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여전히 '혼잡한' 응급실…권역응급센터 병상 포화도 65.6%

송고시간2020-11-27 06: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2019년 응급의료기관 평가…치료 시급한 중증환자 평균 6시간 머물러

법정기준 충족 94.5%로 작년보다 개선…미충족 22곳에는 과태료 등 행정 조처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시설이나 인력 확충 등을 통해 응급의료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혼잡한 응급실 상황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은 27일 전국 응급의료기관 399곳의 응급의료 서비스 수준을 평가한 '2019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약 1년간 운영한 내용을 다뤘으며 권역응급의료센터 35곳, 지역응급의료센터 125곳, 지역응급의료기관 239곳 등 399곳을 대상으로 했다.

평가 결과,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인력·장비 등 응급의료기관의 법정 기준을 모두 충족한 응급의료기관은 총 377곳으로, 전체의 94.5%를 차지했다.

2018년 평가(91.0%)와 비교하면 3.5%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기준을 충족한 권역응급의료센터는 29곳에서 33곳으로, 지역응급의료센터는 114곳에서 121곳으로, 지역응급의료기관은 222곳에서 223곳으로 전년 대비 모두 늘어났다.

전담 의사 또는 전문의, 전담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평균 환자 수 역시 개선됐다.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일하는 전담 전문의 1인당 일평균 환자 수는 2018년 14.1명에서 2019년 13.4명으로 줄었다. 지역응급의료센터 역시 14.9명에서 14.0명으로 감소했다.

응급실 혼잡도를 나타내는 과밀화 관련 지표는 개선됐으나, 큰 폭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내원 환자 수와 재실 시간을 고려해 병상 이용률의 과밀 정도를 계산한 '병상 포화 지수'를 보면 지난해 권역 응급의료센터의 경우, 65.6%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년(68.0%)보다는 포화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는 44.1%에서 46.1%로 포화 지수가 2%포인트 상승했다.

응급실 과밀화 관련 지표
응급실 과밀화 관련 지표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더욱이 치료가 시급한 중증환자가 응급실에 머무르는 시간은 평균 6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증상병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한 뒤 퇴실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살펴보면 권역응급의료센터가 5.9시간, 지역응급의료센터가 6.1시간 등으로 6시간 내외였다.

다만, 중증 응급환자를 적정 시간 이내에 전문의가 직접 진료한 비율은 권역응급의료센터가 83.1%, 지역응급의료센터가 90.3% 등으로 모두 전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이번 평가 결과, 필수 영역인 지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C등급'을 받은 응급의료기관 22곳에는 관할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등 행정조처를 내렸다.

평가 종합등급 및 관련 지표 결과에 따라 각 의료기관에는 올해 응급의료수가가 차등 적용 중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 결과, 응급의료기관의 법정 기준 충족률이 상승하고 전담 인력 확보 수준이 개선되는 등 응급의료기관의 기본 인프라가 갖추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향후 인프라 부분은 지역별 격차 등 세부적 관리에 중점을 두는 한편, 이러한 개선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응급의료서비스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ye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