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조선왕권 상징' 고종 국새·효종어보, 미국서 귀환(종합)

송고시간2020-02-19 16:07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재미교포 이대수 씨 기증…국립고궁박물관서 내달 8일까지 공개

국새 대군주보·효종어보 '우리 곁으로'
국새 대군주보·효종어보 '우리 곁으로'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어보'(孝宗御寶)가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공개되고 있다. 사진 왼쪽이 국새 대군주보, 오른쪽이 효종어보. 2020.2.19 jieunlee@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조선 국왕의 존엄과 권위를 상징하는 도장 두 점이 미국에서 한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외국으로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어보'(孝宗御寶)를 재미교포 이대수(84) 씨로부터 기증받아 1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했다.

국새(國璽)는 국권을 나타내는 실무용 도장으로, 외교문서와 행정문서 등 공문서에 사용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어보(御寶)는 왕과 왕비 덕을 기리거나 사후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만든 의례용 도장으로 신주와 같다.

조선시대에 국새와 어보는 모두 412점이 제작됐는데, 73점은 소재가 불분명하다. 해방 이후 지난해까지 협상·기증·수사 공조 등을 통해 미국에서 받은 국새와 어보는 약 15점에 이른다.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
국새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

[문화재청 제공]

대군주보는 높이 7.9㎝, 길이 12.7㎝, 무게 4.1㎏이다. 은에 도금했으며, 손잡이는 거북 모양이다. 서체는 구첩전(九疊篆·글자 획을 여러 번 구부려서 쓴 전서체)이다. 거북꼬리 아래에 외국인 소장자 이름으로 짐작되는 'W B. Tom'이라는 알파벳이 있다.

제작 시기는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을 근거로 1882년으로 추정됐다. 고종실록 1882년 5월 23일 기사에는 "교린(交隣)할 때 국서(國書)에 찍을 대군주보(大君主寶)와 대조선국 대군주보(大朝鮮國大君主寶) 국새를 조성하라고 명했다"는 기록이 있다.

대군주보 사용 시기는 188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까지로 파악됐다. 1883년 외국과 통상조약 업무를 담당하는 전권대신을 임명한 문서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대군주 명의로 반포된 법률·칙령 등에 사용한 예가 확인됐다.

조선시대 인장 전문가인 서준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조선은 본래 명과 청이 준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 국새를 썼으나, 고종은 '대군주보' 국새 제작을 지시했다"며 "'보'(寶)는 천자만이 쓴다고 알려진 글자였다"고 설명했다.

서 연구사는 이어 "대군주보에는 개화기 정세 변화에 맞춰 중국을 향한 사대적 외교관계를 청산하고 독립된 주권국가로 나아가려는 생각이 반영됐을 것"이라며 "고종은 이른바 '강화도 조약'을 맺은 1876년부터 대한제국 전까지 외교용 국새 6점을 만들었는데, 이번에 귀환한 대군주보를 제외한 5점은 행방이 묘연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돌아온 '조선왕권 상징' 고종 국새·효종어보
돌아온 '조선왕권 상징' 고종 국새·효종어보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어보'(孝宗御寶)가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공개되고 있다. 사진 왼쪽이 국새 대군주보, 오른쪽이 효종어보. 2020.2.19 jieunlee@yna.co.kr

대군주보와 함께 돌아온 효종어보는 높이 8.4㎝, 길이 12.6㎝, 무게 4.0㎏이다. 손잡이는 거북 모양이며, 재질은 동이지만 금빛을 띤다. 정수리에 임금 왕(王) 자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영조가 1740년 제17대 임금 효종(재위 1649∼1659)에게 '명의정덕'(明義正德)이라는 존호를 올릴 때 만들었다. 서체는 대군주보와 마찬가지로 구첩전이며, '선문장무 신성현인 명의정덕 대왕지보'(宣文章武 神聖顯仁 明義正德 大王之寶)라는 16글자를 새겼다.

효종어보는 사후 1659년, 1740년, 1900년에 각각 제작됐다. 그중 1659년 어보는 사라졌고, 1900년 어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1645년에 만든 '왕세자인'(王世子印) 어보도 분실됐다.

서 연구사는 "1739년 제작한 중종비 단경왕후 금보와 비교하면 제작 기법과 글자 새김이 매우 유사하다"며 "18세기 중반 왕실문화 정수를 보여주는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는 20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실에서 공개된다.

인사말 하는 대군주보ㆍ효종어보 기증자 가족
인사말 하는 대군주보ㆍ효종어보 기증자 가족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어보'(孝宗御寶)의 환수 언론공개회가 열린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증자인 이대수 씨 아들 이성주 씨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0.2.19 jieunlee@yna.co.kr

한편 유물 소유자였던 이대수 씨는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1990년대 후반에 경매를 통해 매입했고, 외국에 떠도는 국새와 어보가 대한민국 정부 재산이자 도난 문화재라는 사실을 인지해 지난해 12월 한국에 기증했다. 기증 과정에서 김형근 미주현대불교 발행인과 신영근 전 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사무처장이 조력자 역할을 했다고 문화재청은 전했다.

이대수 씨 아들 이성주 씨는 반환식에서 "아버지는 귀중한 한국 유물을 볼 때마다 돌아가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더 많은 국새와 어보가 환수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이번 환수는 기증이라는 우호적 방식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행방불명 상태인 어보와 국새에 대한 안내문과 영상 홍보물을 제작해 기증을 통한 환수를 지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psh59@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