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인사동서 조선금속활자 1천600점…가장 오래된 한글활자도 나와(종합)

송고시간2021-06-29 14:27

beta
세 줄 요약

서울 도심 한복판 종로구 인사동에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가 반영된 가장 이른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를 포함해 15∼16세기에 제작한 조선 전기 금속활자 1천600여 점이 한꺼번에 발견됐다.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한 조선시대 금속활자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한글 활자 약 30점만 현존한다고 알려졌는데, 서지학계가 고대하던 조선 전기 활자가 무더기로 나온 것이다.

문화재청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수도문물연구원은 탑골공원 인근 '공평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인 인사동 79번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16세기 문화층(특정 시대 문화 양상을 알려주는 지층)에서 조선 전기 금속활자 1천600여 점을 비롯해 물시계 부속품 주전, 일성정시의, 화포인 총통(銃筒) 8점, 동종(銅鐘)을 찾아냈다고 29일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항아리에 담긴 채 무더기로…'ㅱ, ㆆ, ㆅ' 동국정운 표기법 활자 첫 발견

물시계·천문시계 등 세종 시대 과학유산 흔적 대규모 발굴은 처음

발견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
발견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9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에서 열린 서울 공평구역 유적 출토 중요유물 언론공개회에서 조선 전기 금속활자 등이 공개되고 있다. 2021.6.29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서울 도심 한복판 종로구 인사동에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가 반영된 가장 이른 시기의 한글 금속활자를 포함해 15∼16세기에 제작한 조선 전기 금속활자 1천600여 점이 한꺼번에 발견됐다.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한 조선시대 금속활자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한글 활자 약 30점만 현존한다고 알려졌는데, 서지학계가 고대하던 조선 전기 활자가 무더기로 나온 것이다.

아울러 기록으로만 전하던 조선 전기 과학유산인 천문시계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부품과 '자격루'와 같은 물시계 부속품 '주전'(籌箭)의 일부로 보이는 동제품도 발굴됐다. 세종 시대 과학유산 흔적이 대규모로 발굴되기는 처음이다.

문화재청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수도문물연구원은 탑골공원 인근 '공평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인 인사동 79번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16세기 문화층(특정 시대 문화 양상을 알려주는 지층)에서 조선 전기 금속활자 1천600여 점을 비롯해 물시계 부속품 주전, 일성정시의, 화포인 총통(銃筒) 8점, 동종(銅鐘)을 찾아냈다고 29일 밝혔다.

금속활자와 주전으로 추정되는 동제품은 도기 항아리에 담긴 채 모습을 드러냈고, 상대적으로 큰 일성정시의·총통·동종이 주변에서 여러 조각으로 나뉜 상태로 출토됐다.

인사동에서 발견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 공개
인사동에서 발견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 공개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9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에서 열린 서울 공평구역 유적 출토 중요유물 언론공개회에서 조선 전기 금속활자 등이 공개되고 있다. 2021.6.29 pdj6635@yna.co.kr

이번 조사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끄는 유물은 금속활자다. 한자 활자 1천여 점과 한글 활자 600여 점이 나왔다. 조선 전기의 다양한 금속활자가 한곳에서 발견된 첫 사례로, 구텐베르크가 1440년대 서양 최초로 금속활자와 인쇄술을 개발할 무렵 혹은 그보다 이른 시기에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유물이 포함됐다.

조선시대 금속활자 중 한자 활자는 제작한 해의 육십갑자를 이름으로 붙이는데, 1434년 제작했다는 갑인자(甲寅字)를 비롯해 1455년에 만든 을해자(乙亥字), 1465년 활자인 을유자(乙酉字)로 보이는 유물이 확인됐다.

일부 활자에 대해서는 서체·크기 등을 근거로 1420년 경자자(庚子字)일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단정하기는 이르다는 시각도 있었다.

