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두달여만에 -98% → +2%…비전문가에겐 너무도 가혹한 DLF

송고시간2019-11-17 06:07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손실 확정분 -52.7% vs 향후 만기도래분 예상손실률 -13.3%

DLS·DLF 등 금리파생상품 손실 (PG)
DLS·DLF 등 금리파생상품 손실 (PG)

[정연주 제작]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원금 손실로 물의를 빚은 파생결합펀드(DLF) 상품이 초고위험 파생금융상품의 위력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

같은 상품을 가입한 사람이 사실상 원금 전액을 잃은 지 3개월도 되지 않아 어떤 사람은 1년 정기예금을 넘는 수익을 벌어들였다.

비전문가들은 견뎌내기 어려운 변동성 극한 시장의 실체다.

1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DLF 사태가 불거진 지난 8월 초부터 이달 8일까지 손실이 확정된(만기상환+중도환매) 독일 국채금리와 미국·영국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연계 DLF 상품 2천80억원어치의 평균 손실률은 52.7%다.

평균적으로 원금 절반 이상을 잃었다는 의미다.

독일 국채금리 연계 DLF의 평균 손실률은 62.5%로, 미·영 CMS 금리 연계상품의 손실률 45.9%보다 높았다.

최악의 사례는 지난 9월 26일 만기가 돌아온 독일 국채금리 연동 DLF였다. 우리은행이 판매한 이 상품의 손실률은 98.1%였다.

상품 구조상 원래 원금 전액 손실이 발생했는데 쿠폰금리 등을 받아 그나마 1.9%를 건진 것이다. 1억원을 맡긴 투자자가 190만원을 돌려받는 황당한 상황이었다.

(금융위·금감원 제공)

(금융위·금감원 제공)

반면 두 달 반쯤 뒤인 11월 12일 만기인 독일 국채 금리 연계 DLF 상품에선 2.2% 수익이 발생했다.

최근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1%대에 형성돼 있음을 감안하면 정기예금 금리 이상의 수익을 벌어들인 것이다.

이 상품은 원금 전액 손실의 위험을 피했다는 것만으로도 투자자의 가슴을 쓸어내리게 했다.

지난 8일 독일 국채금리와 미·영 CMS 금리를 기준으로 향후 만기가 도래하는 관련 상품의 평균 손실률을 산출해보면(금리 유지시 가정) 13.3%다. 앞서 손실이 확정된 상품(-52.7%)과 비교하면 손실률이 ¼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독일 국채금리 연동 상품의 8일 기준 손실률은 2.5%로 원금을 거의 회복했다. 앞서 손실이 확정된 독일 국채금리 상품의 평균 손실률인 62.5%와 상당한 격차다.

8일 기준 미·영 CMS 금리 상품의 손실률은 14.1%로 손실 확정 상품의 손실률인 45.9%와 비교하면 ⅓ 수준이다.

우리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연합뉴스TV 제공]

DLF 손실률이 이처럼 롤러코스터를 탄 것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최근 급진전한 영향이 크다.

양국이 1단계 합의에 이를 경우 전세계 교역량이 늘어나면서 글로벌 경기에 훈풍이 불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채권금리 상승에 베팅한 결과다.

연합인포맥스 기준 10년 만기 독일 국채금리는 지난 8월 15일 연 -0.7121%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이달 8일 -0.2593%까지 올라섰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도 8월 15일 연 1.5278%를 기록한 이후 이달 8일 1.9424%로 올랐다.

주요국 국채금리가 단기 바닥을 형성했던 8월 하순이나 9월 하순~10월 초순에 만기가 돌아온 사람들에게 특히 피해가 컸다. 특히 이 기간에 중도환매를 결정한 사람들은 손실에 더해 원금의 5~7% 상당의 중도환매수수료까지 지불해야 했다.

중도환매하지 않고 기다렸다면 손실 상당 부분이 회복되는 상황이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0월 국회 정무위원회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DLF 상품의 이런 급등락 속성에 대해 "갬블(gamble·도박) 같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speed@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