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벽돌보다 더 벽돌 같은 그림…김강용 성곡미술관 회고전

송고시간2020-08-11 14: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김강용 화백이 성곡미술관에서 열리는 회고전에서 최초의 모래 벽돌 작업 '현실+장 76-15' 앞에 섰다.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김강용 화백이 성곡미술관에서 열리는 회고전에서 최초의 모래 벽돌 작업 '현실+장 76-15' 앞에 섰다.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캔버스에 벽돌이 빼곡하게 쌓였다. 실제 모래를 발라 그린 벽돌 회화다. 반짝이는 모래 입자와 입체감이 살아있는 세밀한 재현으로 눈앞의 벽돌이 손에 잡힐 듯하다. 그림인 줄 알면서도 만져서 확인해보고픈 충동이 인다.

서울 광화문 성곡미술관에서 오는 13일 개막하는 '벽돌 작가' 김강용(70)의 대규모 회고전이다. 미술관이 지난 10여년간 이어온 '한국원로작가 초대전'의 하나로 마련했다.

'김강용: 극사실적 벽돌'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작가가 1970년대 청년 시절부터 최근까지 작업한 주요 작품 160여점을 선보인다.

홍익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작가는 1970년대부터 모래를 회화 재료로 도입해 극사실적 기법으로 벽돌을 그려왔다.

1976년 첫 모래 작업인 '현실+장 76-15'를 선보인 그는 1978년 일상의 사물과 현실에 관심을 둔 '사실과 현실'을 결성해 극사실적 미술을 시도했다.

1970년대 '현실+장' 연작에서는 사회적 현실과 공간적 특성을 강조하며 시대를 표현했다.

전시장에서 만난 작가는 "처음 모래를 쓸 때는 모래가 모여 벽돌이 되고 건물이 되듯, 한 사람 한 사람이 모여 사회와 국가를 이룬다는 의미로 인간의 존엄성을 은유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1990년대까지 흙과 모래로 새로운 실험을 계속한 김강용은 2000년대 들어서는 모래 벽돌의 재현을 넘어 다양한 조형적 변화를 모색했다.

2000년대 이후 제작된 '현실+상' 연작에서 벽돌은 모사 대상이 아니라 화면의 구성요소가 된다. 진짜 벽돌을 보는 듯한 리얼리티는 여전하지만, 벽돌 이미지는 어느 순간 화면에서 추상적 존재로 탈바꿈한다. 구상과 추상이 조화를 이루고, 기하학적인 화면 분할도 나타난다.

김강용은 "점, 선, 면으로 이뤄진 조형미를 화두로 삼는 지금은 가장 근원적인 요소인 모래알을 하나의 점이라는 의미로 쓴다"라며 "여기에 작가의 행위로 선을 가미하면, 화면의 나머지는 면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는 벽돌을 그렸지만, 이제 벽돌을 그리지 않는다"라며 "모래를 펴 바르고 선을 그어 그림자를 그리면 벽돌처럼 보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작가의 작업은 모래 채집부터 시작된다. 강변 모래부터 동해안, 서해안 등 전국 각지 모래가 모두 빛과 굵기, 질감이 다르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천연석과 대리석을 갈아 만든 색감이 있는 규사, 공업용 규사도 사용해 더 다채롭게 화면을 구성한다.

김강용은 "모래 벽돌은 나만이 할 수 있는 독특한 것이어서 더 몰입하고 희열을 느낀다"라며 "누구도 하지 않는 작업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9월 20일까지.

김강용 '현실+상 1811-1666', 2018. Mixed media, 200x200cm [성곡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강용 '현실+상 1811-1666', 2018. Mixed media, 200x200cm [성곡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doubl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