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알츠하이머병 싹틀 때 독(毒)이 되는 면역세포 발견

송고시간2021-06-10 17:17

beta
세 줄 요약

치매는 주로 알츠하이머병에서 생긴다.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치매는 세계 보건 의료계의 주요 이슈로 부상한 지 오래다.

알츠하이머병의 발생 초기에 뇌 조직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장기 활성' 노화 소교세포, 독성 아밀로이드 침적 촉진

가속 페달 밟는 '세포 무리'도 확인…저널 '셀 리포트' 논문

아밀로이드 플라크(청색)를 삼키는 소교세포(녹색)
아밀로이드 플라크(청색)를 삼키는 소교세포(녹색)

[싱가포르 Duke-NUS Medical School /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치매는 주로 알츠하이머병에서 생긴다.

지역과 인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치매 진단 환자의 50~75%는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다.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치매는 세계 보건 의료계의 주요 이슈로 부상한 지 오래다.

영국의 경우 현재 약 85만 명인 치매 환자가 2040년에는 160만 명이 될 거로 예상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오랜 세월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따라서 이제 막 생긴 초기 단계에 진단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은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다. 발병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 건 물론이고 진행 속도를 늦추는 치료도 어렵다.

많은 과학자가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에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생 초기에 뇌 조직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의 면역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가 일부 노화해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행을 가속한다는 게 요지다.

'신경아교세포'라고도 하는 소교세포는 중추 신경계 조직을 지지하면서 뇌와 척수의 신경세포(뉴런)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고,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식세포 작용도 한다.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의 디에고 고메스-니콜라 생물과학 부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8일(현지 시각) 생명과학 저널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논문으로 실렸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은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되는데 우리는 초기 단계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잘 모른다"라고 토로했다.

소교세포 증식과 알츠하이머병
소교세포 증식과 알츠하이머병

소교세포 증식이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픽.
[영국 사우샘프턴대 Diego Gomez-Nicola / 재판매 및 DB 금지]

치매의 진행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 조직에 쌓이면 소교세포가 제일 먼저 반응해 증식한다. 연구팀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외부 단백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이런 반응은 면역세포로서 소교세포가 수행하는 기능 중 하나다.

이처럼 소교세포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지속해서 접촉하면, 치매의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소교세포에 생길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추론했다.

그런데 당연한 것 같았던 소교세포의 증식이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행에 결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유사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생쥐 모델에 실험해, 소교세포를 계속 활성 상태로 두면 그중 일부가 노화 상태로 변한다는 걸 알아냈다.

이 소교세포 무리는 노화로 인한 대사 기능 장애와 염증성 기능 장애를 보였다.

뜻밖에도 알츠하이머병 초기에 독성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을 가속하는 게 바로 이 소교세포 무리였다.

이는 알츠하이머병 사망 환자의 사후 검시 샘플 분석에서도 검증됐다.

반대로 생쥐 모델의 소교세포가 증식을 멈추면, 관련 소교세포 무리의 노화 속도가 떨어지고 독성 아밀로이드 수치도 낮아졌다.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아밀로이드 축적에 반응하는) 소교세포 증식의 장기적인 결과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에 미치는 충격을 확인한 건 처음"이라고 말했다.

뇌 전이 종양의 M2 소교세포
뇌 전이 종양의 M2 소교세포

폐암 환자의 뇌 전이 종양에서 관찰된 M2 소교세포(갈색)
[미국 웨이크포리스트 의대 /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더 나아가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가속에 관여하는 작은 소교세포 그룹을 정확히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

당연한 일이지만, 이 발견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함의를 가질 거로 과학자들은 평가한다.

알츠하이머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통찰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노화 소교세포 그룹을 표적으로 삼아 알츠하이머병 연구와 치료제 개발 노력을 집중할 거라는 얘기다.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이런 것들이 모여 알츠하이머병 치료법 연구의 결정적 돌파구를 더 빨리 찾게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cheo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