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비정규직 평균 월급 177만원…정규직과 격차 157만원 역대 최대

송고시간2021-10-26 12:00

beta
세 줄 요약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월급이 정규직보다 157만원 적은 177만원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격차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올해 6∼8월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작년 동기보다 5만8천원(3.4%) 증가한 176만9천원으로 집계됐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월급은 3.4% 늘어…10명 중 6명은 자발적 비정규직

임금근로자 17%는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 활용…43%는 유연근무 희망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김다혜 기자 =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월급이 정규직보다 157만원 적은 177만원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격차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비정규직 평균 월급 177만원…정규직과 격차 157만원 역대 최대 (CG)
비정규직 평균 월급 177만원…정규직과 격차 157만원 역대 최대 (CG)

[연합뉴스TV 제공]

◇ 비정규직 월급 3.4% 늘었지만…정규직과 임금 격차는 더 벌어져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올해 6∼8월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작년 동기보다 5만8천원(3.4%) 증가한 176만9천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1년 전보다 10만2천원(3.2%) 늘어난 333만6천원이었다.

이에 따른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는 156만7천원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증감 비교는 2004년부터)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동기(152만3천원)보다 4만4천원(2.9%) 늘어난 수준이다.

비정규직 가운데 시간제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91만6천원으로 1만3천원(1.4%) 늘었다.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은 242만7천원으로 8만6천원(3.7%) 증가했다.

이외 파견 또는 용역, 가정 내 근로자를 통칭하는 비전형근로자의 임금은 196만7천원, 한시적 근로자의 임금은 187만1천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모두 합친 임금근로자 임금은 1년 전보다 5만3천원(2.0%) 늘어난 월 273만4천원이었다.

임금근로자의 59.8%가 월급제로 임금을 받았고, 이외 연봉제가 18.8%, 시급제가 9.9%였다.

[그래픽] 비정규직·정규직 월평균 임금
[그래픽] 비정규직·정규직 월평균 임금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 연차 쓰는 비정규직 35%에 그쳐…상여금 수혜율 1.9%P↓

근로 복지 측면에서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는 뚜렷이 나타났다.

올해 8월 기준으로 비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연차 유급휴가와 출산휴가를 포함한 유급휴일 대상(유급휴일을 썼거나 쓸 수 있는 경우)인 사람은 35.1%였으나 정규직은 10명 중 8명(83.3%) 이상이 유급휴일 대상이었다.

비정규직 가운데 상여금 수혜 대상인 사람도 전체의 35.7%에 그쳤다. 이는 작년 같은 달보다 1.9%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반면 상여금 대상 정규직 비율은 86.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비정규직의 고용보험·건강보험·국민연금 등 사회보험 가입률은 1년 전보다 올라갔다.

특히 비정규직의 고용보험 가입률은 52.6%로 1년 전보다 6.5%포인트 상승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 비율은 12.6%로 전년 같은 달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비정규직 노조 가입자 비율도 소폭 올랐으나 가입 비율은 3.3%에 그쳤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급여 차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급여 차이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비정규직 10명 중 6명은 자발적 선택

비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자발적 사유로 일자리를 선택한 사람의 비율은 1년 전보다 3.3%포인트 상승한 59.9%로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10명 중 6명은 스스로 비정규직 일자리를 선택한 셈으로, 자발적 선택 사유 가운데는 '근로조건에 만족한다(58.1%)'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반면 10명 중 4명(40.1%)은 여전히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비정규직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발적 사유로는 '당장 수입이 필요하다(75.9%)'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 정규직·비정규직 근속기간 차이 5년7개월…17%가 유연근무제 활용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평균 근속 기간 차이는 5년 7개월로 집계됐다.

정규직 근로자의 현재 직장에서 평균 근속기간은 8년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개월 감소했고, 비정규직은 2년 5개월로 1년 전과 동일했다.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정규직이 38.7시간, 비정규직이 30.2시간으로 격차는 8.5시간이었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평균 취업 시간은 주당 35.4시간이었다.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을 보면 임금근로자의 16.8%인 353만4천명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가운데 유연근무제 사용 비율(17.9%)이 기혼(16.3%)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30대가 23.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유형별로 보면 재택 및 원격 근무제(32.3%), 시차출퇴근제(29.9%), 탄력적 근무제(27.4%), 선택적 근무시간제(23.1%) 순이었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은 근로자 가운데 이를 희망하는 사람의 비율은 42.8%로 나타났다.

mskwa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