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트럼프 "2018년 러시아 댓글부대 사이버공격, 내가 재가한 것"(종합)

송고시간2020-07-12 02:36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WP 인터뷰서 첫 인정…"나만큼 러시아 거칠게 대한 사람 없어"

"나토 탈퇴 원하지 않지만 공평한 몫 지불 원해…세계주의자 아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 - 러시아 푸틴 대통령 (PG)
미국 트럼프 대통령 - 러시아 푸틴 대통령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서울 워싱턴 =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송수경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18년 미국 선거에 개입한 러시아 댓글 부대를 공격해 무력화한 사실을 공개했다.

1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WP 칼럼니스트 마크 티센과 인터뷰에서 러시아 댓글부대인 '인터넷 리서치 에이전시(IRA)'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지시했느냐는 질문에 "맞다"고 인정했다.

그는 당시 러시아의 선거 개입과 관련한 정보를 토대로 사이버 공격에 대한 행동에 들어갔으며 이로써 "(개입을) 중단시켰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앞서 러시아 댓글부대에 대한 WP의 2018년 보도 내용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한 것이기도 하다. 티센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러시아 IRA에 대한 은밀한 사이버 공격을 재가했다는 것을 처음으로 인정했다고 전했다.

IRA는 2016년 미 대선, 2018년 중간선거에 각각 개입해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꾀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차단하고자 사이버 공격을 승인했다는 게 당시 보도의 골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당시 사이버 공격은 전 세계에 걸쳐 추진됐던 보다 광범위한 러시아 대응 정책 중 하나였다고 밝히고 "나만큼 러시아를 거칠게 대한 사람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서른 가지 다른 사례들도 제시할 수 있다"며 러시아 가스관을 독일로 연결하는 노드 스트림 2 건설 중단 압박 등을 그 예로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에 맞서기 위한 최대 조치로 군 재건을 꼽았다고 티센이 전했다.

그는 "나는 우리의 군을 재건했다. 우리는 최신의 군을 보유하게 됐다. 이는 러시아에 좋은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대선 전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러시아가 장난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가짜 여론조사들을 토대로 민주당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이 이길 것으로 생각한 나머지 그에 대해 아무런 이야기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러시아를 상대로 추가 제재를 내놓고 있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 대통령과는 "실제로 매우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가들에 대한 방위비 증액 압박 성공을 자랑하며 "나토의 목적이 무엇인가. 러시아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노력 덕분에 8개 나토 동맹국이 국내총생산(GDP)의 2%를 방위비로 쓰겠다는 약속을 이제 충족하고 있다면서도 2%는 너무 적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돈을 제대로 내지 않으면 나토를 탈퇴할 것이냐는 나토 동맹국들의 질문에 압박 차원에서 "그렇다. 나는 떠날 것"이라고 답했었다는 취지의 언급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실제 나토를 탈퇴할지 여부에 대해선 "아니다. 나는 떠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그들이 그들의 공평한 몫을 지불하기를 원한다"고 답했다고 티센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독 미군 감축과 관련해 독일에서 빠지는 1만명가량의 미군 중 절반은 본국으로 돌아가고, 나머지 절반은 폴란드를 포함한 2개국으로 재배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 및 시리아 철군에 왜 그리 완강하냐는 질문에 즉답하지 않으면서도 "나는 분명히 세계주의자(globalist)가 아니다. 나는 세계주의자들이 지금 인기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우리가 세계주의자였을 때 모든 이들에게 패배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대미 사이버 작전이 러시아를 능가하지만, 자신이 집권하기 전까지 민주당과 그의 후원자들이 모두 중국에서 많은 돈을 모아들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국 문제는 주목을 덜 받았다는 주장도 폈다.

hanksong@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