대로 전해지며 국제적 공론의 장(場)에 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미국은 당시 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 서구 열강의 미주 식민지 붕괴와 함께 19세기이후 일본과 더불어 강대국 반열에 올라섰고 지정학적 공백기에 영향력을 확장하며 서반구의 경제·군사 대국으로 자리매김했다.

3.1운동 관련 소식이 초기에는 미국에 상세히 알려지지 못했다. 지리상 멀리 떨어진 데다 국권을 빼앗긴 이후 일본의 통제를 받고 있는 상황인지라 실상이 외부에 알려지기 어려웠다. 1차 세계대전 승전국의 자격을 얻은 일본이 세계무대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던 국제정치의 냉혹한 현실도 작용했다.

그러나 중국 등 해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의 목소리를 통해 독립운동 소식이 퍼져나갔다. 일본의 설명에만 귀 기울이던 미국에서도 실상을 알리는 보도가 3월 중순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워싱턴포스트 1919년 3월 15일자 1면 [워싱턴포스트 제공]

워싱턴포스트 1919년 3월 15일자 1면 [워싱턴포스트 제공]

미국의 대표적 신문이자 워싱턴에서 발행되는 워싱턴포스트(WP)는 3월 15일자 1면 기사를 통해 3.1운동의 실상을 처음 알렸다.

독립운동이 전국적으로 벌어졌으며 일제는 군대를 동원해 민중을 잔혹하게 탄압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중국 베이징발로 타전된 AP통신 기사를 토대로 했다. '얼굴' 지면인 1면에서 다룬 건 그만큼 이 사안을 중요하게 인식했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기사는 베이징에 온 한국 독립운동 지도자들이 이번 시위는 30만명이 참여한 전국적인 운동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기독교인과 불교 신자, 천도교 신자, 거의 모든 학생이 포함됐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한국 전역에 독립운동이 퍼졌고 4만명이 체포됐다는 점도 언급됐다. 한국의 독립운동은 종교나 세대의 구분을 넘어 민족이 떨쳐 일어선 움직임이라는 사실이 정확히 알려진 순간이었다.

독립운동가들은 또 목표 달성을 위해 무력 사용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기사는 전했다. 일제의 주장처럼 폭력적 시위가 아닌 평화적 운동이라는 점을 밝힌 것이다.

이 기사는 독립운동 지도자들의 육성을 통해 일본의 잔혹한 탄압 실상도 알렸다. 시위 도중 독립선언서를 들고 있던 한 소녀의 손을 일본 군인들이 장검으로 훼손했지만, 소녀는 다른 손에 선언서를 들고 시위를 이어갔고, 그러다 결국 남은 손마저 훼손됐다는 전언이 담겼다. 투옥된 인사들이 고문에 시달린다는 내용도 전해졌다.

이는 당시 외교적 강국이었던 일본을 우호적으로 대하던 미국 조야의 여론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워싱턴 타임스 1919년 3월 15일자 2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 The Washington times. (Washington [D.C.]), 15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4026749/1919-03-15/ed-1/seq-2/>

워싱턴 타임스 1919년 3월 15일자 2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 The Washington times. (Washington [D.C.]), 15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4026749/1919-03-15/ed-1/seq-2/>

물론 같은 날 워싱턴 타임스(1894년 창간, 1939년 워싱턴 헤럴드에 인수합병)의 경우에는 전혀 상반된 분위기의 기사를 실었다.

이 매체는 한국의 독립운동을 '폭동'으로 깎아내렸고 한국인의 정당한 주장인 독립선언을 '일본 정부를 공격하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제의 주권 침탈과 탄압 등 독립을 외치게 된 근본 원인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신문은 3월 15일자 2면에서 '지도자들이 체포되고, 한국인들의 폭동은 멈췄다'(LEADERS ARRESTED, KOREAN RIOTS STOP)는 제목의 기사에서 "서울과 다른 지역에서 거리 시위와 소란이 그쳤다"며 "수많은 폭도가 체포됐고 한국 일부 특히 북부 지역에서 난동으로 약간의 인명 손실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사태는 일본 정부를 공격하는 내용이 포함된 문서가 유통되고 한국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비롯됐다"고 전했다.

