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위기의 대학]②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고?…전국 동시다발로 망할 것"

송고시간2021-04-14 08:00

beta
세 줄 요약

충격적인 얘기지만, 이는 '신입생 부족' 현상이 본격적으로 벌어진 올해 전국 각지의 대학이 맞닥뜨린 엄혹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문제는 이 사태가 지방대만의 위기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세계 최악의 저출산 여파로 이제 한국의 대학은 지방과 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재학생 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크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존폐 갈림길에 선 지방대…대규모 신입생 미달 사태로 '재정난' 극심

아이폰 선물에 등록금 면제해도 정원 못 채워…"책임지겠다" 총장 사의 밝히기도

출생자 수 100만→55만→27만…수년 후엔 수도권 대학도 '신입생 부족' 쇼크

대학가 상권 큰길에도 곳곳에 '임대 문의'
대학가 상권 큰길에도 곳곳에 '임대 문의'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지난 1월 26일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이화여대 인근 거리에 폐업으로 '임대 문의' 안내문이 부착된 점포가 보이고 있다. 2021.1.26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탐사보도팀 = "추가모집은 정말로 자원 자체가 없어서 뽑기가 어려워요. 그런데 정시모집에서 100명 겨우 채운 대학이 추가모집에서 100명, 150명을 뽑았다. 이건 장담하는데 99% 이상 거품이죠. 마음먹고 채우려고 하면 얼마든지 채울 수가 있는 거죠"(A지방사립대 관계자)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에서 신입생을 채우지 못한 대학 중 일부가 추가모집 때 교직원 지인 등을 동원해 '가짜 신입생'을 만들어낸다는 얘기다.

이 관계자는 "신입생 정원을 못 채우면 교육부에서 정원을 줄이라는 압박을 받고, 대외적으로 체면치레도 해야 하니 교직원 지인들을 동원해 등록금을 면제시켜주고 정원을 채우는 대학들이 있다"며 "이러한 학생들은 결국 1년도 못 가 줄줄이 자퇴로 빠져나간다"고 전했다.

충격적인 얘기지만, 이는 '신입생 부족' 현상이 본격적으로 벌어진 올해 전국 각지의 대학이 맞닥뜨린 엄혹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문제는 이 사태가 지방대만의 위기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세계 최악의 저출산 여파로 이제 한국의 대학은 지방과 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재학생 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크다. 전대미문의 위기가 닥쳐온다는 얘기다.

◇ 지방대마다 '정원 미달' 속출…"아이폰도, 등록금 면제도 소용없어"

올해는 한국 대학사의 한 페이지를 채울 거대한 변화가 시작된 해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신입생 부족'이 본격화한 해이기 때문이다.

올해 대학 입학 정원은 49만2천 명에 달한다. 하지만 취업, 재수, 입대자 등을 제외한 만 18세 학령인구는 41만4천 명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됐다. 학령인구만 보면 신입생이 7만 명 넘게 부족하다는 얘기다. 상당수 대학이 대규모 정원 미달 사태를 맞을 수밖에 없었다.

2021학년도 전국 대학 신입생 추가모집 현황
2021학년도 전국 대학 신입생 추가모집 현황

[제작 정유민 인턴기자]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대학 신입생 추가모집 규모는 162개교, 2만6천129명에 달했다. 전년도의 9천830명보다 무려 2.7배 급증했다. 특히 지방대가 직격탄을 맞았다. 신입생 충원 미달로 인한 추가모집 인원의 91%가 거점국립대를 포함한 지방대에서 나왔다.

결국, 상당수 지방대는 신입생 정원을 다 채우지 못했다. 부산카톨릭대 등 일부 지방 사립대는 등록금 면제를 조건으로 내걸었지만, 정원 미달이 속출했다. 등록하는 신입생에게 아이폰과 에어팟을 나눠준다는 공약으로 화제를 모았던 호남대도 결국 정원 대비 10% 정도의 미달 사태가 발생했다.

대구대의 경우 최종 등록률이 전년보다 19%포인트 급락한 80.8%에 그쳤다. 정시와 수시, 추가모집을 모두 거쳤지만, 신입생 5명 중 1명은 채울 수 없었다. 김상호 대구대 총장은 신입생 모집 부진에 책임을 지고 사퇴 의사를 밝혔다가 해임됐다.

한 지방사립대 관계자는 "이 정도 규모의 충원 미달이 발생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라며 "올해보다는 내년이, 내년보다는 내후년에 더 상황이 안 좋아질 텐데 해법이 없어 답답하다"고 호소했다.

교육부는 전문대, 사이버대 등을 포함한 전체 대학의 미충원 규모가 내년에 8만5천여 명, 내후년 9만6천 명으로 늘어 2024년에는 12만3천여 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른바 '지역 명문대'로 통하던 거점국립대도 충원 미달 사태를 피해갈 수 없었다. 전국 각지의 10개 거점국립대 중 서울대를 제외한 9개교가 올해 추가모집을 해야 했다.

