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내일부터 마스크·손소독제 매점매석에 최대 징역 2년(종합)

송고시간2020-02-04 18:14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5일 0시부터 4월30일까지 시행…생산자·판매자 대상

정부 합동단속 인원 180명으로 확대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5일부터 보건용 마스크와 손 소독제를 매점매석한 생산자와 판매자는 2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된다.

기획재정부는 보건용 마스크 및 손소독제 매점매석 행위 금지 등에 관한 고시를 5일 0시부터 오는 4월 30일까지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병으로 보건용 마스크, 손소독제 등에 대한 폭리 목적의 매점과 판매 기피 행위를 방지하려는 취지다.

"마스크야 어디에 있니"…세계는 지금 '마스크 대란' / 연합뉴스 (Yonhapnews)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TJNJDt98-UU

앞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매점매석 행위가 있을 경우 이 고시에 근거해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홍남기 부총리
홍남기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3일 오후 서울 강동구의 한 마스크 제조·판매업체를 방문, 간담회를 하고 있다. hihong@yna.co.kr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기재부 장관이 고시를 통해 지정한 매점매석 행위자는 2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을 받는다.

매점매석 행위 금지 적용대상 물품은 보건용 마스크, 손소독제 두 가지이며, 적용 대상자는 생산자와 판매자다.

조사 당일을 기준으로 작년 월평균 판매량의 150%를 초과해 5일 이상 보관하는 행위를 매점매석으로 판단한다.

이와 관련해 작년 신규 사업자는 영업 시작일로부터 조사 당일까지의 월평균 판매량의 150%를 초과해 5일 이상 보관하는 행위, 영업 2개월 미만 사업자는 매입한 날부터 10일 이내 반환·판매하지 않는 행위를 매점매석으로 보기로 했다.

이번 고시 시행에 따라 누구든지 매점매석 행위를 하고 있음을 인지한 경우 주무 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각 시도 신고센터에 신고할 수 있다.

식약처와 각 시도는 신고를 받거나 위반행위를 인지한 때에는 법 위반 여부를 확인하고, 주무부처인 식약처는 시정 명령, 사법당국에 고발 등의 조처를 하게 된다.

기재부는 "정부는 국민 안전을 볼모로 한 시장 교란행위는 절대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최대한 강력히 조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내일부터 마스크·손소독제 매점매석에 최대 징역 2년
내일부터 마스크·손소독제 매점매석에 최대 징역 2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래 고시 지정에는 보름에서 한 달가량이 걸리지만, 정부는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일정을 단축했다.

이를 위해 통상 사흘이 소요되는 규제개혁위원회 심의도 단축해 이틀째인 이날 오후 통과시켰다.

신종 코로나가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는 지난달 말부터 식약처,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120명이 30개 팀을 짜서 90곳에 대해 조사를 벌이는 등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의 부당한 폭리 행위를 합동 단속해 왔다.

정부는 이번 고시 시행에 맞춰 경찰청과 관세청을 참여 시켜 조사 인원을 180명으로 대폭 확대했다.

앞서 경찰은 마스크 등 관련 물품의 매점매석 행위가 심각할 경우 관계기관과 협력하고 기재부에 고발을 요청해 수사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재부는 "매점매석 행위, 담합에 따른 가격 인상 등 불공정 행위, 폭리 및 탈세, 밀수출·매점매석 행위 금지 고시를 위반한 수출 행위 등에 대해 강력 대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표] 매점매석 행위 등 신고 접수처

구 분 담당 부서명 전화번호
식품의약품안전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 02-2640-5057
서울특별시 사재기 등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2133-4891~7
부산광역시 사재기 등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051-888-3381~4
대구광역시 경제정책관 053-803-3231
인천광역시 사재기 등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032-440-4204
광주광역시 민생경제과 062-613-3741
대전광역시 소상공인과 042-270-3672
울산광역시 중소벤처기업과 052-229-2731
경기도 사재기 등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031-251-9898
강원도 경제진흥과 033-249-2850
충청북도 사재기 등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031-251-9898
충청남도 소상공기업과 041-635-3444
전라북도 일자리정책관 063-280-2794
전라남도 사재기 등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031-251-9898
경상북도 일자리경제노동과 054-880-2649
경상남도 사재기 등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031-251-9898
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과 064-710-2513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정책과 044-300-4014

yjkim84@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