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대가야 무덤서 그림 토제방울 출토…"건국설화 추정"(종합)

송고시간2019-03-20 14:48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조사단 "남성 성기·거북 등껍데기·춤추는 여자 표현"

그림 실체 두고 학계서 논란 일 듯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나온 토제방울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나온 토제방울

(서울=연합뉴스) 대가야 무덤이 모인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가락국 건국설화를 그림으로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토제방울이 나왔다. 남성 성기, 거북 등껍데기, 관을 쓴 남자, 하늘에서 줄에 매달려 내려오는 자루, 하늘을 우러러보는 사람, 춤을 추는 여자(왼쪽 위 사진부터 시계방향)를 표현했다. [대동문화재연구원 제공]

(고령=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대가야 지배계층 무덤이 모인 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사적 제79호) 아이 무덤에서 가야 건국설화 그림을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토제방울이 나왔다.

고령군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대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영현)은 20일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최근 발굴조사로 찾은 지름이 약 5㎝인 흙으로 만든 방울을 공개했다.

조사단은 문헌으로만 전하는 고대 건국설화를 시각화한 유물이 발견되기는 국내 최초라고 강조했다.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구지봉에서 가야 시조가 탄생했다는 이야기가 경남 김해를 중심지로 삼은 금관가야뿐만 아니라 대가야에서도 전래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자료가 된다.

그러나 그림의 실체를 동물로 볼 수도 있고 그림과 가야 건국설화를 연결 지을 단서가 충분하지 않다는 반론도 있어 향후 학계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토제방울이 나온 무덤은 5세기 후반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소형 석곽묘(石槨墓·돌덧널무덤)다. 길이 165㎝·너비 45㎝·깊이 55㎝이며, 판석으로 벽을 만들고 이중으로 덮개돌을 올렸다. 토제방울 외에도 소형 토기 6점, 쇠낫 1점, 화살촉 3점, 곡옥 1점, 두개골 조각과 치아가 출토됐다. 연구원은 주변에 이 무덤보다 큰 주곽(主槨·으뜸덧널)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나온 토제방울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나온 토제방울

(서울=연합뉴스) 대가야 무덤이 모인 고령 지산동 고분군 아이 무덤에서 가락국기 건국설화를 그림으로 새긴 토제방울이 나왔다. [대동문화재연구원 제공]

무덤 주인공 왼쪽 발치에서 발견된 토제방울에는 그림 6개를 새겼다. 방울 일부는 무덤에 묻기 전에 깨졌으며, 안에는 지름이 1.2∼1.5㎝인 계란형 구슬이 있다. 선은 가늘고 깊지 않아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렵고, 현미경으로 봐야 확인이 가능하다.

연구원은 토제방울 그림이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나오는 수로왕 건국설화와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가락국기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편찬한 가야 역사서로, 책은 현존하지 않으며 일부 내용이 삼국유사에 축약돼 전한다.

가락국기에 따르면 산봉우리인 구지(龜旨)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더니 어디에선가 "너희들은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라. 만일 내밀지 않으면 구워 먹으리'하고 뛰면서 춤을 추어라. 그러면 곧 대왕을 맞이하여 기뻐 뛰놀게 될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들렸다.

이에 '구간'(九干)으로 지칭한 씨족장 9명이 노래하고 춤을 추다 하늘을 보니 자줏빛 줄이 땅에 드리워졌고, 줄 끝에 있는 보자기에 싸인 금빛 상자에서 황금알 6개를 찾았다. 알에서 나온 아이는 쑥쑥 자라서 그달 보름에 왕위에 올라 이름을 수로(首露)라고 했고, 나라 이름을 대가락(大駕洛) 또는 가야국이라고 지었다. 나머지 알에서 탄생한 아이도 각각 가야국 임금이 됐다.

토제방울 그림은 설화에 등장하는 구지봉 혹은 산봉우리로 짐작되는 남성 성기와 거북 등껍데기, 관을 쓴 남자, 춤을 추는 여자, 하늘을 우러러보는 사람, 하늘에서 줄에 매달려 내려오는 자루를 표현했다고 조사단은 해석했다.

토제방울 나온 고령 지산동 석곽묘
토제방울 나온 고령 지산동 석곽묘

(고령=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고령군과 대동문화재연구원은 20일 그림 6개를 새긴 토제방울이 나온 5세기 후반 석곽묘를 공개했다. 토제방울 그림은 가야 건국신화를 표현했다고 조사단은 설명했다.

배성혁 대동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장은 "남성 성기는 가야 건국설화 속 여신 정견모주가 노닐던 고령 인근 가야산 상아덤을 표시한 것으로 생각한다"며 "구지가 연구자 중에는 거북 머리를 수로, 우두머리, 남근, 구지봉으로 해석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거북 등껍데기는 고리 부분을 머리로 인식해 그린 것으로 판단되며, 관을 쓴 남자는 구간(九干)에 해당하는 지도자를 형상화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하늘을 보는 사람은 팔과 발을 간략하게 선으로 그렸으며, 금빛 상자는 잎사귀 모양으로 나타냈다.

배 실장은 "가락국기에 실린 난생(卵生) 설화는 가야 지역 건국신화에 공통으로 나오는 핵심 요소일 가능성이 크다"며 "방울을 만든 대가야 장인은 그가 살던 대가야 시조 탄생설화를 보여주고자 그림을 그렸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치아를 분석한 결과, 무덤 주인은 4∼5세인 어린아이로 추정된다. 일반적인 토기가 나왔다는 점에서 피장자의 신분이 높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며 "토제방울이 발견된 사례가 많지 않아 건국설화 그림을 새긴 방울을 아이 무덤에 넣은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조사단은 토제방울 그림에 대해 발표하면서 "처음에는 우리도 동물이라고 생각했는데, 가락국기와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며 "열흘 정도 기간에 분석한 결과여서 한계를 느낀다. 앞으로 연구할 거리가 무궁무진하다"고 해석의 여지를 남겨뒀다.

현장을 둘러본 이희준 경북대 명예교수도 "그림 하나하나에 대한 사실 검증을 해야 한다"며 "6개 그림 중 한두 개만 다르게 해석해도 전체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 석실묘
고령 지산동 고분군 석실묘

(고령=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고령 지산동 고분군 발굴조사에서 나온 석실묘가 20일 공개됐다.

한편 지산동 고분군 탐방로 조성을 위해 진행한 이번 조사에서는 5세기 말부터 6세기 초 사이에 만든 소형 석곽묘 10기와 석실묘(石室墓·돌방무덤) 1기가 나왔다.

이 가운데 6세기 초에 조성한 석실묘는 고령 지역에서 확인한 가장 이른 시기 횡혈식(橫穴式·굴식) 무덤으로, 무덤방 크기가 가로 2.8m·세로 2.1m·깊이 0.7m다.

연구원은 이 무덤에 대해 대가야 무덤 양식이 수혈식(竪穴式·구덩이식)에서 횡구식(橫口式·앞트기식)을 거쳐 횡혈식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전했다.

psh59@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