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KAIST, 치료제 듣지 않는 난치성 간질 발병 과정 밝혀

송고시간2021-08-25 13:00

beta
세 줄 요약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이정호·바이오및뇌공학과 백세범·생명과학과 손종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약물 저항성이 높은 난치성 뇌전증(간질)이 발병하는 과정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난치성 뇌전증의 원인인 국소 피질 이형성증은 태아 상태에서 두뇌가 성장하는 도중 신경세포(뉴런)가 두뇌 피질의 각 영역으로 옮겨가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3개 학과 공동 연구팀, 다학제적 접근 통해 성과

난치성 간질 발병 기전 밝힌 KAIST 3개 학과 공동 연구팀
난치성 간질 발병 기전 밝힌 KAIST 3개 학과 공동 연구팀

왼쪽부터 백세범 교수·손종우 교수·고현용 박사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이정호·바이오및뇌공학과 백세범·생명과학과 손종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약물 저항성이 높은 난치성 뇌전증(간질)이 발병하는 과정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난치성 뇌전증의 원인인 국소 피질 이형성증은 태아 상태에서 두뇌가 성장하는 도중 신경세포(뉴런)가 두뇌 피질의 각 영역으로 옮겨가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다.

세포 내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엠토르' 경로상 체성 유전변이(일반적인 생식 유전변이와 달리 수정 후 발생하는 체세포 유전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전증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지만, 항뇌전증제 약물에 반응하지 않아 치료가 어렵다.

연구팀은 동물 모델을 이용해 개별 신경세포의 체성 유전변이가 신경망 수준의 발작으로 이어지는 원리를 발견했다.

난치성 뇌전증 관련 발작 활성도
난치성 뇌전증 관련 발작 활성도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체성 유전변이는 뇌 조직의 5% 이하인 매우 적은 수의 신경세포에서 발생한다.

전반적인 신경망 활동 시뮬레이션 결과, 이런 돌연변이는 극히 적은 신경세포에만 국한돼 있어 이 세포들 자체의 전기적 성질 변화만으로는 전체 신경망의 비정상적인 활동을 설명할 수 없다.

연구팀은 뇌전증 발작을 유도할 수 있는 활성도가 엠토르 체성 유전변이 신경세포가 아닌, 그 주변의 변이가 없는 신경세포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추가 동물 실험과 수술 후 환자 뇌 조직 연구를 통해 엠토르 체성 유전변이를 가진 세포에서 아데노신 키나아제가 과발현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로부터 주변 비 변이 신경세포의 과활성이 유도돼 전체 신경망 수준의 발작 활성도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전증 발병 원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호·백세범·손종우 교수는 "3개 학과 간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세포 내 유전학적 관점에서부터 단일 신경세포의 전기생리학, 뇌 전체 신경망 수준의 시뮬레이션 연구가 이뤄져 복잡한 발병 과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애널스 오브 뉴롤로지'(Annals of Neurology) 지난달 29일 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