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위기의 유료방송…동업자는 옛말, 거세지는 밥그릇 싸움

송고시간2020-07-06 06:05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CJ ENM-딜라이브, LG헬로비전-티캐스트 등 비용·편성 갈등

플랫폼-채널 게임 룰 주도권 다툼 해석…시청자 소외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전면적 새판짜기가 진행 중인 유료방송 시장에서 수익 배분과 편성권을 둘러싼 업계의 갈등이 수면 위로 돌출하고 있다.

방송 플랫폼과 채널 간 새로운 게임의 룰을 정립하기 위한 주도권 다툼이자 방송 시장의 위기감이 반영된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방송 중단에 법정 다툼까지 불사할 정도로 갈등이 격화하면서 시청자만 무시당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서울 마포구 CJ ENM 사옥
서울 마포구 CJ ENM 사옥

[연합뉴스 자료사진]

◇ '블랙아웃' 위협하고 법정 다툼도 불사

6일 유료방송 업계에 따르면 최근 CJ ENM[035760]은 케이블TV와 IPTV 등 유료방송 사업자들에 프로그램 사용료 15~30% 인상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특히 최근 CJ오쇼핑의 송출 수수료 삭감에 반발해 CJ ENM에 지급하는 프로그램 사용료를 '맞삭감'한 딜라이브에 대해선 자사 채널 송출을 중단하는 이른바 '블랙아웃'까지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딜라이브 등은 이런 요구가 과하다고 반발하고 있지만, CJ ENM은 수년간 동결된 사용료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CJ ENM은 엠넷과 OCN, tvN, 온스타일, 올리브 등 16개 채널을 보유한 국내 최대 복수방송사용채널사업자(MPP)고, 딜라이브는 가입자 200만명의 수도권 최대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다.

양측의 갈등으로 200만명에 달하는 딜라이브 가입자가 CJ ENM 전 채널을 못 보게 되는 초유의 사태도 우려되고 있다.

이 밖에도 과거 같으면 내부적으로 봉합됐을 갈등이 올해 들어 줄줄이 공개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최근에는 LG헬로비전[037560]이 자체 평가 결과에 따라 티캐스트의 씨네프 채널 송출을 종료하기로 하자, 티캐스트가 이를 금지하는 가처분신청을 냈으나 법원에서 기각된 일도 있었다.

올 초에도 LG유플러스[032640]와 CJ ENM의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 과정에 또 '블랙아웃'이 거론될 정도로 업계 갈등이 위험 수위에 이르렀다.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 해체된 기존 질서, 커지는 갈등 요인

업계는 최근 수년간 IPTV의 급성장과 잇따른 인수합병(M&A)으로 방송산업 지형이 완전히 재편되는 과정에서 잠재된 갈등이 드러난 것으로 풀이했다.

새로운 시장에 맞는 새로운 룰이 필요한 때를 맞아 저마다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지상파와 종편들이 사용료를 올려받은 뒤 CJ ENM이 공격적 행보에 나선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받아들여진다.

CJ ENM 입장에서는 종편은 물론 모든 시청 지표가 하락세인 지상파에 밀릴 것이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방송 사업자가 계열 채널을 운영하는 구조가 해체된 것도 새로운 갈등 요인이 됐다. 이번 LG헬로비전과 티캐스트의 채널 편성 분쟁이 단적인 예다.

과거 티브로드-티캐스트, CJ헬로비전-CJ ENM 체제에서는 양측이 서로의 사업을 배려하는 관행이 있었지만, 티브로드는 SK텔레콤에, CJ헬로비전은 LG유플러스에 각각 인수된 지금 이런 관행이 설 자리는 없어졌다.

결국 티브로드라는 '우산'이 없어진 티캐스트는 LG헬로비전에서 방을 빼게 됐지만, LG헬로비전은 정당한 절차에 따른 채널 개편이라는 입장이다.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TV 제공]

◇ '내우외환' 방송시장 생존경쟁 격화

갈수록 악화하는 시장 상황이 건설적 경쟁보다 소모적 갈등을 키우는 측면도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방송광고 매출은 3조9억원으로 전년보다 7% 감소했다. 지상파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종합유선방송(SO), 위성방송 등 대부분 업종의 매출이 일제히 감소한 결과다.

그나마 IPTV가 유일하게 매출이 늘었지만, 성장세는 해가 갈수록 둔화하는 추세다.

여기에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광고 시장은 완전히 얼어붙었다. 연중 성수기인 3~5월 특수마저 실종됐다.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글로벌 뉴미디어 공룡들이 국내 시장을 뒤흔들면서 기존 방송 사업자의 위기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업계 분쟁이 잦아지고 커지면서 시청자 권리는 뒷전으로 밀려나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비용 문제나 사업 영역 등 모든 방송 사업에서 조정 필요성이 커졌지만, 시장이 계속 위축되면서 협상의 여지는 오히려 줄었다"며 "이런 때일수록 시청자를 위한 서비스와 정책을 만들려는 협력이 더욱 절실하다"고 말했다.

josh@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