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국내 초미세먼지 32% 중국발…3국 과학자가 연구·합의한 비율"(종합)

송고시간2019-11-20 15:01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환경과학원장 "현재까지 나온 미세먼지 기여율 중 가장 정확해"

한·중·일 3국,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 보고서 발간
한·중·일 3국,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 보고서 발간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 원장이 20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보고서 발간 브리핑을 하고 있다. kjhpress@yna.co.kr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한국 국내 초미세먼지 발생의 30% 정도가 중국에서 왔다는 점을 (한중일 3국 공동연구 보고서가) 인정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20일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 물질 국제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 발간 직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단 간담회에서 공동연구 보고서의 의의를 이렇게 설명했다.

보고서는 한중일 연구진이 각각 분석 모델을 돌려 각국 미세먼지 발생 요인 기여율을 분석한 뒤 산출한 평균치를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연평균 국내 초미세먼지(PM-2.5)의 32%는 중국발로 분석됐다. 국내 요인은 51%, 일본발은 2%로 나타났다.

장 원장은 미세먼지에 대한 책임 공방은 연구 과정에서 배제해 순수하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취지로 연구를 수행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고농도 시기에 국외 요인이 어느 정도나 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빠졌다는 지적이 나왔으나, 장 원장은 미흡하지만 나름의 성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중일이 2000년부터 추진한 연구를 3국 정부가 함께 검토해 발간한 최초 보고서다.

다음은 장 원장과의 일문일답.

-- 공동 연구라고 했지만 한중일의 기여율 연구 결과가 다른데 왜 차이가 있는 건가.

▲ 기본적으로 각국이 각각 연구를 수행한 뒤 모여 결과 발표, 질의응답 등으로 개선 방안을 토론했다. 이번에 제시된 값은 (고농도 시기에 관한 값을 따로 낸 것이 아니라, 연간 전체) 평균값이다. 한국과 일본은 같은 모델 기반이라 결괏값이 유사하고 중국은 다른 모델을 사용했기 때문에 차이가 있었다.

-- 이번 연구 발표로 한중 미세먼지 기여율 논란을 잠재울 수 있나.

▲ 한중 책임 공방은 되도록 배제했다. 국민들이 알고 있는 여러 기여율은 정확한 값이 아닐 수 있다. 이번 기여율은 3국 과학자들이 연구하고 합의한 비율로, 현재까지는 그나마 가장 정확한 값이라 할 수 있다.

-- 그간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 기여율 값을 범위로 제시했는데, 이번에는 연간 전체 평균치로 제시한 이유는.

▲ 고농도, 저농도 시기에 연구 초점을 둔 것이 아니라, 각국이 연중 평균 기여율을 발표하자고 합의했기 때문이다.

-- 국민들 입장에서는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에 국외 요인이 얼마인지가 궁금하다.

▲ 그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선 12월∼3월 미세먼지 기여율을 여러 번 제시했다. 그 발표를 참고하면 연평균보다는 (국외 기여율이) 10∼20%포인트 높아질 것이다.

-- 국내 요인 51%, 중국발 32%, 일본발 2%라면, 나머지 15% 국외 기여율은 어디서 비롯된 것인가.

▲ 대부분 북한을 경유하는 미세먼지로 보면 된다. 몽골, 동남아시아에서 오는 것까지 포함된다.

-- 중국이 지난해 보고서 발간에 이견을 보인 이유는.

▲ 배출량 관련이다. 중국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이 굉장히 줄었기 때문에, 최신 자료를 반영해 발표하자는 뜻이었다. 학회 등에 가보면 중국이 많은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하고, 2014년 대비 2018년 대기오염 물질 배출은 40% 줄였다고 하는데, 중국이 그렇게 작은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4년이라는 단기간에) 40% 감소할 수가 없다. 저희가 생각하기에 숫자(4년 만에 40% 감축)가 맞는지 의문이 있었다. 이번 보고서에 배출량 40% 감축 자료는 포함되지 않았다.

-- 기여율 평균치 발표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 아닌가.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각국 영향력이 어떻게 되는지 이번에 3국이 연구했나.

▲ 국립환경과학원이나 개인적으로도 그 같은 문제점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평균치 발표가 현재 3국이 합의한 내용이다. 2000년부터 추진한 LTP 연구를 그간 외부로 발표한 적이 없고 이번이 처음이어서 굉장히 조심스러웠다. 특히 어디까지 발표할지를 두고 중국이 굉장히 꺼려서 연구진이 설득했고 합의를 끌어낸 게 미흡하나마 이 정도다. 그래도 국내 초미세먼지 발생의 30% 정도가 중국발이라는 점을 3국 공동연구에서 인정한 것이다.

-- 고농도 시기 중국발 영향은 어느 정도라고 볼 수 있나.

▲ 사례별로 조금 다르다. 과학원에서는 고농도 시기 국외 요인 기여도가 70∼80%가 된다고 발표한 적이 있고, 그때 중국 영향이 상당히 많다.

-- 올해 2월에 국립환경과학원이 낸 보도자료를 보면 올해 첫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1월 중순 미세먼지 발생 분석사례를 보면 '국외 영향'이 75% 수준이라고 했는데, 3월 고농도 시기에는 어땠나.

▲ 두 경우가 유사한 것으로 기억한다. 2월 27일부터 3월 초까지 고농도 시기에는 국외 기여율이 80% 정도였다. 그중에서 중국 기여율이 70%포인트 정도 되지 않았나 기억한다.

"국내 초미세먼지 32% 중국발…3국 과학자가 연구·합의한 비율"(종합) - 2

porqu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