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완성차업계 임단협 본격화…임금인상·고용안정 핵심

송고시간2021-05-13 16:58

beta
세 줄 요약

현대차[005380] 노조가 임금 및 단체 협약(임단협) 요구안 확정 절차에 들어간 데 이어 기아[000270] 노조가 요구안을 사측에 발송하며 올해 완성차업계의 임단협 협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노조의 주된 요구 사항은 임금 인상과 미래차 전환기의 고용 안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기본급 9만9천원 인상, 65세 정년 연장 등의 내용을 담은 2021년 단체교섭 요구안을 이날 사측에 발송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기아 노조, 단체교섭 요구안 사측에 발송

르노삼성차, 노조 파업으로 1천60억원 손실

현대차 노사 교섭
현대차 노사 교섭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현대차[005380] 노조가 임금 및 단체 협약(임단협) 요구안 확정 절차에 들어간 데 이어 기아[000270] 노조가 요구안을 사측에 발송하며 올해 완성차업계의 임단협 협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노조의 주된 요구 사항은 임금 인상과 미래차 전환기의 고용 안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기본급 9만9천원 인상, 65세 정년 연장 등의 내용을 담은 2021년 단체교섭 요구안을 이날 사측에 발송했다.

요구안에는 지난해 영업이익(2조665억원)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고 근로시간을 주 35시간으로 단축하는 방안과 점심시간 유급화, 일부 직군과 생산라인 수당 인상 등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현대차 노조는 12일부터 임시 대의원회의를 열고 올해 임단협 요구안 확정 절차에 들어갔다.

노조는 기존 일자리 유지와 만 65세 정년 연장 등을 통한 고용불안 해소와 임금 9만9천원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차세대 차종이나 친환경 차 관련 주요 부품을 개발·생산할 때 국내 공장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방안도 상정했다.

지난해 부분 파업에 돌입한 기아노조
지난해 부분 파업에 돌입한 기아노조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기차는 엔진이나 변속기 등이 들어가지 않아 내연기관차보다 부품이 20∼30% 정도 적게 필요한 만큼 미래차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최근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를 중심으로 사무·연구직 노조가 출범한 것을 의식한 듯 사무직 근로조건 개선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검토안에는 사무·연구직 일자리 유지를 위해 모빌리티와 서비스 개발 시 국내 연구소에서 개발해야 한다는 원칙과 함께 함께 고경력 연구·일반직 직원의 처우 개선과 포괄임금제 폐지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달 중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금협상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진 한국GM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노사 협상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는 월 기본급 9만9천원 정액 인상과 성과급·격려금 등 1천만원 이상 수준의 일시금 지급, 부평 1·2공장과 경남 창원공장의 미래 발전 계획 등을 요구할 예정이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전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까지 겹쳐 어려움이 가중된 상황에서 사측이 노조의 요구를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르노삼성차 노조 파업
르노삼성차 노조 파업

[르노삼성차 노조 제공]

작년 임단협을 아직 마무리하지 못한 르노삼성차는 노조의 전면파업에 사측이 직장폐쇄라는 초강수를 두면서 강대강 대치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르노삼성차 노사는 지난해 7월부터 임단협 협상을 했지만, 노조의 기본급 7만1천687원 인상과 격려금 700만원 지급 등의 요구에 대해 사측이 기본급 동결과 격려금 500만원 지급을 제시하면서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기본급 동결은 임금 삭감과 같은 의미라고 주장하며 사측이 태도를 바꿀 때까지 무기한 총파업으로 맞서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파업 참여율은 낮은 편이다. 르노삼성차는 부산공장의 임직원 중 75∼80%가 출근하고 있어 일부 생산 차질은 있지만 공장 가동을 이어갈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르노삼성차는 2015∼2017년 무분규 협상을 하기도 했지만 2019년에는 380시간의 파업으로 4천억원의 손실을 입었고, 작년에는 195시간의 파업으로 1천61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올해는 지난 11일까지 노조가 총 85시간 파업을 하면서 약 1천60억원 규모의 손실을 보았다.

hee1@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