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국립발레단 발레리노 "18년 일해도 연봉 4천만원"

송고시간2020-03-18 06: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상위 5% 안에 들어야 입단 가능…30대 중반 은퇴 후 삶은 '팍팍'

"은퇴 후 진로 모색할 수 있는 지원 체계 마련해야"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국내 최고 발레단인 국립발레단에서 비교적 소수인 남성 무용수(발레리노)들은 은퇴 후 어떤 삶을 살게 될까.

18일 학계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강원대 무용학과 이순재의 석사 논문 '국립발레단 남성 무용수의 은퇴 후 환경과 진로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과 재사회화 연구'에는 발레리노의 불안한 삶이 그대로 적시돼 있다.

저자는 국립발레단 전·현직 단원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가운데 은퇴자 10명의 평균 은퇴 나이는 36.4세, 은퇴 당시 평균 발레단 경력은 11.4년이었다.

국립발레단 '백조의 호수'
국립발레단 '백조의 호수'

[연합뉴스 자료사진]

저자에 따르면 국립발레단 입단은 치열하다. 매년 직업무용단의 신규채용 단원은 전국 20여개 시립무용단을 포함해도 100명 미만이다. 해마다 2천여명의 무용 전공 졸업생이 쏟아지는 현실을 고려하면 입단 경쟁은 치열할 수밖에 없다.

특히 무용계의 '삼성'이랄 수 있는 국립발레단이나 유니버설발레단에 들어가려면 적어도 상위 5% 안에는 들어야 한다. 설사 '5% 관문'을 뚫는다고 해도 고생이 끝난 건 아니다. 만만치 않은 '회사 생활'이 기다리기 때문이다.

국립발레단 출신 은퇴자 A씨는 "공연 캐스팅이 안 나오고 발레단 내에서 직장 내 갑질, 무관심, 공격대상이 될 때가 많았다"며 "나 이외에 그런 이유로 은퇴하는 무용수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잦은 부상도 조기 은퇴의 원인이다.

B씨는 "리허설 중 무릎 십자인대가 끊어지는 부상에 종아리 근육 파열 등 크고 작은 부상이 정말 많았다"며 "발레단 생활 3분의 1은 재활로 시간을 보냈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체력 저하, 공연 활동의 한계, 발레에 대한 회의, 입대 등의 이유로 국립발레단 발레리노들은 대개 40대 이전 은퇴한다.

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

[국립발레단 제공]

조기 은퇴자라면 자금이라도 넉넉해야 하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다. 대기업에 견줘 낮은 처우 탓이다.

18년째 근무 중인 C씨는 "초봉 150만원으로 시작해 지금은 300만원 정도 월급을 받고, 공연수당은 5만원으로 시작했으며 지금은 회당 20만원 정도를 받는다. 보너스까지 합치면 연봉 4천만원 수준"이라며 "일반 직장인의 임금에 크게 못 미친다"고 말했다.

직원들 평균연봉은 국립발레단이 공개하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공시된 자료를 토대로 인건비를 인원으로 나눠 계산해보면 2018년 기준 평균 연봉은 3천100만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2018년 근로소득자 평균 연봉(국세청 국세통계연보 기준) 3천650만원을 밑도는 수준인 셈이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 수준 탓에 국립발레단원들은 특강형식으로 사설학원 강의를 다니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세금을 받는 국립발레단원으로서 적절치 않은 처신이라는 비판의 대상이 돼 왔으며 때론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최근 자가격리 기간 특강 등을 진행해 정직 처분을 받은 김모(33) 단원과 이모(29) 단원 사례가 대표적이다.

저자는 국립발레단원들이 은퇴 준비가 미흡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들이 은퇴 후 삶의 진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국가의)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buff27@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