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일 없어서 일시 휴직한 사람, 지난해 37만명 '역대 최대'

송고시간2021-01-25 06:25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2019년 4만명대였으나 코로나로 크게 늘어…"사실상 실업상태로 봐야"

고용도 '코로나 타격' (CG)
고용도 '코로나 타격' (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기가 얼어붙은 지난해 취업은 했지만 사업이 부진하고 조업이 중단되면서 일이 없어 휴직한 사람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연합뉴스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일시휴직자는 83만7천명이며 이 중 사업 부진과 조업 중단으로 일시휴직한 사람은 37만1천명이었다.

일시휴직자는 취업자로 분류되지만 병이나 사고, 연가·휴가, 교육·훈련, 육아, 노사분규, 사업 부진·조업 중단 등의 사유로 일시적으로 휴직한 사람이다. 이 중 사업 부진·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휴직자는 일이 없어 불가피하게 휴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난해 전체 일시휴직자 83만7천명은 1980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다. 일시휴직자는 2004년 처음으로 30만명대를 넘어선 뒤 2019년까지 30만∼40만명대를 보이다 지난해 80만명대로 순식간에 뛰었다.

이처럼 일시휴직자가 늘어난 것은 사업 부진과 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휴직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2010년대 들어 통상 4만∼6만명대에 머물던 사업 부진·조업 중단 일시휴직자는 지난해 37만1천명으로 폭증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19년(4만8천명)과 비교하면 약 8배로 늘었다.

일시휴직 사유 비중으로 보면 지난해에는 사업 부진·조업 중단이 44.4%로 가장 많았다. 연가·휴가는 32.2%, 일시적 병·사고는 13.0%, 육아는 7.8%였다.

2019년에는 일시휴직 사유 1위가 일시적 병·사고(29.2%)였고 2018년에는 연가·휴가(42.0%)였다. 사업 부진·조업 중단은 2019년과 2018년 각각 13.8%, 12.2%에 그쳤다.

통상 일시적 병·사고와 연가·휴가에 따른 일시휴직이 가장 많은데, 지난해에만 이례적으로 사업 부진·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휴직이 많이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사업 부진·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휴직자 37만1천명을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19.3%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교육서비스업(14.8%)과 숙박·음식점업(9.1%)이 그 다음이었고 제조업(9.1%)도 비중이 컸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39.5%로 최다였다. 이어 50대(19.7%), 40대(17.0%), 30대(14.5%), 15∼29세(9.3%) 순이었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지난해 사업 부진과 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휴직자가 크게 늘고 특히 60세 이상이 많이 늘어난 것은 노인 일자리 사업 등 공공 일자리 사업이 중단된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성 교수는 "사업 부진과 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휴직자는 사실상 실업 상태나 다름없다"며 "지난해 고용 충격이 상당했고 체감 실업률은 더 높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표] 2018∼2020년 사유별 일시휴직자(단위:천명)

2020년 2019년 2018년
일시적 병·사고 109 89 83
연가·휴가 269 166 169
교육·훈련 4 4 6
육아 65 83 79
가족적이유 17 16 17
노사분규 1 0.3 0.8
사업부진·조업중단 371 48 49
합계 837 407 403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원자료)를 연합뉴스가 분석

charg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