이승철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 팀장은 세종 시대에 제작된 갑인자에 주목하면서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금속활자 40여 종 가운데 기술적인 측면에서 가장 완벽한 것이 갑인자"라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갑인자 추정 활자와 유사한 금속활자가 100점 정도 있는데, 이 활자들도 갑인자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공평동 유적 출토 중요유물 언론공개회
서울 공평동 유적 출토 중요유물 언론공개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9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에서 열린 서울 공평구역 유적 출토 중요유물 언론공개회에서 조선 전기 금속활자 등이 공개되고 있다. 2021.6.29 pdj6635@yna.co.kr

가장 오래된 한글 금속활자는 1455∼1461년 무렵 제작된 것으로 추정됐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전기 한글 금속활자도 비슷한 시점에 만들어졌다고 알려졌다.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 한정적으로 사용된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활자와 한문 사이에 쓰는 한글 토씨인 '이며'나 '이고'를 편의상 한 번에 주조한 이른바 '연주활자'(連鑄活字) 10여 점도 있었다. 동국정운은 1448년에 편찬한 서적으로, 중국 한자음을 표기하려고 만든 ㅱ, ㆆ, ㆅ 글자가 최초로 활자로 확인됐다.

백두현 경북대 교수는 "인사동에서 나온 최고(最古) 한글활자는 1461년에 찍은 책인 '능엄경언해' 글자와 같다"며 "이 책에 사용된 한자 활자가 1455년 을해자이므로, 한글활자는 1455∼1461년에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립중앙박물관 한글 금속활자 중에는 ㅱ, ㆆ, ㆅ 글자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러한 글자는 1480년대까지만 사용됐기에 이번에 나온 한글활자가 확실히 가장 오래됐다고 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대자, 중자, 소자, 특소자 등 다양한 크기의 금속활자가 출토됐다"며 "아직 금속활자 분석이 끝나지 않았는데, 종류가 워낙 다양해 인쇄본을 찍을 때 사용한 조선 전기 활자의 실물이 추가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인사동서 물시계 부속품·천문시계 '일성정시의' 출토
인사동서 물시계 부속품·천문시계 '일성정시의' 출토

(서울=연합뉴스) 문화재청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수도문물연구원은 서울 탑골공원 인근 '공평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인 인사동 79번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조선 전기 금속활자 1천600여 점을 비롯해 물시계 부속품 주전, 일성정시의, 화포인 총통(銃筒) 8점, 동종(銅鐘)을 찾아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은 물시계 부속품인 '주전'으로 추정되는 동제품. 2021.6.29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자격루와 같은 자동 물시계에서 시간을 알리는 시보(時報) 장치를 작동시키는 주전으로 추정되는 동제품은 활자를 제외한 다른 유물들처럼 잘게 잘린 상태로 발견됐다.

동그란 구멍이 여러 개 있고 '일전'(一箭)이라는 글씨를 새긴 동판, 걸쇠와 은행잎 형태 갈고리가 결합한 구슬 방출 기구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는 '세종실록'에 나오는 주전 관련 기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동제품이 주전이라면 세종 20년인 1438년 제작된 경복궁 흠경각 옥루나 중종 31년인 1536년 창덕궁에 새로 설치한 보루각 자격루의 부속품일 가능성이 있다.

일성정시의는 낮에 해시계로 사용하고, 밤에는 별자리를 이용해 시간을 가늠한 도구이다. '세종실록'에는 1437년 일성정시의 4개를 제작했다고 기록됐는데, 전래하지 않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일부가 모습을 드러냈다.

출토 유물을 복원하면 원형 고리 3점이 되는데, 명칭은 각각 주천도분환(周天度分環), 일구백각환(日晷百刻環), 성구백각환(星晷百刻環)이다.

총통은 소형 화기인 승자총통 1점과 손잡이를 부착해 쓰는 소승자총통 7점으로 구성되며, 길이는 모두 50∼60㎝이다. '계미'(癸未) 글자가 있는 승자총통은 1583년, '만력무자'(萬曆戊子) 글자를 새긴 소승자총통은 1588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동종은 '가정십사년을미사월일'(嘉靖十四年乙未四月日)이라는 글자가 있어 1535년 4월에 제작됐음이 확인됐다. 다만 왕실에서 발원(發願, 신에게 소원을 빎)한 동종과는 서체가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양식상으로는 15세기 후반에 제작한 '전 유점사 동종'이나 '해인사 동종'과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모든 유물은 1588년 이후에 같이 묻혔다가 다시 활용되지 않은 것 같다"며 "보존처리와 추가 연구를 거치면 조선 전기 인쇄술과 과학기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말했다.

서울 인사동에서 나온 일성정시의
서울 인사동에서 나온 일성정시의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9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에서 열린 서울 공평구역 유적 출토 중요유물 언론공개회에서 일성정시의 등이 공개되고 있다. 2021.6.29 pdj6635@yna.co.kr

psh59@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ybsRLdpXIcY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