이처럼 원인에 대한 진지한 고찰 없이 왜곡 전달로 일관한 보도는 당시 미일 관계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일본은 이미 1853년 미국에 문호를 개방하고 1854년 미 정부와 우호조약을 체결해 무역 거래 등으로 교류해 온 터였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우호국 편들기' 성격의 보도로 비쳐진다.

그럼에도 '팩트'를 전달하는 여타 매체의 사실 보도는 줄줄이 이어졌다.

WP는 같은 달 17일자 1면에서 평양 남부의 서흥에서 일본 경찰이 탄약이 떨어질 때까지 시위대에 총격을 가해 51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성천에서 3.1운동에 이어 후속 운동이 일어났으며 무력 탄압으로 30여명이 숨지고 40여명이 다쳤다는 내용도 담겼다.

3월 28일자 1면에도 일제의 무력 탄압이 이어진다는 내용이 소개됐다.

4월 27일자 12면에는 한국인들이 미국을 비롯해 만주, 일본 등 각지에서 조직적 시위를 펼치고 있다는 내용이 전해졌다.

알렉산드리아 가제트 1919년 3월 18일자 1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 Alexandria gazette. (Alexandria, D.C), 18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5025007/1919-03-18/ed-1/seq-1/>

알렉산드리아 가제트 1919년 3월 18일자 1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 Alexandria gazette. (Alexandria, D.C), 18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5025007/1919-03-18/ed-1/seq-1/>

워싱턴의 알렉산드리아 가제트는 3월 18일자 1면에서 상하이발로 "한국에서 벌어지는 시위는 보고된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며 "바다 건너 도착한 정보에 따르면 한국에서 일어나는 시위는 일본에 의해 보고된 것보다 더 일반적(general)이었다"고 전했다.

이는 일본이 한국의 독립운동을 억누르고 그 의미를 축소하기에 급급했으며, 미국은 일본 측 주장을 받아들여 정확한 실상을 몰랐지만 한국 전역에서 이미 독립운동이 널리 퍼졌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내용이다.

워싱턴 인근 지역지들도 먼 나라 한국의 실상을 알리는 대열에 동참했다.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 1919년 3월 22일자 4면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뉴스페이퍼아카이브닷컴 제공]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 1919년 3월 22일자 4면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뉴스페이퍼아카이브닷컴 제공]

메릴랜드주의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는 한국에서 여성의 역할에 주목한 기사를 내보냈다. 3월 22일자 4면에서 '한국의 미래 여성'이라는 제목으로 평양 감리교 유치원의 여학생들 사진과 함께 독립운동에서 큰 역할을 하는 여성의 활동상을 전했다.

신문은 "며칠 전 한국 소녀가 10년 동안 한국을 통치한 일본으로부터의 자유를 향한 큰 시위를 주도했다"며 이는 '은둔의 왕국'(Hermit Kingdom)에서 여성의 지위가 얼마나 빨리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고 짚었다.

당시 한국에 온 미 선교사들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각급 교육기관을 운영하며 여성 교육과 인재 배출에 기여했다. 신문은 "한국에서 '여성 해방'의 비밀이 여기에 있다"면서 이런 선교사들의 활동도 부각했다.

신문은 '시위를 주도한 소녀'를 자세히 언급하지는 않았다. 서울과 고향 천안(아우내 장터)에서 3.1운동을 이끈 상징적 존재인 유관순 열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부친이 기독 감리교 신앙을 지닌 계몽운동가였고 본인도 감리교 신자였다. 선교사의 주선으로 이화학당에 다니던 유 열사는 독립운동의 주역으로 활동했다.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 1919년 6월 5일자 4면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뉴스페이퍼아카이브닷컴 제공]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 1919년 6월 5일자 4면 [컴벌랜드 이브닝 타임스·뉴스페이퍼아카이브닷컴 제공]

6월 5일자 신문 4면에는 한국 여학생들이 3월 프랑스 파리평화회의에 참석한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과 미 평화대표단에 보낸 편지가 '한국의 소녀들 자유를 향해 외치다'라는 기사로 소개됐다.

