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감기 앓고 코로나19 걸리면 증상 경미할 수 있다"

송고시간2020-08-05 15:4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T세포 '면역 교차반응' 연구 결과 잇따라 나와

독·미 연구팀, 1주일 사이 '네이처'·'사이언스'에 논문

신종 코로나 감염 세포
신종 코로나 감염 세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세포를 색채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
많은 바이러스 입자(적색)가 세포(청색)에 달라붙어 있다.
[미 NIAID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감기는 아주 흔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감기에 걸린다고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런데 감기를 앓고 나면 우리 몸의 면역 기억에 감기 코로나바이러스가 남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가 침투해도 가벼운 증상에 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또 나왔다.

감기 코로나바이러스를 알아보는 '도움 T세포'(helper T cells)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인지하는, 이른바 면역 교차반응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확정적인 증거가 부족한 이 가설이 관심을 끄는 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중증도 차이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수행한 미국 라호야 면역 연구소(LJI) 과학자들은 5일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LJI의 다니엘라 바이스코프 교수는 "감기 코로나바이러스를 기억하는 T세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정확한 분자구조까지 교차 인지한다는 걸 일부 환자에게서 확인했다"라면서 "같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라 해도 어떤 사람은 심하게 아프고 어떤 사람은 증상이 경미한 이유를 이 가설로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른다"라고 말했다.

바이스코프 교수와 함께 함께 연구를 이끈 알레산드로 세테 교수는 최근, 같은 연구소의 쉐인 크로티 교수와 함께 흥미로운 논문 하나를 저널 '셀'(Cell)에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된 적이 없는 미감염자의 40% 내지 60%가 신종 코로나에 반응하는 T세포를 갖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들 미감염자의 면역계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입자의 단백질 조각을 알아봤다. 그 후 네덜란드, 독일, 영국, 싱가포르 등에서 유사한 사례가 잇따라 보고됐다.

LJI 과학자들은 앞서 감기에 걸렸을 때 면역 기억(immune memory)을 가진 T세포가 생겼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후속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엔 정확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입자의 어느 부위에서 T세포 교차반응이 일어나는지까지 확인했다.

신종 코로나 미감염자에게 생기는 기억 T세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6개 유형의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에 동등하게 반응했다.

감기 바이러스와 싸우는 과정에서 T세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입자의 일부를 알아보게 학습이 이뤄졌을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세티 교수는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공유하는 매우 유사한 시퀀스를 기억 T세포가 알아본다는 걸 시사하는 매우 강력하고 직접적인 증거"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T세포가 표적으로 삼는 지점은 서로 달랐다.

교차 반응 T세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겨냥했지만, 기존의 면역 기억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다른 단백질을 향하게 T세포를 유도됐다. 한편 지난달 하순에도 독일 베를린 샤리테 의대와 막스 플랑크 분자 유전학 연구소(MPIMG) 과학자들이, 감기 코로나바이러스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일종의 교차반응을 일으킨다는 요지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공동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 68명 가운데 35%인 24명의 혈액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알아보는 기억 T세포(memory T-helper cells)를 분리했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사이언스'와 함께 과학 저널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cheo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