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태국 '정치적 금기' 군주제 개혁·반정부 집회 향배는

송고시간2020-10-01 08:08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개헌 연기·총파업 성패 여부 변수…젊은층 지지 타나톤 행보 주목

태국 왕궁 옆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 2020.9.19
태국 왕궁 옆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 2020.9.19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2020.09.20 송고]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태국에서 지난 9월은 반정부 집회의 열기가 뜨거웠던 달로 기록될 법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끊겼다가 ▲의회 해산 및 새 총선 실시 ▲군부 제정 헌법 개정 ▲ 반정부 인사 탄압 중지를 내걸며 7월 중순 재개된 반정부 집회는 9월 들어 목소리를 더 키웠다.

간헐적으로 나오던 '정치적 금기' 군주제 개혁 주장도 본격화했다.

방콕 도심 왕궁 옆 광장에서 2014년 쿠데타 이후 최대 규모인 3만명가량이 참석한 가운데 19~20일 열린 반정부 집회는 상징적 장면이었다.

이 때문에 태국에서 군주제 개혁 및 반정부 집회의 동력이 10월에도 유지될지를 주목하는 이가 적지 않다.

개헌 투표와 관련된 논의가 진행 중인 태국 의회. 2020.9.24
개헌 투표와 관련된 논의가 진행 중인 태국 의회. 2020.9.24

[AP=연합뉴스]

반정부 집회의 핵심 요구 중 하나인 개헌은 암초를 만난 상황이다. 그래서 이 사안이 어떻게 흘러갈지가 10월 정국 흐름을 가를 관건 중 하나다.

애초 태국 의회는 지난달 25일 정부안 1개와 야당 안 5개 등 6개 개헌안을 놓고 표결을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막판 전원 친정부 인사들로 구성된 상원의 반대로 개헌안을 논의할 특별위원회 구성안만이 의결됐다.

개헌을 위한 의회 투표는 최소 한 달 이상 뒤로 밀릴 것으로 전망된다.

당시 의회 앞에서 개헌 촉구 집회를 열었던 반정부 세력 지도부는 10월에 집회를 열어 의회를 압박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여권이 개헌 반대가 아니라 더 면밀하게 들여다보자는 것이라고 주장하면 이를 반대할 명분도 크지 않다는 점은 고민이 될 수 있다.

반정부 세력이 추진 중인 전국 규모 총파업이 얼마나 호응을 얻을지도 10월 정국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19~20일 1박2일 반정부 집회에서 대규모 인원을 모은 반정부 세력 측은 여세를 몰아 오는 14일 전국 차원의 총파업을 추진 중이다.

1973년 10월 14일의 민중봉기를 기념하는 차원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코로나 사태로 안 그래도 경기가 침체일로인 상황에서 총파업 요구가 얼마나 설득력을 얻겠느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왕궁 옆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 참석한 타나톤 중룽르앙낏 전 퓨처포워드당 대표.
왕궁 옆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 참석한 타나톤 중룽르앙낏 전 퓨처포워드당 대표.

[AFP=연합뉴스]

반(反)기득권 세력의 중심이었던 타나톤 중룽르앙낏 전 퓨처포워드(FFP)당 대표의 행보를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FFP는 지난해 3월 총선에서 젊은 층의 압도적 지지로 제3당으로 떠오른 뒤 쁘라윳 짠오차 정부와 군부를 강하게 비판해 와 여권의 '눈엣가시'가 됐다.

결국 2월 헌법재판소의 강제 해산 판결로 공중 분해됐다. 젊은 층이 반발하며 반정부 집회의 불길이 일었지만, 코로나 사태로 동력을 잃었었다.

잠잠했던 타나톤 전 대표는 최근 반정부 집회 정국에서 다시 목소리를 내고 있다.

19일 사남 루엉 광장 집회에도 참석한 그는 해외 언론을 공략하는 모습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및 일본 교도 통신과 인터뷰에서는 민감한 군주제 개혁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군주제 개혁은 수십년간 대중 의식 속에 있었지만, 아무도 감히 그 문제를 제기하지 못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다만 개헌 등과 달리 군주제 개혁 요구는 기득권층에 '반격의 빌미'를 줄 수 있는 양날의 칼이라는 점에서 쉽사리 확산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런 가운데 반정부 집회 핵심 지도부가 왕실모독죄 위반 혐의로 고발되고, '국왕은 존경받아야 하고 (권위가) 훼손돼서는 안 된다'는 헌법을 어겼는지를 가려달라는 헌법 소원도 제기돼 경찰이나 헌법재판소가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도 정국 흐름에 변수가 될 수 있다.

south@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