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공공분야 사이버공격 시도 하루 162만건…2016년의 4배"

송고 2020년11월03일 17시11분

공격 주체는 주로 '북한'…국회의원 해킹시도 정황도

국정원 "기술 유출 5년간 20조원…연봉 9배, 자녀 명문대 입학 제의도"

국가정보원 국정감사
국가정보원 국정감사

(서울=연합뉴스) 3일 오전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국회 정보위원회의 2020년도 국가정보원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은 국정원 로고. 2020.11.3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강민경 홍규빈 기자 = 국정원은 "올해 국가 공공분야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가 하루 평균 162만 건"이라고 밝혔다.

국정원은 3일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에서 "하루 기준 사이버 위협이 2016년의 41만 건과 비교해 약 4배 급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전했다.

해킹 공격의 주체는 북한이 가장 많았고, 수법으로는 메일 유포가 84%에 육박했다.

공격 목적의 80%는 정보 절취였다.

김 의원은 "올해는 특히 국회의원 및 보좌관, 자문위원 등 국회 주요 인사에 대한 해킹 시도 정황이 포착됐다"며 "관계 기관에 조치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IT 업체 등에 대한 전산망 구성도 절취, 내부자료 암호화 후 가상화폐 요구 등의 수법이 발견됐다고 국정원은 밝혔다.

경쟁국의 기술 유출 시도 및 피해 현황도 보고됐다.

국정원은 "최근 5년간 국가 핵심 기술 유출 31건을 포함해 총 123건의 해외 기술 유출이 적발돼 차단했다. 30여 건 기술 유출의 예상 피해액은 약 20조 원"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83건으로 가장 많았다. 유출 기업은 전기·전자와 조선, 디스플레이 등 수출 사업에 집중됐다.

피해 기업 중 65%는 예방책 마련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기업이었다.

국정감사 시작 기다리는 박지원 국정원장
국정감사 시작 기다리는 박지원 국정원장

(서울=연합뉴스) 박지원 국정원장이 3일 국정원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원 국정감사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왼쪽부터 김상균 1차장, 박 원장, 박정현 2차장, 김선희 3차장. 2020.11.3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기술 유출의 수법은 한층 다양화됐다.

국정원은 "고액 연봉의 3~9배의 연봉을 부르거나, 고급 기술자의 자녀를 중국의 명문대에 보내주고 장학금 지원까지 미끼로 쓴다"고 설명했다고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밝혔다.

또 "기술 컨설팅 혹은 국내 기술 유출 목적으로 위장 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한다"며 "국정원의 추적을 회피하기 위해 제3국에서 면접을 보고, 다크웹을 통해 (기술을) 거래한다"고 설명했다.

kmk@yna.co.kr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제보

핫뉴스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

    랭킹뉴스

    D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