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가습기살균제 참사 재발 막으려면 국가중독센터 필요"

송고시간2021-08-24 15:23

beta
세 줄 요약

가습기 살균제 참사 재발을 방지하려면 일반 소비자가 화학생활용품으로 입을 피해를 감시하는 국가중독센터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은 24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국민의 화학물질 중독피해에 적극 대응하는 국가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중독센터는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에 도입을 권고한 유해 독성물질 파악·감시 기구로, 2011년 가습기 살균제 참사 공론화 이후 비슷한 참사를 예방할 대책 중 하나로 거론돼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사참위 '가습기 살균제 참사 10년' 토론회서 제안

가습기 살균제
가습기 살균제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가습기 살균제 참사 재발을 방지하려면 일반 소비자가 화학생활용품으로 입을 피해를 감시하는 국가중독센터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은 24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국민의 화학물질 중독피해에 적극 대응하는 국가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중독센터는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에 도입을 권고한 유해 독성물질 파악·감시 기구로, 2011년 가습기 살균제 참사 공론화 이후 비슷한 참사를 예방할 대책 중 하나로 거론돼왔다.

김 부소장은 "의약품·농약 피해와 비교할 때 생활 화학제품 피해의 가장 큰 특징은 노출의 고의성과 노출 결과의 심각성이 낮다는 점"이라며 "생활 속 화학제품 감시는 의약품이나 농약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의약품이상사례보고시스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등이 화학물질 감시체계 기능을 일정부분 수행하고 있다고 보면서도 생활 속 화학제품로 인한 피해를 감시하는 일은 기존 감시체계의 민감도로 감당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평가했다.

김 부소장은 독일의 연방위해평가원(BfR) 사례를 소개하면서 BfR이 최근 질병을 찾아내는 것을 넘어 질병으로 판정되기 전이라도 어떤 증상의 '트렌드'를 분석하는 새로운 시스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중독 감시가 사례 감시에서 머무르지 않고 '신드롬·트렌드 감시' 체계로 전환되는 추세와도 부합한다고 김 부소장은 분석했다.

그는 새로운 감시체계 모델로 "생활 속 화학제품 피해에 충분히 민감하고, 다양한 수준의 피해 호소를 수집해 트렌드를 분석하며, 미지의 위해 발생을 조기 발견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

김 부소장은 캐나다의 중독정보감시체계(CSSPI)를 성공 사례로 소개하면서 "캐나다는 코로나19 소독제·살균제 오남용 피해를 조기에 발견해 2주 만에 진정시켰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생활 속 화학제품을 제대로 감시하려면 국가 전체의 협력이 요구된다"며 부처 칸막이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현웅 사참위 안전소위원장은 "이번 토론회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 중독센터 도입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과 쟁점을 검토해 관련 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ora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