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해운대 풍력발전 놓고 격론…쟁점은 안전성·효율성·입지

송고시간2020-12-30 18:03

beta
세 줄 요약

부산 해운대 청사포 앞바다에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을 추진하는 사업과 관련해 '안전성, 효율성, 입지'를 둘러싼 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졌다.

사업자가 향후 이에 대한 과학적이고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주민과 공감대를 형성하지 않고는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0일 부산 해운대문화회관에서 부산에너지시민연대 주최로 '부산의 에너지전환과 해운대 해상풍력 추진의 과제' 포럼이 열렸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청사포 앞바다 초속 175m, 강풍 안전성 담보 안돼" 우려

"평균 가동률 16.5%, 효율성 없다" 주장에…사업자 "30%로 선진국 수준"

"유럽은 최소 5㎞ 떨어져 발전기 설치"…사업자 "해양환경 다르다"

탐라 해상풍력발전단지
탐라 해상풍력발전단지

[남동발전 제공=연합뉴스]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부산 해운대 청사포 앞바다에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을 추진하는 사업과 관련해 '안전성, 효율성, 입지'를 둘러싼 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졌다.

사업자가 향후 이에 대한 과학적이고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주민과 공감대를 형성하지 않고는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0일 부산 해운대문화회관에서 부산에너지시민연대 주최로 '부산의 에너지전환과 해운대 해상풍력 추진의 과제' 포럼이 열렸다.

◇ "발전기에 야간경관조명 설치하고 크루즈"

민간사업자인 지윈드스카이가 포럼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이들은 청사포 앞 1.2㎞ 떨어진 바다에 해상풍력터빈 9기를 2022년까지 만들 계획이다.

이곳에서는 연간 38㎽의 전력이 생산된다.

전력은 해운대 신도시를 따라 매설되는 육상 선로를 통해 좌동변전소로 들어가게 된다.

지윈드스카이는 풍력발전기에 야간 조명을 설치에 해운대 관광자원이 되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용우 지윈드스카이 대표는 "청사포 어촌 뉴딜과 블루라인 해변열차, 다릿돌 전망대 등과 어우러져 조명을 넣는다면 야간이 아름다운 청사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덴마크 코펜하겐의 해상풍력 단지에는 크루즈가 왔다 갔다 하고, 시스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시스템 위에도 올라가 볼 수 있는데 우리도 이런 모델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상풍력발전
해상풍력발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가동률·안전성 둘러싸고 논란

포럼에 참가한 김상수 해운대구의원은 발전시설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 해상풍력발전기 평균 가동률이 16.5%에 그쳐 효율성이 떨어지고, 태풍으로 인한 안전성 문제도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부산대 교수가 올해 태풍 때 청사포 앞바다에서 풍속을 측정했는데 그때 순간 최대 풍속이 175㎧였다"면서 "발전기 설계 속도의 세 배를 초과하는 강풍이 부는 데 안전을 누가 담보하겠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올해 태풍 때 양산 에덴밸리 인근 풍력발전기가 넘어진 사례를 기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전북 부안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20기 중 무려 17기에서 블레이드(날개) 불량이나 균열이 나왔다"면서 "사업보다 주민들을 안심시키는 설득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한국해상풍력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이 대표는 "제주 탐라 풍력발전소의 경우 가동률이 30%이고, 저희도 보수적으로 잡았을 때 가동률이 30%여서 효율성이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블레이드 파손 문제와 관련해서는 "해상풍력에 관해 제일 취약한 부분 중 하나가 블레이드인데 부안의 경우 국산 기자재를 이용해 국내 기술과 노력으로 만들자는 취지로 테스트베드형으로 설치하다 보니 그런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참고로 (저희는) 그런 것을 교본 삼아서 완성도와 내구성 높은 기술 품질을 낼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 유럽은 먼바다에서 하는데…부산은 왜 1.2㎞?

김 구의원은 해상 풍력발전 선진국인 덴마크와 영국, 스웨덴의 경우 발전기 설치가 먼바다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입지 문제를 지적했다.

김 구의원은 "이적 거리가 (이들 국가의 경우) 각각 13㎞, 17㎞, 5㎞이고 해안에서 1∼2㎞ 떨어지는 곳에 짓는 것은 유럽에서 실패한 사례"라면서 "유럽의 실패한 이적 거리를 따르는 것은 준비가 상당히 부족해 보인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해양환경이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 대표에 따르면 수심 40m 내외까지는 지윈드스카이가 설치하고자 하는 발전기인 타워형의 설치가 가능하지만 수심이 50∼100m를 넘으면 북해, 발트해와 같이 시굴해야 한다.

이 대표는 "청사포의 경우 3㎞만 나가도 수심이 50∼60m가 넘고 조금서가면 100m까지 뚝 떨어진다"면서 "한국의 지형지질 구조상 감내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상풍력발전기를 설치하면 어초 역할을 어족자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발전기에서 400m만 떨어져도 소음이 가정집 냉장고 수준밖에 되지 않고, 8m만 떨어지면 저주파도 휴대폰보다 낮아져 입지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논점을 둘러싸고 첨예한 주장이 오갔지만, 민간사업자도 그동안 주민들에게 사업 설명이 부족했던 부분은 어느 정도 인정한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김좌관 부산가톨릭대 교수는 "전국의 해상풍력단지 중 청사포처럼 주민들이 밀집한 곳은 없다"면서 "어민들 외에도 주민들을 상대로 한 소통의 장이 필요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ready@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