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규모 3.3 지진에 물주입 멈췄다면 포항강진 발생확률 3% 미만"

송고시간2019-11-15 12:13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샤피로 독일 베를린자유대 교수, 15일 국제 심포지엄서 주장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인재'(人災)라는 조사 결과가 올해 초 발표된 가운데 수차례 '전조'를 간과해 강진을 막을 기회를 놓쳤다는 주장이 재차 제기됐다.

인사말 하는 이강덕 포항시장
인사말 하는 이강덕 포항시장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이강덕 포항시장이 15일 서울 중구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열린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9.11.15 ryousanta@yna.co.kr

세르지 샤피로 독일 베를린자유대 교수는 15일 밀레니엄힐튼서울에서 열린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 주최 '2019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에서 "(2016년 12월 23일)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의 발생확률을 1% 미만, (2017년 4월 15일) 규모 3.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 발생확률을 3% 미만으로 낮출 수 있었다"는 의견을 냈다.

다만 그는 "이는 간단한 가정에 기반해 계산한 초기적인 연구 결과"라고 전제하며 "다른 요소를 더 반영해서 연구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샤피로 교수는 이어 "EGS(심부지열발전) 자극 같은 경우 지진 활동을 촉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면서 "스위스 바젤에서 일어난 규모 3.2의 지진이 대표 사례"라고 설명했다.

올해 3월 정부조사연구단은 2017년 포항에서 발생한 강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의 활동으로 촉발됐다고 발표했다. 지열발전소에는 시추공(지열정) 2개(PX-1·PX-2)가 있는데, 조사단은 PX-2로 유체(물)를 주입할 때, 그 영향으로 단층이 어긋나며 강진이 발생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구단장을 맡았던 이강근 서울대 교수는 심포지엄에서 이런 결과를 다시 소개하며 "5차 수리 자극 뒤 포항지진의 전진과 본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조사단의 공식 발표 당시에도 이 강진이 일어나기 전 규모 3.0 내외의 지진이 발생한 것을 '위험 신호'로 포착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당시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진을 막을 기회가 여러 번 있었는데 놓쳤다. 이수(진흙 등이 포함된 물) 누출이나 미소지진 발생 등 문제가 생기면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게 미흡했던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

세르지 샤피로 독일 베를린자유대 교수가 15일 밀레니엄힐튼서울에서 열린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 주최 '2019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에서 발표하고 있다. [촬영 신선미]

s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