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가야 금속공예 정수 보여주는 금귀걸이들 보물 된다

송고시간2019-10-23 10:12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문화재청, 가야 유물 5건 보물 지정예고…칼·말갑옷도 포함

함안 옥천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함안 옥천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문화재청 제공]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 = 가야 금속공예 대표작으로 꼽히는 '합천 옥전 28호분 금귀걸이'를 비롯해 1980∼1990년대 출토된 가야 유물 5건이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합천 옥전 28호분과 M4호분, M6호분에서 각각 1쌍씩 출토된 금귀걸이와 M3호분에서 나온 고리자루 큰 칼 4점, 함안 마갑총에서 출토된 말갑옷 및 고리자루 큰 칼을 보물로 지정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국립진주박물관 소장)는 금판 고리를 연결해 길게 늘어뜨린 형태다. 1985년부터 이듬해까지 진행한 경상대박물관 발굴조사에서 발견됐다. 유물은 현존하는 가야의 긴사슬 장식 금귀걸이 중 가장 화려하고 보존상태도 뛰어나다고 평가받는다. 가야의 독창적인 기술을 보여주는 긴사슬 장식 금귀걸이는 5세기 후반∼6세기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다.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왼쪽)·M6호분 출토 금귀걸이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왼쪽)·M6호분 출토 금귀걸이

[문화재청 제공]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쌍과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경상대박물관 소장) 1쌍도 보물 지정 절차를 밟는다.

6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M4호분 금귀걸이는 좌우 한 쌍이 온전한 데다 무덤 주인공이 귀에 달았던 곳에서 발견돼 실제 사용됐음을 짐작게 한다. 가야귀걸이 양식을 대표하는 가늘고 둥근 주고리(세환이식) 아래 공과 나뭇잎, 산치자 열매 모양 장식을 차례로 늘어뜨렸다.

금 알갱이를 테두리에 붙이거나 금선 형태를 만든 누금세공기법과 금판을 두드려 요철 효과를 낸 타출기법이 모두 적용돼 당대 발달한 세공기술을 보여준다.

M6호분 금귀걸이는 1991∼1992년 경상대박물관 발굴조사 당시 목곽 남쪽에 놓인 무덤 주인공 머리 부근에서 발견됐다. 신라 금귀걸이 중간식 형태와 가야 산치자형 끝장식이 결합한 양식으로, 6세기 가야의 교류 양상을 보여준다.

M6호분에서는 이 외에 보관, 목걸이, 고리자루 큰 칼, 화살통, 장식 마구 등이 함께 출토돼 옥전 지역 지배층 무덤으로 추정된다.

합천 옥전 M3호분 고리자루 큰칼 일괄
합천 옥전 M3호분 고리자루 큰칼 일괄

[문화재청 제공]

1987∼1988년 경상대박물관이 발굴한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국립중앙박물관·국립김해박물관·경상대박물관 소장)은 칼 여러 점이 한 무덤에서 나온 첫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손잡이와 칼 몸통 등을 금과 은으로 장식해 삼국시대 동종 유물 중 제작기술과 형태 등이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국립김해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에서는 손잡이 부분을 가는 은선으로 감은 뒤 매우 얇은 금박을 붙인 흔적이 발견됐다. 지금은 사라진 전통적인 금부 기법의 일정으로 보인다.

함안 마갑총 출토 말갑 옷·고리자루 큰 칼
함안 마갑총 출토 말갑 옷·고리자루 큰 칼

[문화재청 제공]

함안 마갑총 출토 마갑옷 및 고리자루 큰 칼(국립김해박물관 소장)은 1992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마갑총 조사 때 발견했다. 무덤 주인공 좌우에 하나씩 놓인 칼은 5세기 아라가야 때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말갑 옷은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온전히 남아 희소성과 완전성 면에서 가치가 높다. 가야인의 철 조련술과 공예기법, 조형 감각뿐 아니라 동북아 철기의 개발·교류 양상 등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aira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