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현장 In] 해운대 청사포 풍력단지…주민들 '결사항전'에 난항

송고시간2020-12-29 14:23

beta
세 줄 요약

부산 해운대 청사포 앞바다에 대형 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내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자체와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29일 부산 해운대구 등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하는 민간업체 '지윈드스카이'는 청사포에서 1.2㎞ 떨어진 앞바다에 100여m 높이(해수면 기준) 풍력발전 터빈 9기를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이 가시화할수록 주민과 지자체 반대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 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1.2㎞ 바다 터빈 9기 설치…사업 가시화에 해운대구 "절대 불가"

전국 풍력단지 곳곳 마찰…이익공유·주민참여 통한 제주 사례 주목

제주 탐라 해상 풍력단지
제주 탐라 해상 풍력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부산 해운대 청사포 앞바다에 대형 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내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자체와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29일 부산 해운대구 등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하는 민간업체 '지윈드스카이'는 청사포에서 1.2㎞ 떨어진 앞바다에 100여m 높이(해수면 기준) 풍력발전 터빈 9기를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발전기에서 매년 생산되는 전기는 40㎽ 규모로 알려졌다.

2017년 정부가 탈원전 정책의 하나로 고리원전 1호기를 폐쇄하면서 신재생 에너지가 주목받았을 때 해당 업체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최근 대통령의 탄소 제로 선언이나 그린뉴딜 정책으로도 힘을 받는 상황으로 전해졌다.

사업자는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등을 해운대구청으로부터 받은 뒤 터빈 설치에 나설 계획이다.

해당 업체는 기장 앞바다에도 60기의 터빈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이 가시화할수록 주민과 지자체 반대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 있다.

해운대구청
해운대구청

[촬영 조정호]

해운대구는 "주민 동의 없는 청사포 해상 풍력 사업은 절대 불가하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사업이 추진될 해상 부지는 어업 보호 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변경 절차가 필요하고, 관련법에 따른 사업 절차를 따져 봐야 하며, 사업 규모가 큰 만큼 해운대구민의 의견 수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홍순헌 해운대구청장은 "국가정책인 그린뉴딜 정책에는 동의하나, 청사포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시 항해 안전, 해양생태계 파괴, 어업권 침해, 소음, 경관 저해 문제가 있어 사업자로부터 대책이 나와야 한다"면서 "특히 주민 의견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주민 수용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상풍력발전단지 추진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기장군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오규석 기장군수는 "기장 앞바다는 기장 미역, 기장 다시마, 기장 멸치, 기장 갈치 등의 특산물과 천혜의 경관을 자랑하는 기장군의 미래성장동력"이라면서 "고리원전으로 40년 넘게 고통받고 있는 이 지역에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은 우리 기장의 꿈과 희망을 짓밟는 폭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장 어민들을 비롯한 17만3천 기장 군민들과 함께 기장 앞바다에 몸을 던질 각오로 맞서 싸우겠다"면서 '결사 항전'을 강조하기도 했다.

기장지역 어촌계 어민들도 해상풍력대책위원회를 꾸리고 풍력사업 백지화 운동도 하고 있다.

전국의 풍력 발전 추진 단지도 대부분이 부산과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진다.

주민과의 마찰이 극심해 올해 1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신재생 에너지 집적화 단지를 만들 때는 주민들과 '민관 협의회'를 구성하도록 지침도 마련한 상태다.

풍력 발전 단지 조성이 성공한 사례에서 시사점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조성된 첫 대형 해상 풍력 단지는 2017년 9월 상업 운전을 시작한 제주도 탐라 해상 풍력이다.

이곳은 애초 발전단지 지정 권한이 도지사에 있어서 사전입지 검토제, 개발이익 공유 계획을 명시하고 처음부터 지역민 의견을 담아 사업을 추진하면서 논란을 최소화했다.

최근 전북지역 일부 지자체도 소통을 통해 민관협의 방식으로 상생 협약을 도출, 사업을 진행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공유재인 바다를 사용하는 사업인 만큼 부산시민이 사업에 대한 공감대를 먼저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으로 판단된다.

ready@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