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뇌 면역세포 기능상실 원인 찾아…알츠하이머 치료에 기여"

송고시간2019-06-28 00: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대 연구진 성과…학술지 '셀 메타볼리즘'에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알츠하이머 치매는 노인성 치매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 질환은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뉴런)가 손상돼 발병한다고 알려졌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놔 주목된다.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팀은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된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줄일 수 있는 새 방법을 찾았다고 28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실렸다.

뇌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는 뇌 속에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를 분해해 없앨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미세아교세포가 베타 아밀로이드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엔 분해 기능을 잃어버리는 것을 확인했다.

이어 이런 베타 아밀로이드 분해 기능 상실은 세포의 에너지 생산 기능과 관련돼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세포의 대사 과정이 손상되면서 세포 기능의 전체적인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배양접시 속 세포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를 앓는 쥐의 뇌 속 미세아교세포에서도 이런 현상이 관찰됐다.

연구진은 미세아교세포의 에너지 생산을 높이면 다시 베타 아밀로이드 분해 능력을 회복할 수 있으리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했다. 알츠하이머를 앓는 쥐에 대사를 촉진하는 '감마인터페론'을 주입하자,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이 회복됐고 면역기능도 다시 나타났다.

그 결과 쥐 뇌 속에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양도 줄었고 쥐의 인지 능력도 회복됐다. 미세아교세포의 대사 촉진이 신경퇴행성 질환의 새 치료적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셈이다.

묵인희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신경세포가 아니라 뇌 면역세포를 조절해 뇌 환경을 정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며 "앞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타 아밀로이드가 미세아교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베타 아밀로이드가 미세아교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뇌속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가 베타 아밀로이드에 잠시 노출되면 이 물질에 대한 분해 기능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영향을 받을 때는 분해 기능이 사라진다. 서울대 연구진은 이 원인이 세포의 대사 결손으로 인한 것임을 밝혀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s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