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이슈 컷] 일회용 빨대·즉석밥 용기는 재활용이 안 된다고요?

송고시간2020-11-30 07:0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kervuFfBo8A

(서울=연합뉴스) 한국에서 1년간 쓰는 플라스틱 컵 33억 개, 비닐봉지 235억 개, 생수 페트병은 49억 개.

우리 생활 속에서 분리배출이 일상화된 지 오래지만 과연 재활용은 잘되고 있을까요?

일회용 빨대, 즉석밥 그릇, 플라스틱 포크.

다음 중 재활용이 가능한 물건은 어떤 것일까요?

정답은 "모두 재활용이 안 된다"입니다.

그동안 분리수거함에 넣어 왔던 컵라면 용기와 일회용 포크, 즉석밥 용기, 종이컵, 일회용 빨대 등은 재활용이 안 되는데요.

이들이 재활용될 수 없는 대표적인 이유는 '크기'와 '소재' 때문입니다.

일회용 빨대나 포크처럼 크기가 너무 작거나 컵라면 용기, 종이컵처럼 두 가지 이상 소재가 섞인 경우엔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려야 합니다.

물론 '세척 여부' 역시 중요합니다.

음식물이 담겨 있던 용기의 경우 제대로 세척이 돼 있지 않으면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종이류의 경우 비닐이 코팅된 종이는 재활용이 안 되고 유리류도 내열유리는 재활용이 안 된다"며 "시민들은 플라스틱도 다 재활용이 되는 줄 알고 있는데 칫솔이나 볼펜, 빨대 같이 부피가 작은 플라스틱은 선별장에서 선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재활용이 안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아직도 분리배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은 시민들의 잘못만은 아닌데요.

40대 회사원 A씨는 "즉석밥 그릇 뒤에 재활용 마크도 있는데 재활용이 안 된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말했는데요.

일회용 종이 빨대는 마치 재활용이 될 것 같지만, 일회용품에다 크기도 작아 선별 과정에서 쓰레기로 분류됩니다.

단순히 플라스틱과 병을 배출한다는 사실보다 무엇이 재활용이 되고 안 되는지에 대한 충분한 계도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오는데요.

기업의 문제도 있습니다.

재질이 단순할수록 분리배출이나 재활용이 수월한데 꼭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복합 재질을 사용하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홍 소장은 "복합 재질은 현재 재활용이 안 되고 있으니까 재활용이 될 수 있는 재질로 단순화하고 그렇게 재질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 거죠"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코로나19로 인해 배달음식 소비가 늘면서 쓰레기도 폭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환경부는 재활용품의 겉면에 '라벨을 떼서', '깨끗이 씻어서' 등 분리배출 방법을 표기할 예정입니다.

다음달 25일부터는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전국 모든 아파트에서 투명 페트병은 따로 배출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올해 25주년을 맞이한 분리배출 제도.

힘들여한 분리수거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지 않도록 관련 기관의 홍보와 더불어 기업과 소비자의 의지 역시 중요해 보입니다.

전승엽 기자 강지원 인턴기자 주다빈

[이슈 컷] 일회용 빨대·즉석밥 용기는 재활용이 안 된다고요? - 2

kiri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