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20대 가구 저축으로 서울 아파트 사려면 95년 걸려"

송고시간2021-10-28 17:11

beta
세 줄 요약

지금 20대가 저축으로 서울 아파트를 사려면 100년 가까운 기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민주노동연구원 이한진 연구위원은 28일 공개한 '가구주 교육정도별·연령대별 소득 및 재무상태 변화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작년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0억4천299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구주가 30대 미만인 가구가 저축으로 서울에 아파트를 사려면 94.91년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온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저축가능액과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 비교…2012년보다 3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활용 민주노총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지난 2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의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매물 가격 안내판 앞을 한 시민이 은행 통장을 든 채 지나가고 있다. 2021.10.25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지난 2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의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매물 가격 안내판 앞을 한 시민이 은행 통장을 든 채 지나가고 있다. 2021.10.25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지금 20대가 저축으로 서울 아파트를 사려면 100년 가까운 기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민주노동연구원 이한진 연구위원은 28일 공개한 '가구주 교육정도별·연령대별 소득 및 재무상태 변화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소득에서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을 모두 뺀 금액을 '저축가능액'으로 보고 이를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와 비교했다.

자료는 정부 가계금융복지조사와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을 활용했다.

지난해 기준 가구주가 30대 미만인 가구의 저축가능액은 연간 1천99만원이었다.

정기적이고 예측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하는 경상소득은 연 3천533만원, 가계를 운영하기 위한 상품·서비스를 사는 데 쓰는 돈인 소비지출은 연 1천939만원, 세금 등을 내는 데 쓰는 비소비지출은 연 495만원이어서 나온 금액이다.

서울 아파트 값 평균 12억원 육박
서울 아파트 값 평균 12억원 육박

서울의 평균 아파트값이 올해 들어서만 1억5천만 원 넘게 오르며 약 12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지난 5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주택가격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1억9천978만원으로, 12억원에 근접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작년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0억4천299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구주가 30대 미만인 가구가 저축으로 서울에 아파트를 사려면 94.91년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2012년 57.12년에 견줘 37.79년 늘어난 것이다.

아파트값이 큰 폭으로 뛰었기 때문이다.

가구주가 30대, 40대, 50대인 경우 지난해 기준 저축가능액으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모으는 기간은 각각 47.33년, 43.40년, 38.33년이었다.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경우엔 67.72년으로 추산됐다.

가구주가 30세 미만인 가구는 저축가능액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2012년과 지난해 사이 가구주가 30세 미만인 가구 저축가능액 증가율은 23.62%로 나머지 연령대(30대 57.53%·40대 77.76%·50대 87.27%·60세 이상 130.54%)와 비교해 크게 낮았다.

가구주 연령대별 저축가능액과 각 연도 12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와 비교한 그래프. [민주노총 민주노동연구원 '가구주 교육정도별·연령대별 소득 및 재무상태 변화 분석' 이슈페이퍼 갈무리=연합뉴스]

가구주 연령대별 저축가능액과 각 연도 12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와 비교한 그래프. [민주노총 민주노동연구원 '가구주 교육정도별·연령대별 소득 및 재무상태 변화 분석' 이슈페이퍼 갈무리=연합뉴스]

이 연구위원은 가구주가 30세 미만인 가구의 소비지출액이 급등해 '소득 중 저축가능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급감하는 시점과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한 시점이 2016년으로 맞물린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택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내 집 마련을 포기한 N포세대 특성이 그대로 드러난다"라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가구주의 학력이 대학 졸업 이상인 가구와 고등학교 졸업인 가구의 자산 차가 늘었다는 내용도 담겼다.

고졸 가구 총자산은 지난해 3억6천114만원으로 2010년(2억4천116만원)보다 49.75% 늘었는데, 같은 기간 대졸 가구는 총자산이 4억258만원에서 6억6천115만원으로 64.23% 증가했다.

이에 두 가구 간 총자산 차이는 1억6천143만원에서 3억1만원으로 확대됐다.

경상소득 격차도 1천828만원에서 2천926만원으로 늘었으나 자산 차가 확대된 정도보다는 확대 폭이 작았다.

고졸 가구와 대졸 가구 간 총자산 격차가 늘어난 까닭은 대졸 가구가 빚을 내 아파트를 구매하면서 부채를 지렛대로 자산을 늘리는 데 성공했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대졸 가구 부채는 작년 1억3천307만원으로 2010년(7천326만원)보다 5천981만원 늘었는데 같은 기간 고졸 가구 부채는 3천978만원에서 6천638만원으로 2천660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jylee24@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