올해 본교로 불리는 광주 용봉캠퍼스에서 4명, 여수캠퍼스에서 136명의 신입생 충원 미달이 나온 전남대는 "학령인구가 감소하더라도 우리 대학까지 충원 미달 사태가 올 거라고는, 또 이렇게 심각할 것이라곤 상상도 못 했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집단해고 철회 요구하는 신라대 청소노동자
집단해고 철회 요구하는 신라대 청소노동자

[민주노총 부산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원 미달로 각 대학의 경영이 악화하면 교직원들의 대량 실업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부산 신라대는 지난 2월 그동안 용역업체를 통해 고용해온 학교 내 청소노동자 50여 명을 계약 만료와 함께 내보냈다. 청소노동자 대신 총장을 포함한 교직원들이 직접 환경미화를 하겠다는 것이다.

청소노동자들은 '일방적 부당해고'라며 반발하고 나섰지만, 대학 측은 신입생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더는 이들의 인건비를 감당할 재정이 없다며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부산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옛날엔 대학이 직장으로서 안정적이라는 인식 때문에 교직원 중 이직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는데, 요즘은 이직하는 사람이 많다"고 전했다.

재정난이 심해지면서 지방대들은 교원 인건비에도 손을 대고 있다. 교수들의 연구비를 줄이는 것은 물론 '비정규직 교수'로 불리는 비전임 교수로 교수진을 채우는 등 인건비 절감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한 지방대 교수는 "한 학과에 전임교수는 1, 2명만 둔 채 초빙교수, 겸임교수 등 비전임 교수로 모두 채우는 대학들이 부지기수"라며 "그 결과 지방대 교육의 질이 낮아지고 이는 다시 학생들의 이탈을 불러오는 악순환에 빠진 것이 오늘날 지방대의 현실"이라고 한탄했다.

이는 구체적인 수치로 드러난다. 등록금 면제 등을 내세워 애써 끌어들인 지방대 학생들의 상당수는 재수나 편입 등을 위해 자퇴한다. 연합뉴스가 대학정보공시센터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지역 4년제 대학의 중도 탈락률은 2019년 6.1%에 달했다. 신입생 미달 사태에 시달리는 지방대로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이다.

◇ 출생아 수 '4분의 1토막'…지방대 이어 수도권도 '신입생 쇼크' 닥친다

대학가에는 수년 전부터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씁쓸한 농담이 돌고 있다. 수도권에서 접근성이 좋지 않은 대학일수록 신입생을 구하기 힘들고, 이는 대학 도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자조적으로 빗댄 것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벚꽃 피는 순서가 아니라 전국 동시다발적으로 망하고 있다"며 "서울에 있는 4년제 대학들만 해도 매년 7만 명이 넘는 학생들을 선발하는데, 머지않은 미래에 대학에 갈 수 있는 전체 학생의 숫자가 30만 명대로 줄어든다"고 지적했다.

연도별 출생 인구 추이
연도별 출생 인구 추이

[제작 정유민 인턴기자]

1970년대 초반에는 한해에 100만명이 넘는 아이들이 태어났다. 하지만 극심한 저출산 추세로 인해 올해 대학에 입학하는 2002년생은 49만6천여명에 불과하다. 출생아 수가 '반토막'이 났다는 뜻이다.

이어 2024년도 대학에 입학하는 2005년생은 43만8천여 명으로 줄어든다. 대학 진학률이 70%대 초반에 불과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재수 등을 감안하더라도 2024년도 대학 신입생 수는 30만 명대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수도권 대학이 '안전지대'로 남아있기에는 신입생 수의 감소 추세가 너무 가파르다.

실제로 2021학년도 대학 추가모집에서 수도권 대학의 추가 모집인원은 전년도와 비교해 50% 가까이 급증했다. 서울 내 대학은 전년도보다 49% 늘어난 727명에 대한 추가모집에 나섰다. 경기·인천 지역도 47% 늘어난 1천502명에 대해 추가모집을 해야 했다. 신입생 부족 사태가 수도권 대학에도 닥치고 있다는 얘기다.

이로 인해 지방대는 물론 수도권까지 포함한 전국의 수많은 대학이 학생 수 감소와 이에 맞물린 등록금 수입 감소로 인한 심각한 재정난을 겪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조영태 교수는 "올해는 어떻게든 대학이 긴축 재정을 통해 운영해나갈 수 있겠지만, 매년 신입생 미달 사태가 이어진다면 대학 재정에는 치명적인 타격을 가하게 된다"며 "내년, 내후년에 대학교 1, 2, 3학년이 모두 텅텅 비게 되면 정말로 끝"이라고 암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학령인구 감소, 재정 부실 등으로 경영이 곤란해져 대학으로서 역할을 하기 어려운 한계대학이 전국에서 84곳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한계대학의 대부분은 비수도권 소재 대학이 차지했지만, 수도권 대학도 30%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러한 추세가 10년, 20년 동안 이어질 장기적 추세라는 점에 있다.

출산율이 사상 초유의 0.84명까지 떨어진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2천여 명에 불과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출생아 수는 25만여 명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해 100만 명의 출생아를 기록했던 1970년대 초반의 '4분의 1토막' 수준이다. 이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년 후 어떤 결과가 빚어질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임성호 종로하늘교육 대표는 "지금의 대학 숫자는 학생 수 100만 시대를 기준으로 해 만들어진 것"이라며 "학생의 수가 30만 명대, 머지않은 미래에는 20만 명대까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전국의 대학 숫자도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과잉 대학'에 대한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탐사보도팀: 권선미·윤우성 기자, 정유민 인턴기자]

653@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