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조선족 윤동주' 표기 논란…중국 매체 "전문가 연구 필요"

송고시간2021-02-17 12:02

beta
세 줄 요약

일제강점기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국적 표기를 놓고 한국과 중국 간에 또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지난 16일 중국 포털 바이두(百度) 백과사전이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으로 민족을 '조선족'으로 잘못 기재했다면서 바이두에 항의했다고 밝힌 것이 새로운 계기가 됐다.

중국판 트위터로 불리는 웨이보(微博)에서 이날 오전 '#한국 교수가 조선족 시인의 국적을 한국으로 수정하라고 요구했다#'는 해시태그는 인기검색 화제에 올라 3억건이 넘는 조회수를 올렸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한국 학계 "국적보다 민족적 지향성에 중점 둬야" 견해도

외교 소식통 "바로잡기 위해 중국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 중"

(서울=연합뉴스) 중국 지린(吉林)성 옌변(延邊)조선족자치주 룽정(龍井) 마을의 윤동주 생가 입구에 있는 표석 문구.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는 "룽정 마을에 있는 윤동주의 생가 입구 표석에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고 적혀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자기 나라를 사랑한다는 뜻이 애국(愛國)인데 표석에 중국을 사랑한 조선족 시인이라고 적었기 때문이다. 2020.12.30 [서경덕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중국 지린(吉林)성 옌변(延邊)조선족자치주 룽정(龍井) 마을의 윤동주 생가 입구에 있는 표석 문구.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는 "룽정 마을에 있는 윤동주의 생가 입구 표석에 '중국조선족애국시인'이라고 적혀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자기 나라를 사랑한다는 뜻이 애국(愛國)인데 표석에 중국을 사랑한 조선족 시인이라고 적었기 때문이다. 2020.12.30 [서경덕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김윤구 특파원 = 일제강점기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국적 표기를 놓고 한국과 중국 간에 또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지난 16일 중국 포털 바이두(百度) 백과사전이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으로 민족을 '조선족'으로 잘못 기재했다면서 바이두에 항의했다고 밝힌 것이 새로운 계기가 됐다.

서 교수는 지난해 12월 30일 윤동주 탄생일에 맞춰 바이두에 항의했고, 2월 16일 윤동주 서거일에도 재차 수정을 요구했다.

중국판 트위터로 불리는 웨이보(微博)에서 이날 오전 '#한국 교수가 조선족 시인의 국적을 한국으로 수정하라고 요구했다#'는 해시태그는 인기검색 화제에 올라 3억건이 넘는 조회수를 올렸다.

중국 누리꾼들은 대체로 서 교수의 요구를 일축하면서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환구시보는 서 교수의 항의 내용을 전하면서 중국 국적법과 역사 상황에 따르면 윤동주 같은 역사 인물의 국적을 인정하는데는 어려운 점이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윤동주가 중국에서 태어났고 출생 시 한국은 일제 점령하에 있어 정식 건국 전이라는 점을 들었다. 게다가 윤동주가 생전에 자신의 국적에 대해 분명히 밝힌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sJOh03iTjC8

환구시보는 "윤동주의 국적이 어디인지에 대해서는 양국의 전문가들이 고증과 분석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서 교수가 한중간의 김치 논쟁 등에서 논란을 부풀려 한국 내의 민족감정을 부추긴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이 2012년 지린(吉林)성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 룽징(龍井)에 있는 윤동주 생가를 복원하면서 입구에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이라고 적힌 비석을 세운 이후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윤동주가 나고 자란 룽징 명동 마을은 중국 땅이었지만 당시 이주 조선인들의 생활 터전이었고 윤동주는 중학 이후 평양, 서울, 일본에서 활동하며 모든 작품을 한글로 쓴 민족시인이어서 일방적으로 중국의 애국시인으로 규정해선 안 된다는 것이 한국 측의 의견이다.

한국 학계에서는 윤동주의 출생 시기와 장소는 역사적 특수성이 있으므로 국적을 따지기보다는 그의 민족적 지향성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윤동주는 한글로 시를 썼고 조선인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이 뚜렷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특히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에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란 대목이 있는데 중국 한족 소녀를 '이국 소녀'로 칭한 것은 자신을 중국인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조선인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로 꼽힌다.

한국 정부도 윤동주의 국적 표기 문제를 놓고 중국에 시정을 요구하고 있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이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중국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면서 "역사적 사실과 한국의 정서를 감안해 종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ykim@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