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독일 수도사가 수집한 60년전 남성 혼례복 돌아왔다(종합)

송고시간2020-03-05 10:48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상트오틸리엔 수도원, 한국에 기증…"희소성 있는 연구자료"

1960년대 혼례용 단령 앞면
1960년대 혼례용 단령 앞면

[국외소재문화재재단·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독일에서 한국으로 파견된 가톨릭 수도사가 수집한 1960년대 남성 혼례복 단령(團領)이 돌아왔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독일 상트오틸리엔 수도원 선교박물관이 소장한 한국 혼례복 단령을 최근 기증받아 국립민속박물관에 전달했다고 5일 밝혔다.

1960년 전후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단령은 1959년 상트오틸리엔 수도원에서 칠곡 왜관수도원으로 온 보나벤투라 슈스터(한국명 주광남) 수사가 모았다. 상트오틸리엔 수도원과 왜관수도원은 모두 성 베네딕도회 소속이다.

그는 1984년 독일로 귀환할 때 단령을 들고 가 1987년 선교박물관에 기증했고, 1990년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와 수도 생활을 이어왔다.

조선시대 관리들이 평상시에 입던 단령은 혼례 때 쓰기도 했다. 이 단령은 길이가 125.5㎝, 옷깃 뒤쪽에서 소매 끝까지 너비는 76㎝다. 겉감은 비단이지만, 안감은 1960년대에 유행한 인조비단 비스코스 레이온을 썼다.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경제 사정이 나빠지자 제작한 개량 한복으로 보인다고 재단은 설명했다.

복식사 전문가들은 "한국전쟁 이후 민간에서 착용한 혼례용 단령으로, 정식 관복과는 형태상 큰 차이가 있다"며 "오늘날 유사한 옷이 많이 남지 않아 희소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단령 보존처리를 담당한 오준석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직사광선에 오랫동안 노출되고, 좋지 않은 환경에서 보관돼 직물 상태가 좋지 않았다"며 "1960년대 혼례복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960년대 혼례용 단령 뒷면
1960년대 혼례용 단령 뒷면

[국외소재문화재재단·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이 단령은 재단과 민속박물관이 지난해 10월 보존처리를 마치고 공개한 뒤 독일로 곧 돌려보낼 예정인 구한말 단령과 함께 2018년 한국에 들어왔다. 구한말 단령도 독일 신부가 1909년 한국에서 수집했으며, 노르베르트 베버 총아빠스가 1925년 한국에 머물며 촬영한 무성영화 '한국의 결혼식'에 등장했다. 앞서 재단은 2016년 선교박물관 유물 실태조사 과정에서 두 단령을 확인했다.

선교박물관은 2018년에도 조선 후기 보병이 입은 실전용 갑옷인 면피갑(綿皮甲)을 한국에 기증했다. 테오필 가우스 선교박물관장은 1960년대 단령 상태를 고려해 기증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네딕도회 오틸리엔연합회는 그동안 한국 문화재 귀환에 여러 차례 기여했다. 겸재 정선 화첩을 영구 대여 형식으로 돌려줬고, 안드레 에카르트 신부가 한 세기 전에 수집한 식물 표본을 국립수목원에 기증했다. 국내 최초 양봉 교재인 '양봉교지'(養蜂要誌)도 한국에 보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관계자는 "앞으로도 해외 기관 조사를 통해 소중한 우리 문화재를 발굴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psh59@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