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최종건 외교차관, 한미일 협의차 미국행…대중전략 논의 주목

송고시간2021-11-14 12:22

beta
세 줄 요약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14일 미국·일본 외교차관과의 양자회담 및 3자 협의회를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이번 한미일 외교차관의 회동은 조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첫 미중 화상 정상회담을 전후해 연달아 진행되는 만큼 3국이 대중 견제 및 3각 공조와 관련해 어떤 논의를 할지 주목된다.

이 협의회에서는 미국 현지시간으로 15일 저녁 예정된 미중 화상 정상회담 결과와 세부 논의사항, 대중 견제 전략 등이 공유될지 주목된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미중 정상회담 직후 3국 외교차관 협의…공급망·북핵 등 협의

기시다내각 출범후 첫 한일 고위급회담도…징용·위안부 좁힐까

최종건 외교부 1차관, 한미일 회동 위해 방미
최종건 외교부 1차관, 한미일 회동 위해 방미

(영종도=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한미일 외교차관 회담 및 협의회를 위해 14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3국 회담에서는 바이든 행정부 주요 관심사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대중국 견제, 한반도 종전선언 문제, 대북정책 조율 등이 논의될지 주목된다. 2021.11.14 hwayoung7@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14일 미국·일본 외교차관과의 양자회담 및 3자 협의회를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이번 한미일 외교차관의 회동은 조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첫 미중 화상 정상회담을 전후해 연달아 진행되는 만큼 3국이 대중 견제 및 3각 공조와 관련해 어떤 논의를 할지 주목된다.

한미일 외교차관
한미일 외교차관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최종건 한국 외교부 1차관(왼쪽부터),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7월 21일 오전 일본 도쿄 외무성 이쿠라공관에서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를 마치고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외교부에 따르면 최 차관은 오는 20일까지 미국을 방문해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모리 다케오(森健良) 외무성 사무차관을 만난다. 3국 외교차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지난 7월 이후 넉 달 만에 처음이다.

우선 17일(이하 현지시간) 열리는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결과에 가장 이목이 쏠린다.

특히 이 협의회에서는 미국 현지시간으로 15일 저녁 예정된 미중 화상 정상회담 결과와 세부 논의사항, 대중 견제 전략 등이 공유될지 주목된다.

한미일의 주요 관심사인 북핵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신임 일본 외무상은 지난 13일 전화 회담을 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미일·한미일이 긴밀하게 협력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한미일이 최근 북핵 수석대표 회동을 통해 논의해 온 종전선언 문제와 최근 국제적인 이슈로 떠오른 공급망 재편 및 경제안보 전략, 대만을 비롯한 남중국해 문제 등도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일 3각 공조를 중시한다는 입장을 강조해온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7월 4년 가까이 중단됐던 한미일 차관 협의를 되살렸으며, 협의회를 분기마다 정례 개최하고 있다.

한미일 회담 위해 출국하는 최종건 외교부 1차관
한미일 회담 위해 출국하는 최종건 외교부 1차관

(영종도=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한미일 외교차관 회담 및 협의회를 위해 14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3국 회담에서는 바이든 행정부 주요 관심사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대중국 견제, 한반도 종전선언 문제, 대북정책 조율 등이 논의될지 주목된다. 2021.11.14 hwayoung7@yna.co.kr

아울러 16일에는 최 차관과 셔먼 부장관이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연다.

종전선언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개 방안은 물론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관련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한국은 JCPOA 당사국은 아니지만, 2018년 미국의 대이란 추가 제재로 70억 달러(약 8조3천억 원)의 이란 자금을 묶어둔 상태다. 이달 29일 JCPOA 복원 협상이 재개되고 이란이 줄곧 해당 자금을 풀어달라고 요구하는 상황에서 동결자금 해제 논의에 진전이 있을지 주목된다.

최근 '요소수 대란'으로 주목받은 경제안보 분야 협력과 다음 달 예정된 민주주의 정상회의 등도 한미 간의 현안이다.

이외에도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구상 연계 방안, 중남미 이민자 문제 등의 지원방안 등 앞서 5월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가 어떻게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방미를 계기로 한일 외교차관회담도 열린다.

이는 지난달 4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내각이 출범한 이후 열리는 첫 고위급 회담이다.

한일 양국은 강제징용 피해자·위안부 피해자 배상 문제를 놓고 별다른 접점을 찾지 못한 채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

일본은 강제징용과 일본군 위안부 동원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등으로 모두 해결됐으며 관련 소송 및 재판 결과와 관련해서도 한국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한일 외교차관회담에서 양국이 서로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에 다가설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heeva@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