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연합시론] 돼지열병 접경지 확산 비상, 남북이 공동방제 나서야

송고시간2019-09-19 11:2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남북 접경지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비상이다. 경기도 파주시에 이어 연천군에서도 돼지열병이 발생하면서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방역 당국은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경로를 파악 중이지만 발병 농가의 위치 등을 고려해볼 때 북한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북한은 지난 5월 30일 돼지열병 발병 사실을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공식 보고했다. 우리 정부는 돼지열병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남북 간 방역 협력을 거듭해서 제안했으나 북한은 넉 달째 묵묵부답이다.

지난 17·18일 잇달아 돼지열병 확진 판정이 나온 파주와 연천의 돼지 농장은 지리적 공통점이 있다. 두 농장은 북한과 이어진 하천 인근에 있다. 파주 농장은 한강·임진강 합수 지점에 있으며 오두산통일전망대에서 직선거리로 5.2㎞ 떨어져 있다. 북한에서 폭 500여m의 임진강을 건너 한강을 따라 2.3㎞ 거슬러 올라가면 농장에 닿을 수 있다. 북한에서 농장까지 불과 7㎞ 남짓이다. 연천 농장도 북한과 이어진 사미천에서 1㎞가량 거리를 두고 있다. 사미천을 따라 4㎞ 정도 상류로 올라가면 바로 비무장지대(DMZ)다.

두 농장 인근 강과 하천은 모래가 드러날 정도로 수심이 낮아 멧돼지는 물론 여러 육식동물이 쉽게 건널 수 있다. 멧돼지뿐 아니라 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 사체를 뜯어먹은 오소리나 너구리 등이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두 농장이 자리 잡고 있다. 최근 태풍이 북한 황해도 지역에 상륙하면서 접경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 멧돼지나 멧돼지의 분변 등이 떠내려와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전파됐을 가능성도 있다. 방역 당국이 돼지열병 유입경로로 북한을 염두에 두는 이유다. 야생동물을 통해 북한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됐을 경우 김포, 강화, 고양 등 한강과 인접한 다른 지역도 안심하기 어렵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1년 전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하면서 돼지열병과 같은 비상상황에 남북이 공동으로 대처하자며 합의문을 만들었다. 9·19 평양공동선언에는 "남과 북은 전염성 질병의 유입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조치를 비롯한 방역 및 보건·의료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러나 남북관계가 얼어붙으면서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본적인 교류와 협력마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는 북한에서 돼지열병이 발생한 이후 수차례에 걸쳐 방역 협력을 촉구했다. 지난 18일에는 우리측 발병 상황과 방역 협력의 필요성을 담은 통지문을 개성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북측에 전달했다. 그러나 북한이 반응을 보이지 않아 우리 정부는 돼지열병이 북한에서 어떻게 번지고 있는지, 방역 당국의 대처 방안은 무엇이지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돼지열병은 치사율이 100%여서 '돼지 흑사병'으로 불릴 정도다. 백신도 치료제도 없기 때문에 확산 우려가 커 남북 간 협력이 필수적인 사안이다. 돼지열병을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내민 손을 북한은 맞잡기 바란다.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