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영화 속 그곳] 호텔 뭄바이(Hotel Mumbai)

송고시간2019-08-14 08:01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테러 공격을 받은 타지마할 호텔 전경. 영화 스틸컷.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테러 공격을 받은 타지마할 호텔 전경. 영화 스틸컷.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서울=연합뉴스) 권혁창 기자 = 2008년 11월 26일 밤 9시 30분 인도 뭄바이의 한 철도역 플랫폼. 두 젊은 남자가 배낭에서 소총과 수류탄을 꺼내 기차를 기다리던 승객들에게 무차별 난사를 시작했다.

사람들은 영문도 모른 채 피를 흘리며 쓰러졌다. 철도역뿐이 아니었다. 총 10명이 5개조로 나뉘어 뭄바이의 호텔, 병원, 카페 등에서도 동시다발적인 테러 공격을 가했다. 테러범들은 타지마할 호텔 등 3곳에서 인질극을 벌였다.

대테러 특수부대가 투입돼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걸린 60시간 동안 195명이 죽고 350여명이 다쳤다. 테러범 10명이 소지한 무기와 폭탄의 양은 5천명을 살해할 수 있는 분량이었다고 한다.

테러범들은 타지마할 호텔 안에서도 무차별 총격으로 투숙객들을 살해했다. 이 스틸컷은 테러범들이 교환수들을 위협해 호텔 방으로 전화를 걸어 문을 열도록 유도하는 장면이다.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테러범들은 타지마할 호텔 안에서도 무차별 총격으로 투숙객들을 살해했다. 이 스틸컷은 테러범들이 교환수들을 위협해 호텔 방으로 전화를 걸어 문을 열도록 유도하는 장면이다.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 뭄바이의 자존심

영화 '호텔 뭄바이'(안소니 마라스 연출, 2018)는 전 세계를 경악시킨 뭄바이 연쇄 테러 이야기다. 테러 발생 10주년을 맞아 타지마할 호텔을 중심으로 사건을 스크린에 옮겼다.

타지마할 호텔은 테러범들의 메인 타깃(main target)이었다. 객실 560개, 스위트룸 44개, 직원 수 1천600명의 5성 특급 호텔이라는 수치만으로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인도 최대 도시 뭄바이의 자존심'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면 조금 수긍이 갈까. 최대 토착 기업인 타타그룹(Tata Group) 소유라는 것도 인도인들에게는 의미심장한 일이다.

100% 신빙성 있는 얘기는 아니지만, 타타그룹 창업주인 잠셋지 타타가 영국 식민지 시절 원주민이라는 이유로 뭄바이의 한 대형 호텔에 출입을 거부당한 뒤 건너편에 이 호텔을 세웠다는 일화도 있다.

테러범들이 인질극을 벌인 타지마할 호텔의 직원 아르준(데브 파텔 분)이 투숙객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테러범들의 동태를 살피는 모습. 실제로 당시 타지마할 호텔에는 희생적으로 투숙객들을 구해낸 용감한 직원들이 있었다.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테러범들이 인질극을 벌인 타지마할 호텔의 직원 아르준(데브 파텔 분)이 투숙객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테러범들의 동태를 살피는 모습. 실제로 당시 타지마할 호텔에는 희생적으로 투숙객들을 구해낸 용감한 직원들이 있었다.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한 세기를 거슬러 올라간 1903년 처음 문을 열었으니 100년 인도 근대사의 표징(表徵)이기도 하다.

인도 사라센 양식과 고딕 양식을 혼합한 호텔의 외관은 그 자체로 관광명소다. 이 호텔의 모든 창문은 바다를 향해 있다. 모든 객실에서 바다가 보이는 구조다. 창밖을 보면 배 위에 떠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고 한다.

설립 초기 유럽인들과 인도 왕족, 고위 관료들만 드나들었던 이곳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유명 인사들의 이름이 투숙객 리스트에 올랐다.

소설가 서머셋 모음, 재즈 아티스트 듀크 엘링턴, 팝 가수 마이클 잭슨, 다이애나 왕세자비, 전 미국 대통령인 빌 클린턴·버락 오바마 등 일일이 나열하는 게 무의미할 정도다.

타지마할 호텔 직원 아르준이 테러 상황이 종료된 뒤 살아 돌아와 가족을 만나는 스틸컷.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타지마할 호텔 직원 아르준이 테러 상황이 종료된 뒤 살아 돌아와 가족을 만나는 스틸컷. [에스와이코마드 제공]

◇ 테러의 배후와 배경

테러의 목적은 단순히 상대를 물리적으로 타격하는 데 있지 않다. 폭력이 주는 공포를 피해자뿐 아니라 다른 많은 사람에게 퍼뜨리는 게 테러의 본질이다.

