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4·19부터 촛불까지, 비조직·비폭력 혁명 진행"

송고시간2020-03-28 10:3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이완범 한중연 교수, 학술지 '한국학'서 주장

2017년 3월 10일 촛불집회
2017년 3월 10일 촛불집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1960년 4·19혁명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50여 년간 끊어졌다 이어지는 단속적(斷續的) 혁명이 진행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치학 연구자인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연구원이 펴내는 계간 학술지 '한국학' 최신호에 실은 논문에서 "1960년 봄에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기 혁명은 민주화를 열망하는 비조직 민중에 의한 단속적 계승혁명"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4·19에서 86세대·촛불로 이어진 장기 혁명' 논문을 통해 1960년 4·19, 1960∼1970년대 민주화 운동, 1980년 서울의 봄과 5월 광주 민주화운동, 1987년 6월 민주항쟁, 2016∼2017년 촛불 시위를 고찰했다.

그는 "4·19, 6월 항쟁, 촛불혁명은 계승성보다는 단절성이 두드러진다"면서도 "장기적으로 보면 투쟁을 통해 훼손된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국민 주권을 확립해 민주화를 쟁취했다는 점에서는 일관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시기적으로는 '단속적'이지만, 추구한 목표와 이념 지향 측면에서는 '계승적'인 혁명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운동 주도 세력은 1960∼1980년의 자유주의적이고 낭만적인 민주화운동 세대에서 1981년 이후 반미·혁명적 386세대로 교체됐고, 21세기에는 개인주의적 촛불세대가 됐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한국의 장기 혁명에서 확인되는 중요한 특징으로 비조직, 비폭력 양상을 꼽았다.

그는 촛불집회에 나온 수많은 사람이 조직되지 않은 민중이었다고 강조하고, 우리나라 비조직 민중 항쟁 연원을 19세기 이래 발생한 민란에서 찾았다.

이 교수는 "한국에는 러시아 볼셰비키와 같은 치밀한 혁명조직이 없었다"며 "혁명 동력인 민중은 혁명 주체에 비해 비조직화된 형태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혁명의 비폭력 특성에 관해서는 4·19와 광주 민주화운동이 예외일 수 있으나, 두 혁명에서 폭력을 유발한 것은 모두 시민이 아닌 정권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혁명에 폭력을 수반하는 유럽과 한국은 대비된다"며 "한국에서는 정당방위가 아니라 폭력적 반란으로 점화한 봉기는 없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20만 명이 사망한 동학농민운동 실패를 경험한 한국의 혁명 주체들은 부득이하게 자위권을 행사해야 할 경우가 아니라면 폭력적 방법의 사용을 자제해 일종의 '수동혁명'을 수행했다"고 덧붙였다.

psh59@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