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김정은 집권 10년] ⑦ 주요 일지

송고시간2021-11-21 07:10

beta
세 줄 요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2월이면 집권 10년 차를 맞는다.

김 위원장은 2011년 12월 부친의 사망으로, 같은 달 '1인자' 자리에 오른 뒤 10년간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다져 최근에는 '수령' 칭호까지 붙는 등 선대와 같은 반열에 올라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음은 지난 10년간 김정은 위원장 행적과 핵·미사일 등 북한 동향, 남북관계 일지.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2019년 12월 백마 타고 백두산 오르는 김정은
2019년 12월 백마 타고 백두산 오르는 김정은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2월이면 집권 10년 차를 맞는다.

김 위원장은 2011년 12월 부친의 사망으로, 같은 달 '1인자' 자리에 오른 뒤 10년간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다져 최근에는 '수령' 칭호까지 붙는 등 선대와 같은 반열에 올라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집권 기간 핵·미사일 고도화를 추구해 2017년 6차 핵실험(북한 ICBM 수소탄 성공 주장)에 이어 신형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5'형을 발사한 이후 "국가핵무력 완성"을 선언했다.

이 기간 남북관계는 2018년 4월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으로 한때 해빙기를 맞았으나 이듬해 북미 정상회담 결렬과 지난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으로 위기를 맞았다. 남측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구상도 차질을 빚고 있다.

다음은 지난 10년간 김정은 위원장 행적과 핵·미사일 등 북한 동향, 남북관계 일지.

◇ 2010년

▲ 9.28 = 김정은, 제3차 당대표자회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등장. 후계 구도 공식화

◇ 2011년

▲ 12.17 =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 12.30 = 김정은, 노동당 정치국 회의서 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추대

◇ 2012년

▲ 4.11 = 김정은, 제4차 당대표자회서 노동당 제1비서·정치국 상무위원·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추대. 김일성·김정일주의를 유일지도사상으로 명문화

▲ 4.13 = 헌법 개정해 김정은을 국방위 제1위원장에 추대. 광명성 3호 위성 탑재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후 실패 시인

▲ 4.15 = 김정은, 김일성 100회 생일맞이 열병식서 첫 공개연설. "김정일 유훈 받들 것"

▲ 7.6 = 김정은 부인 리설주, 모란봉악단 창단 공연서 첫 등장

▲ 7.15 = 리영호 인민군 총참모장 숙청

▲ 7.17 = 김정은에 '공화국 원수' 칭호 부여

▲ 12.12 =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2호기 발사, 위성궤도 진입 성공

◇ 2013년

▲ 1.1 = 김정은, 1994년 김일성 이후 19년 만에 최고지도자 육성 신년사 발표

▲ 1.23 = 유엔 안보리, 북한 장거리 로켓 관련 제재 결의 2087호 채택

▲ 2.12 = 북한 제3차 핵실험

▲ 2.25 = 박근혜 대통령 취임

▲ 3.7 = 안보리, 핵실험 관련 대북 제재 결의 2094호 채택

▲ 3.31 = 김정은 주재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 '경제·핵무력 병진노선' 채택

▲ 4.2 = 영변 원자로 재가동 발표

▲ 12.8 = 조선중앙통신, '정권 2인자' 장성택 실각 확인 보도

◇ 2014년

▲ 1.1 = 김정은 신년사.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 마련" 촉구

▲ 1.8 = 김정은 부부, 데니스 로드먼과 북한 농구경기 관람

▲ 2.12 = 남북 고위급 접촉. 이산가족 상봉, 비방·중상 중단 등 협의

▲ 2.20 = 금강산 남북 이산가족 상봉

▲ 3.9 = 김여정, 김정은 수행자로 북한 매체에 처음 등장

▲ 4.1 = 12년제 의무교육 공식 개시

▲ 4.9 = 김정은, 최고인민회의 제13기 1차 회의서 국방위 제1위원장 재추대

◇ 2015년

▲ 8.4 = 비무장지대 북한 목함지뢰 도발로 한국군 부사관 2명 중상

▲ 8.20 = 북한군 경기도 연천서 포격 도발

▲ 8.22 = 남북 고위급 접촉

▲ 10.20 =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

◇ 2016년

▲ 1.6 = 북한 제4차 핵실험. 조선중앙TV "첫 수소탄 시험 성공적 진행" 발표

▲ 2.7 = 광명성 4호 위성 탑재한 장거리 로켓 '광명성호' 발사. 위성궤도 진입

▲ 2.10 = 한국,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 발표

▲ 3.2 = 안보리,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로켓 관련 제재 결의 2270호 채택

▲ 5.6 = 노동당 제7차 당대회. 김정은 "책임 있는 핵보유국" 선언. 김정은을 당 위원장으로 추대하고 '위대한 영도자' 칭호 부여. 경제발전 5개년 전략 제시

▲ 6.29 = 김정은, 국방위원회 대체 신설된 국무위원회 위원장 추대

▲ 8.24 = 북한, 첫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1형 수중 발사

▲ 9.9 = 제5차 핵실험

▲ 11.30 = 안보리, 5차 핵실험 관련 제재 결의 2321호 채택

2017년 6차 핵실험 관계자 위한 연회에 참석한 김정은
2017년 6차 핵실험 관계자 위한 연회에 참석한 김정은

[조선중앙TV=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 2017년

▲ 5.10 = 문재인 정부 출범

▲ 6.2 =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2356호 채택

▲ 7.6 = 문재인 대통령, 독일서 '베를린 구상' 발표

▲ 8.5 = 안보리, ICBM 시험발사 관련 대북 제재 결의 2371호 채택.