한국 여학생들 명의(FROM KOREAN SCHOOL GIRLS)로 된 편지에선 "우리는 모든 나라의 국민이 자유를 찾는다고 들었다"며 "우리 또한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나섰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인은 일본의 총칼에 찔리고 투옥돼 고초를 겪고 있으며 집은 불태워졌고 일요일 교회에 갈 수도 없다고 이들은 말했다.

이어 여학생들은 "우리를 불쌍히 여기고 한국의 독립을 인정할 수 있는가? 일본에 의한 이 끔찍한 박해와 부당한 대우를 중단시켜 줄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들은 한국이 일본의 폭력에 맞설 수 없었고 한국이 일본에 합병을 요청했다는 것은 "일본의 속임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학생들은 "우리의 독립선언을 들어달라. 그리고 이를 세계에 말해달라"고 호소했다.

윌슨 대통령은 3.1운동 태동에 디딤돌이 된 '민족자결주의' 원칙을 천명한 인물이다. 그는 제1차 세계대전 막바지인 1918년 1월에 전후 세계질서 구축의 지침으로 이 원칙을 내세웠다. 이는 어떤 나라의 국민이든 자기 나라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장로교 목사의 아들인 그는 도덕적 명분을 중시했다. 1차대전 참전을 망설이다 잠수함을 앞세운 독일에 연합군이 패퇴하고 독일이 유럽을 지배할지 모른다는 전망까지 나오자 미 안보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이에 1917년 뒤늦게 참전, 막대한 군사력을 지원해 1918년 11월 독일의 항복을 끌어내 연합국 승리에 기여했다.

이후 윌슨 대통령은 민족자결주의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확고히 했고, 불안한 세계질서 속에서 전쟁을 막으려면 장기적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국제연맹'의 필요성을 주창하기에 이른다.

리치먼드 타임스 디스패치 1919년 3월 14일자 2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Richmond times-dispatch. (Richmond, Va), 14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389/1919-03-14/ed-1/seq-2/>

리치먼드 타임스 디스패치 1919년 3월 14일자 2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Richmond times-dispatch. (Richmond, Va), 14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389/1919-03-14/ed-1/seq-2/>

버지니아주 지역신문인 리치먼드 타임스 디스패치도 3월 14일자 2면 상단에 '한국이 일본 군국주의에 저항한다'(KOREA NATION DEFIES JAPANESE MILITARISM)는 제목으로 3.1운동을 전했다. 여기에는 한국이 4천300년의 역사를 지닌 자치 국가이며 독립선언은 2천만 한국인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신문은 15일 1면에서도 '한국에서 유혈사태가 계속되고 있다'는 내용을 알렸다.

리치먼드 타임스 디스패치 1919년 4월 4일자 11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Richmond times-dispatch. (Richmond, Va), 04 April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389/1919-04-04/ed-1/seq-11/>

리치먼드 타임스 디스패치 1919년 4월 4일자 11면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Richmond times-dispatch. (Richmond, Va), 04 April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389/1919-04-04/ed-1/seq-11/>

이 신문은 4월 4일자 11면에선 "일본 군인들이 서울 거리에서 어린 한국 여학생들의 목을 가죽끈으로 묶어 끌고 다녔다"는 미 일간 '새크라멘토 비(Sacramento Bee)' 발행인 V.A. 매클래치의 발언을 전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일본을 '극동의 독일'이라고 했던 제임스 D. 펠란 상원의원(캘리포니아)의 묘사를 뒷받침하는 잔인한 이야기들이 현재 한국에 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 헤럴드 1919년 3월 15일자 8면 기사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The Washington herald. (Washington, D.C), 15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33/1919-03-15/ed-1/seq-8/>

워싱턴 헤럴드 1919년 3월 15일자 8면 기사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The Washington herald. (Washington, D.C), 15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33/1919-03-15/ed-1/seq-8/>

워싱턴 헤럴드는 3월 15일자 8면 기사 일부에서 서울의 독립운동을 소개하며 일본에 대한 시위는 표현의 자유, 청원할 권리, 학교에서 한국어 사용을 제한한 데 대한 저항이라고 전했다.

