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한국인 기대수명 83.3년…자살사망률, OECD 국가 중 최고

송고시간2021-07-19 12:00

beta
세 줄 요약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3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81.0세보다 2년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사망률도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발간한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1'의 주요 내용을 분석해 19일 발표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연간진료 17.2회로 OECD국가 중 '최다'…의사 수 OECD 평균에 못 미쳐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3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81.0세보다 2년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살사망률도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또 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OECD 국가 중 가장 많지만, 의사와 간호사 등 보건의료 인력은 OECD 평균보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발간한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1'의 주요 내용을 분석해 19일 발표했다. 올해 OECD 보건통계는 주로 2019년 수치를 기준으로 회원국의 보건의료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 흡연율 16.4%, OECD 평균 수준…연간 주류 소비량 8.3ℓ

[그래픽] 한국인 기대수명 및 자살사망률
[그래픽] 한국인 기대수명 및 자살사망률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jin34@yna.co.kr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2019년 기준 83.3년으로 OECD 국가 평균보다 2.3년 길었고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4년)보다는 1.1년 짧았다.

기대수명은 해당연도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3.3년 늘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기대수명이 80.3년으로 80세를 넘었고, 여성은 86.3세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지난 2018년 우리나라의 회피가능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44.0명으로 OECD 평균인 199.7명보다 낮았다.

회피가능 사망률은 예방 활동과 적절한 치료 서비스 제공을 통해 막을 수 있는 사망의 비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회피가능 사망률은 2008년 인구 10만명당 231.0명, 2013년 182.0명, 2018년 144.0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5%씩 감소했다.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2018년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4.7명으로 OECD 국가 평균(11.0명)의 배 이상이었다.

국내 자살사망률은 2009년 인구 10만명당 33.8명에서 2017년 23.0명으로 감소세였으나, 2018년 24.7명으로 다소 증가했다.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천명당 2.7명으로 OECD 평균(4.2명)보다 1.5명 낮았다.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건강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2019년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 비율(흡연율)은 16.4%로 OECD 평균(16.4%)과 같았다.

순수 알코올 기준으로 측정한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소비량은 연간 8.3ℓ로 OECD 평균(8.8ℓ)보다 적었다.

흡연율과 주류소비량 모두 2009년 이후 10년간 감소세를 보였다.

'과체중 및 비만'인 15세 이상 국민은 33.7%로 일본(27.2%)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다만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2009년 30.5%에서 2014년 30.8%, 2019년 33.7%로 점차 증가했다.

◇ 의사 수 인구 1천명당 2.5명…OECD 평균은 3.6명

보건의료자원을 보면 OECD 국가와 비교해서 임상의사, 간호인력(간호사·간호조무사) 등 인적 자원은 적고 병상, 의료장비 등 물적 자원은 많은 편이었다.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천명당 2.5명으로 OECD 국가 평균(3.6명)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일본과 같은 수준이고 우리보다 의사 수가 적은 나라는 폴란드, 멕시코뿐이다.

간호인력은 인구 1천명당 7.9명으로 OECD 평균(9.4명)보다 1.5명 적었고, 이중 간호사는 인구 1천명당 4.2명으로 OECD 평균(7.9명)보다 적었다.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의학계열(한의학 포함·치의학 제외) 졸업자는 인구 10만명 당 7.4명으로 OECD 국가 중 3번째로 적었고, 간호대학 졸업자는 인구 10만명당 40.5명으로 OECD 평균(31.9명)보다 많았다.

간호사 임금 소득은 구매력평가환율(PPP) 기준으로 2016년 연간 4만50.1달러로 OECD 평균(4만8천369.2달러)에 비해 낮았다.

병상 수는 인구 1천명당 12.4개로 일본(12.8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고 OECD 평균(4.4개)의 약 3배 수준이다.

인구 100만명당 자기공명영상(MRI) 보유 대수는 32.0대, 컴퓨터단층촬영기(CT 스캐너)는 39.6대로 모두 OECD 평균(MRI 18.1대·CT 28.4대)을 웃돌았다.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우리나라 국민 1명이 받은 외래 진료 횟수는 연간 17.2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OECD 평균(6.8회)과 비교하면 2.5배 수준이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일수는 18.0일로 일본(27.3일) 다음으로 길었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 MRI 이용량은 인구 1천명당 73.9건으로 OECD 평균(80.2건)보다 적었고, CT 이용은 248.8건으로 OECD 평균(154.8건)보다 많았다.

최근 10년간 CT 이용량은 연평균 10%, MRI 이용량은 연평균 16%씩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보건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 의료비 지출 규모는 8.2%로 OECD 평균(8.8%)보다 낮았다.

1인당 경상의료비는 PPP 기준 3천406.3달러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7.3%씩 증가했고, 가계 직접 부담 비중은 30.2%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PPP 기준 690.9달러로, OECD 평균 352.9달러보다 많았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우리나라의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은 9.6%로 OECD 평균(12.0%)보다 낮다.

장기요양 돌봄 종사자는 2019년 65세 이상 인구 100명당 4.3명으로 OECD 평균 (6.0명)보다 1.7명 적었다.

s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