▲ 9.3 = 북한 제6차 핵실험. 북한 핵무기연구소 "ICBM 장착용 수소탄 시험 완전 성공" 발표

▲ 9.11 = 안보리, 6차 핵실험 관련 제재 결의 2375호 채택

▲ 11.29 = ICBM 화성-15형 발사. 김정은 "국가 핵무력 완성" 선언

▲ 12.22 = 안보리, 화성-15형 관련 제재 결의 2397호 채택

◇ 2018년

▲ 1.1 = 김정은 신년사. 평창올림픽 대표단 파견 용의 표명

▲ 2.9 = 김여정·김영남, 평창올림픽 개회식 참석차 방한

▲ 3.25∼28 = 김정은, 중국 방문해 베이징서 시진핑과 1차 회담

▲ 4.20 = 당 중앙위 전원회의 "경제·핵무력 병진 승리" 선포

▲ 4.27 = 제1차 남북정상회담(판문점 남측 평화의집). 판문점선언 채택

▲ 5.7∼8 = 김정은, 중국 방문해 다롄에서 시진핑과 2차 회담

▲ 5.24 =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 5.26 = 제2차 남북정상회담(판문점 북측 통일각)

▲ 6.12 = 제1차 북미정상회담(싱가포르). 싱가포르 북미 공동성명 채택

▲ 6.19∼20 = 김정은, 중국 방문해 베이징서 시진핑과 3차 회담

▲ 9.14 =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

▲ 9.18∼20 = 문재인 대통령 방북. 제3차 남북정상회담(평양). 9.19 평양공동선언 발표

▲ 9.19 = 남북,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9·19 군사합의서) 채택

▲ 12.30 = 김정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한반도 평화 의지 담은 친서 발송

2018년 통일각에서 포옹하는 남북 정상
2018년 통일각에서 포옹하는 남북 정상

[청와대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 2019년

▲ 1.1 = 김정은, 신년사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 용의 발표

▲ 2.27∼28 = 제2차 북미정상회담(베트남 하노이). 합의문 도출 없이 결렬

▲ 4.25 = 김정은, 집권 후 첫 방러.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블라디보스토크 정상회담

▲ 6.20 = 시진핑 방북

▲ 6.30 = 판문점 남북미 정상 회동

▲ 10.23 = 김정은 "금강산 남측 시설 싹 들어내라"고 지시

◇ 2020년

▲ 5.3 = 북한군, 남측 비무장지대 감시초소(GP) 총격

▲ 6.9 = 북한, 대북 전단 살포 비난하며 남북 통신연락선 단절 통보

▲ 6.16 = 북한,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 9.22 = 북한, 소연평도 해상서 남측 공무원 총격·시신 훼손

▲ 10.10 =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 다탄두 탑재 추정 ICBM 화성-17형 공개

2020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장면
2020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장면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photo@yna.co.kr

◇ 2021년

▲ 1.5 = 김정은 제8차 당대회서 경제정책 실패 인정하고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 제시. 핵잠수함, 수중발사 핵전략무기,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공언. 김정은을 노동당 총비서로 추대

▲ 7.27 = 남북 정상, 통신연락선 복원 발표

▲ 8.10 = 김여정, 한미연합훈련 비난. 남북 통신연락선 재단절

▲ 9.28 =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 시험발사

▲ 9.21 = 문재인 대통령, 종전선언 제안

▲ 10.4 = 남북 통신연락선 재복원

▲ 10.11 = 국방발전전람회 '자위-2021' 개최. 김정은 연설 "주적은 전쟁 자체"

▲ 10.19 = 북한, SLBM 잠수함서 발사(8·24영웅함)

▲ 10.28 = 국정원, 북한 내 '김정은주의' 용어 등장 파악 공개

▲ 11~ = 북한 매체 '김정은 수령' 호칭 증가

북한 '김정은주의' 행보
북한 '김정은주의' 행보

(서울=연합뉴스) 국회 정보위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과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28일 비공개로 진행한 국정원 국정감사 도중 브리핑을 통해 김정은 위원장은 당 회의장 배경에서 김일성·김정일 부자 사진을 없애고, 내부적으로 '김정은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등 독자적 사상체계 정립도 시작했다고 했다. 사진은 2016년 열린 북한의 7차 당대회 모습(아래)과 5년 뒤 8차 당대회의 회의장 모습(위)으로, 김일성·김정일 초상이 부각된 7차 대회와 달리 8차 대회장에는 노동당 대형마크가 전면에 배치됐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1.10.28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j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