버지니아주의 로어노크 월드 뉴스는 3월 20일자에 한국과 일본, 만주 등이 그려진 지도 삽화와 함께 '이제 자결(自決·self-determination)을 요구하는 것은 한국'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신문은 "한국에서 가장 똑똑한 300만명이 (파리)평화회의에 자결을 요구하는 청원에 동참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한국의 요구는 독립을 얻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했다. 이 삽화는 그랜드 포크스 헤럴드 등 여타 지역신문에도 실렸다.

캐나다 신문들도 한국의 독립 요구를 알리고 때로 1면에 싣는 등 관심을 보였다. 앨버타의 레스브리지 헤럴드는 3월 13일자에 "독립선언문이 여러 도시의 거리와 마을에서 낭독됐다"며 군중을 향해 경찰이 총검을 들고 다가올 때 돌을 투척해 대항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로어노크 월드 뉴스 등 미 지역신문에 실린 한국과 주변 국가 지도 삽화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Grand Forks herald. (Grand Forks, N.D), 20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5042414/1919-03-20/ed-1/seq-9/>

로어노크 월드 뉴스 등 미 지역신문에 실린 한국과 주변 국가 지도 삽화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제공]Grand Forks herald. (Grand Forks, N.D), 20 March 1919. Chronicling America: Historic American Newspapers. Lib. of Congress.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5042414/1919-03-20/ed-1/seq-9/>

워싱턴 인근 버지니아주 소도시인 로어노크는 한국 독립운동사와도 깊은 인연이 있다. 1842년 설립된 로어노크대학에는 189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많은 한국인이 유학을 왔다. 유학생 상당수는 독립운동가로 큰 족적을 남겼다.

미주 독립운동을 이끈 우사 김규식과 송헌주 선생,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 3명의 한 명인 이위종의 형 이기종, 갑신정변의 주역 서광범 등이 대표적이다. 고종의 다섯째 아들 의친왕(이강)도 수학했다. 의친왕은 3.1운동에 이어 2차 만세 시위 선언서에 조선 왕족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위원장을 맡았던 독립운동가 우사 김규식 선생. 이 친필서명 사진은 미 로어노크대학에서 유학생으로 공부한 김규식 선생이 대학 측에 기증했다. [로어노크대학 제공]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위원장을 맡았던 독립운동가 우사 김규식 선생. 이 친필서명 사진은 미 로어노크대학에서 유학생으로 공부한 김규식 선생이 대학 측에 기증했다. [로어노크대학 제공]

특히 김규식 선생은 1919년 3.1운동 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고 그해 8월 대미 외교를 위해 워싱턴에 설치한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의 위원장을 맡은 미주 독립운동의 상징적 존재다. 그는 1919년 3월 파리평화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고 1944년 임시정부 부주석까지 지냈다. 파리회의 당시 열강의 무관심을 지적하며 울분에 찬 연설을 했다. 부인 김순애 선생도 한국애국부인회 주석을 지낸 부부 독립운동가다.

헤이그 특사 통역이었던 송헌주 선생은 구미위원부 위원으로 활동하며 하와이에서 애국 공채를 발행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아 임시정부 재정을 후원했다.

이처럼 유학파 독립운동가들은 워싱턴을 중심으로 대미(對美) '여론전'에 힘을 쏟으며 조국 독립을 역설했다. 한국에서 들불처럼 번진 독립운동은 중국 등 해외 인사들의 전언을 통해 미국까지 전해졌다. 이에 현지 애국지사들의 노력이 더해져 미국에서도 한국 실상을 정확히 알리는 보도가 늘면서 더 큰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zo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