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물에 잠기는 몰디브…띄우는게 해법?[뉴스피처]

송고시간2021-10-25 07:00

beta
세 줄 요약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지표면이 낮은 지역이 물에 잠기고 있습니다.

낭만적인 휴양지로 손꼽히는 인도양의 '몰디브'가 대표적인 예인데요.

물에 뜬 도시 다시 말해 '부유 도시'가 해법이 될 수 있다는데요.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pnQxTybJ2mY

(서울=연합뉴스)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지표면이 낮은 지역이 물에 잠기고 있습니다.

낭만적인 휴양지로 손꼽히는 인도양의 '몰디브'가 대표적인 예인데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자료를 보면, 지구온난화로 지난 30년간 국내 연안의 해수면은 평균 9.36cm 상승했습니다.

이 추세라면 2100년이 됐을 때 해수면이 1.1m 올라 여의도 면적의 172.94배인 501.51㎢의 국토가 물에 잠길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희소식도 있습니다. 물에 뜬 도시 다시 말해 '부유 도시'가 해법이 될 수 있다는데요.

지난 10월 4일 BBC의 보도를 보면 지구의 해수면 상승과 관련해 '부유 도시'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여기에선 네덜란드 수도 암스테르담의 동쪽 끝 마을을 사례로 들었는데요.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해수면이 가장 낮은 국가입니다. 바닷물 침습 위협이 심각합니다.

이 마을은 100채가량의 집이 물 위에 떠 있는데, 주택뿐 아니라 농장도 물에 떠 있는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 농장은 2012년 뉴욕의 허리케인 '샌디'로 인해 교통과 식량 공급에 큰 타격을 입은 후, 기후 위기에 적응할 수 있는 농장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2019년 만들어졌습니다.

세계 최초로 선착장과 초원을 연결해 만든 이 부유 농장에서는 소 40마리를 사육하고 있는데요.

여기에서 우유와 치즈, 요구르트를 생산해 자전거와 전기 자동차로 고객들에게 전달합니다.

이 농장을 운영하는 윙거든은 "부유 농장에는 큰 미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대규모 부유 거주지에 대한 사업을 추진하며 UN의 지원을 받는 오셔닉스(Oceanix)의 CEO 첸은 "앞으로 몇 년 안에 주변에서 떠다니는 프로토타입을 쉽게 볼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고 말했습니다.

하버드의 디자인 강사인 줄리아 왓슨 또한 "우리는 전 세계의 떠 있는 원주민 공동체에 대한 64개 사례 연구 목록을 작성했다"며 "이들 공동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들을 디자인하고 있다"고 언급합니다.

이런 가운데 해수면 상승으로 수몰 위기에 처한 몰디브에도 부유도시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몰디브는 주변에 여의도 면적(2.9㎢)의 1.4배인 4㎢의 인공섬 훌후말레를 만들어 이전 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조성한 인공섬 역시 몰디브 해수면 상승이 지속된다면 영구적인 대안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점에서 유사시 선박처럼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물에 뜨는 구조물위에 건설된 '부유도시'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항구 도시에서는 이런 프로젝트가 어느 정도 실현 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실제 부산시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도시가 물에 잠기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 '해상 도시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데요.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8월 빅터 키숍 유엔 해비타트(UN-HABITAT·인간정주계획) 부사무총장과 화상 면담을 통해 '해상도시 프로토타입 연구·건설'에 참여 의지를 밝혔습니다.

부산이 파트너 도시로 결정되면 유엔 해비타트는 해상도시 건설을 지원하고 부산시는 해양 공간(약 6천평)과 내륙 임시 건설 현장을 제공하게 됩니다.

기후 위기의 해법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부유 도시'.

그러나 전문가들은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해수면이 더 상승하는 것을 막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남성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기후 변화 문제가 너무 심각하니 이제 기후 비상이라는 표현까지 쓰잖아요. 우리나라가 서구보다 경각심이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해수면 상승 이슈에도 관심을 쏟았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남 교수는 "물건 하나를 소비할 때도 지구의 환경과 기후에 부담을 덜 주는 제품을 사는 현명한 소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인교준 기자 송정현 김민주 인턴기자

물에 잠기는 몰디브…띄우는게 해법?[뉴스피처] - 2

kjih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