그래서 테러는 늘 무대 위에서 일어난다. 그 무대는 크고 화려하고 뭇사람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수 있는 곳일수록 효과적이다.

뉴욕의 세계무역센터 빌딩이 목표물이 됐듯이 타지마할 호텔에서 일어난 테러에 세계가 집중했다.

당시 호텔 안에는 한국인도 26명이나 있었다. 마침 열린 한-인도 실업인 대회 창립모임에 참석했던 사람들이었는데, 다행히 모두 호텔을 빠져나왔다.

도대체 뭄바이 테러는 왜 일어난걸까. 당시 언론보도에 따르면 테러의 배후는 알-카에다와 연계된 남아시아 최대 무장단체 '라시카르-에-토이바'(LeT)로 지목됐다.

이 단체는 파키스탄의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이다. 인도에는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오랜 갈등이 있다. 파키스탄 펀자브 지역의 심각한 가난도 거론된다.

이 단체가 테러에 나선 데는 카슈미르 지역에서 다수인 힌두교도의 이슬람교도 탄압이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러한 테러의 사회·종교적 배경에 사람들이 점점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테러가 일어났던 타지마할 호텔 앞에서 사진을 찍는 인도 청년들 [EPA=연합뉴스]

테러가 일어났던 타지마할 호텔 앞에서 사진을 찍는 인도 청년들 [EPA=연합뉴스]

테러라고 하면 중동과 이슬람 극단주의만을 떠올릴 뿐, '테러는 무조건 나쁘다'라는 절대 명제 아래 선과 악을 고스란히 테러 피해자와 가해자로 동일시 한 뒤 그 이상은 더 알아보지도, 생각하지도 않는다.

영화 '호텔 뭄바이'는 테러 현장의 긴박감과 현장감이 압권이다. 웬만한 할리우드 장르 영화에 못지않다.

하지만, 이 영화도 테러의 배경에 대해선 당연하게도 불친절하다. 짧은 시간에 이야기를 압축해야 하는 영화가 테러 현장에만 포커스를 맞춘 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관객들이 영화를 보고 난 뒤에도 테러의 배경에 무관심하다면 이는 점차 확산해 가는 다중의 '무사유'에 다름 아니다.

'테러는 무조건 나쁘다'라는 태도만 가지고는 테러와 싸울 수 없다. 오늘날의 테러리즘은 아무런 제약 없이 목표물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제국주의 시대, 반식민주의 투사가 '원흉'을 향해 폭탄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미증유의 폭력을 가해 공포를 확산시킨다. 그리고 누구든 희생자가 될 수 있다는 그 이유만으로 공포는 무한대로 증폭된다.

이를 막기 위해선 테러의 배경과 맥락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환기돼야 한다. 공포의 확산이라는 효과를 노리는 테러 집단은 보편적인 정치적 입지를 갖지 못하고 고립될 때 테러라는 수단의 유혹을 받기 때문이다.

그 집단이 테러리즘을 포기하도록 하려면 테러 외에 그들의 의사를 표현할 다른 수단이 주어지는 게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선 테러의 배후뿐 아니라 배경에도 관심과 조명이 필요하다.

테러로 파괴됐다가 복구된 타지마할 호텔의 내부. [EPA=연합뉴스]

테러로 파괴됐다가 복구된 타지마할 호텔의 내부. [EPA=연합뉴스]

◇ 뭄바이 테러는 치유됐나

타지마할 호텔을 보유한 타타그룹의 계열사 타타호텔스컴퍼니는 뭄바이 테러의 영향으로 그해 순이익이 전년 대비 96% 급감했다.

그러나 타지마할 호텔은 같은 해 12월 부분 개장해 영업을 재개한 데 이어 2천500억원을 쏟아부어 2009년 11월 인질사태로 폐허가 된 헤리티지 윙을 재건했고, 테러 20개월 만인 2010년 8월 인도 독립기념일을 맞아 전면 재개장했다.

뭄바이 테러의 상처는 일단 외형적으로는 치유된 듯하다. 그러나 테러의 배경에 대한 무관심은 결국 더 큰 테러를 낳을지도 모른다.

테러의 악순환은 선악 이분법의 무한 증식을 가져오고, 그런 세상에는 공존이나 대화는 없고 오로지 배제와 투쟁만이 존재할 것이다.

※ 연합뉴스가 발행하는 월간 '연합이매진' 2019년 8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faith@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