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연합시론] 수요집회 1400회, 위안부 피해자 외침 일본만 듣지 못하나

송고시간2019-08-14 10:1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14일은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1천400회를 맞은 날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 공식 국가기념일이 된 후 두 번째로 맞는 기림의 날이기도 하다. 이날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는 기림의 날 기념식이 열리며,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는 27년 전 그날처럼 수요집회가 열린다. 특히 이날 수요집회는 서울과 일본, 호주·영국 등 10개국 34개 도시에서 함께 열린다.

수요집회는 1992년 1월 8일 처음 시작됐다. 1991년 8월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하면서 이 문제가 한일 두 나라는 물론 국제사회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듬해 일본 총리가 방한했을 때 일본의 사과와 법적 배상을 위해 첫 수요집회가 열렸다. 36개 여성단체로 구성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주도했다. 이후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 당시 집회 취소,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때 추모 집회로 대신한 경우를 빼면 수요집회는 27년 7개월간 매주 빠짐없이 열리고 있다.

첫 집회 때는 회원들이 '정신대 사실 진상규명' 등이 적힌 광목옷을 입고 일본대사관 주변을 돌며 위안부 강제연행 사실 인정과 공식 사죄, 피해자에 대한 배상, 희생자 추모비 건립 등을 요구했다. 첫 집회 때 용기를 내지 못했던 할머니들은 7번째 집회에서 적극적으로 증언에 나섰다. 이후 93년 8월 4일 이른바 고노 담화가, 95년 8월 15일 무라야마 담화가 발표되는 등 일본의 식민지배 피해에 대한 진전된 사과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양측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해산과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시작된 일본의 수출규제조치 등으로 두 나라 관계는 최악의 상태를 맞고 있다.

현재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20명이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91세다. 위안부 피해자 운동에 앞장섰던 김복동 할머니는 올해 1월 별세했다. 남아있는 할머니들의 나이로 볼 때 일본이 이들에 대한 직접 사과로 문제를 해결할 시간은 많지 않다.

위안부 문제는 피해 당사자들의 마음이 치유되지 않는 한 해결되기 어렵다. 상처받은 할머니들이 인정할 수 있는 사과와 배상이 뒤따라야 한다. 수요집회는 단일 주제로 세계 최장기간 집회 기록을 매주 경신하고 있다. 그동안 이 집회는 전 세계 인권·평화 문제로까지 확장해갔다. 콩고민주공화국·우간다·코소보 등 내전국의 전시 성폭력범죄 피해자들과도 연대하고 있다. 집회에는 청소년 등 시민참여가 늘었고, 일본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요즘은 규모가 훨씬 커졌다. 일본 일부에서는 한국의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대해 "한국은 금방 식는 나라"라며 비아냥거리는 발언이 나오고 있다. 강점기 당시 일본의 잘못을 모르거나 인정하지 않는 이들은 수요집회가 왜 세계인권과 평화의 상징으로 발전하고 있는지 오늘이라도 깨닫고 스스로 인격과 행동을 되돌아보기 바란다.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