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20년간 인구 줄어든 시군구 151곳…현실로 닥친 '지방소멸' 위기

송고시간2021-10-18 10:00

beta
세 줄 요약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지방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18일 정부가 전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인구감소지역 89곳을 처음 지정하고 지원책을 내놓은 것도 이런 디스토피아적 미래가 막연한 불안이 아닌 현실로 닥쳐왔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서범수 의원(국민의힘)이 행안부로부터 받은 국토연구원의 '지방소멸 대응 대책 수립 연구'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2000∼2020년)간 인구 감소 시·군·구는 151곳(66%)에 달한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고령화·인구유출 가속…국토연구원 "인구 감소·지역별 편재로 자립 기반 붕괴"

군 지역 인구 비중은 1975년 25.1%→2015년 8.3%로 급감

지난 20년간 인구 감소한 시군구
지난 20년간 인구 감소한 시군구

[국토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지방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아기 울음소리가 끊기고, 청년은 떠나고, 노인만 남은 마을은 소멸 위기를 현실로 마주하고 있다.

또 농촌 이곳저곳 즐비한 빈집들은 을씨년스러운 모습으로 오늘의 시골 풍경을 대변하고 있다.

18일 정부가 전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인구감소지역 89곳을 처음 지정하고 지원책을 내놓은 것도 이런 디스토피아적 미래가 막연한 불안이 아닌 현실로 닥쳐왔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인구감소지역은 전남과 경북이 각각 16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강원 12곳, 경남 11곳, 전북 10곳, 충남 9곳, 충북 6곳 등이 지정됐다. 부산 3곳, 대구 2곳 등 일부 도심 지역도 포함됐다.

[그래픽] '인구감소지역' 89곳 지정
[그래픽] '인구감소지역' 89곳 지정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jin34@yna.co.kr

다만 행정안전부는 인구감소지역 지정의 근거가 되는 인구감소지수의 구체적인 산출 방법이나 지역별 점수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지역 서열화에 대한 우려와 위기감소지역 지정에서 배제된 지역의 반발을 피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위험은 수년 전부터 지적돼온 내용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서범수 의원(국민의힘)이 행안부로부터 받은 국토연구원의 '지방소멸 대응 대책 수립 연구'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2000∼2020년)간 인구 감소 시·군·구는 151곳(66%)에 달한다. 인구 정점 대비 20% 이상 인구가 줄어든 시·군은 60곳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체 인구에서 군(郡) 지역이 차지하는 인구 비중은 1975년 25.1%에서 2015년 8.3%로 급감하는 추세다.

군지역 인구비중 변화
군지역 인구비중 변화

[국토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3년간(2018∼2020년) 인구 이동 양상과 목적지를 보면 서울의 경우 지역 내 이동 비율이 57.1%, 지역 외 이동 비율이 42.9%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소도시에서는 지역 내 이동 비율이 42.8%, 지역 외 이동 비율이 57.2%로 서울과 대조를 이뤘다.

국토연구원은 이처럼 지방 인구의 현저한 감소, 인구의 지역적 편재로 지방의 자립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늘고 지방소멸위험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19와 지역의 기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4월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2만7천500명으로, 전년 동기(1만2천800명)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수도권 유입 인구의 4분의 3 이상을 20대가 차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지방소멸 위험도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228개 시·군·구 기준 소멸위험지역은 2019년 5월 93개(40.8%)에서 지난해 4월 105개(46.1%)로 12곳 증가했다.

지난해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지역에는 경기 여주시(소멸위험지수 0.467)와 포천시(0.499), 충북 제천시(0.457), 전남 나주시(0.499) 등 '시부'가 대거 포함됐다.

이는 대부분 '군부'가 이미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했고, '시부'의 소멸위험단계 진입이 본격화했음을 의미한다고 고용정보원은 분석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인데, 보고서는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했다.

또 감사원이 고용정보원에 의뢰해 전국 229개 시군구의 소멸위험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7년 36.2%(83개)였던 소멸위험지역이 30년 후엔 모든 시군구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젊은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공동체의 인구 기반이 붕괴하는 '소멸 고위험 단계'에 진입하는 시·군·구는 2017년 12곳에서 30년 뒤엔 157개, 50년 뒤엔 216개, 100년 뒤엔 221개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됐다.

kih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