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전두환 사망] '춘래불사춘'…군홧발에 짓밟힌 민주주의

송고시간2021-11-23 10:51

beta
세 줄 요약

군사 반란으로 정권을 손에 넣은 '전두환 신군부'는 시민들의 들끓는 민주화 요구를 군홧발로 잔인하게 짓밟았다.

김종필(JP) 전 국무총리는 박정희 전 대통령 사후(死後) 정치 과도기적 상황을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이라고 빗댔다.

많은 이들은 박 전 대통령의 사망으로 유신독재가 무너져 곧 민주화가 이뤄지고 김대중 또는 김영삼이 대통령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전두환 신군부, 광주 유혈진압…'악몽의 10일' 5·18민주화운동

'체육관 선거' 11·12대 대통령 취임…'반정부 인사' 무자비 탄압

박종철 고문치사·이한열 최루탄 사건, 6·10 항쟁 도화선

노태우 '6·29 선언'으로 대통령직선제 수용…5공화국 종식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금남로에 모인 시민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금남로에 모인 시민

[5·18기념재단 제공]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 이후 열린 듯했던 '서울의 봄'은 얼마 가지 못했다.

군사 반란으로 정권을 손에 넣은 '전두환 신군부'는 시민들의 들끓는 민주화 요구를 군홧발로 잔인하게 짓밟았다.

김종필(JP) 전 국무총리는 박정희 전 대통령 사후(死後) 정치 과도기적 상황을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이라고 빗댔다.

1980년 2월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등 소위 3김이 한데 모인 자리에서였다.

많은 이들은 박 전 대통령의 사망으로 유신독재가 무너져 곧 민주화가 이뤄지고 김대중 또는 김영삼이 대통령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최소한 당시 여당이었던 공화당 김종필 총재나 최규하 대통령이 상당 기간 정권을 이끌 것으로 보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그날 '3김 회동'에서 JP는 '춘래불사춘'이라는 묘한 말을 남겼다.

불길한 예감은 맞아떨어졌다. 전두환·노태우·정호용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석 달도 되지 않아 광주 유혈진압을 통해 역사의 시곗바늘을 거꾸로 돌렸다.

1980년 5월 18일 새벽 2시 전남대와 조선대 등 이 지역 대학에 계엄군이 투입되면서 시작된 '5.18 유혈진압'은 9일 뒤인 27일 새벽 4시55분 계엄군의 전남도청 접수로 '악몽의 10일'에 종지부를 찍는다.

이 열흘의 기억은 훗날 전두환 정권의 반민주적 철권통치를 종식하는 민주화운동의 원동력이 된다.

전두환 전 대통령 취임 선서
전두환 전 대통령 취임 선서

지난 1981년 3월 취임식에서 선서하는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연합뉴스 자료사진]

전두환 전 대통령은 1980년 9월 1일 장충체육관에서 간접 선거를 통해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후 1981년 1월 창당된 민주정의당의 총재가 됐고, 개정된 헌법에 따라 그해 3월 역시 체육관 간선제를 통해 제12대 대통령에 올랐다.

'신군부 독재' 5공화국의 시작이었다.

전두환 정권은 이후 야간통행 금지 조치 해제와 학원 두발·복장 자율화 등을 시행하며 정권에 반발하는 세력에 대한 유화 정책에 주력했다.

스크린(Screen)·스포츠(Sports)·섹스(Sex)를 일컫는 '3S 정책'은 신군부 정권의 대표적 우민화(愚民化) 정책이었다.

아울러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새 질서를 확립한다는 목적하에 삼청교육대를 창설했으나 공포(恐怖) 정치를 펼치기 위해 범법자들의 인권을 유린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삼청교육대
삼청교육대

1980년대 삼청교육대 입소생들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민주화 운동에 대한 탄압 또한 지속했다.

정치인은 물론 재야인사, 학생에 이르기까지 '반정부 활동'을 한 것으로 의심되면 가차 없이 잡아들여 고문을 자행했다.

고(故) 김근태 전 의원은 1985년 9월 국가보안법 등 위반 혐의로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강제감금·고문을 당한 사실을 폭로하고 수사를 요구했으나 묵살당하기도 했다. 고문 후유증에 시달리던 그는 2011년 12월 30일 세상을 떠났다.

민주화 운동 세력에 대한 폭력상은 정권 말기인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통해 비로소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경찰은 1987년 1월 14일 서울대 언어학과 학생이던 박종철 군을 불법 체포한 뒤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하다 사망케 했다.

당시 내무부 치안본부장은 사건의 진실을 알고도 "책상을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며 사인을 '단순 쇼크사'로 은폐했다.

교문 밖 시위하는 연세대생들
교문 밖 시위하는 연세대생들

고(故) 이한열 군 추모궐기대회[연합뉴스 자료사진]

5개월 뒤인 6월 9일 연세대학교 정문 앞.

1천여 명의 학생들이 대정부 시위를 벌이던 중 연세대 경영학과 2학년이던 이한열 군이 경찰에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 위험에 처한 사실이 알려졌고 이는 6·10 민주항쟁을 부르는 도화선이 됐다.

학생, 회사원 할 것 없이 전국에서 시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호헌 철폐'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했다.

앞서 '4·13 호헌조치'를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거부했던 전 전 대통령은 전국적으로 일어난 시위에 무릎을 꿇고 만다.

그해 6월 29일. 여당인 민주정의당 노태우 대선 후보는 '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5공화국의 종식을 알리는 선언이었다.

당시 전두환 정권은 군대를 다시 동원해 반정부 시위대 진압을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자신의 치적이었던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있던 데다 민주화 요구를 수용하라는 미국의 압박 등에 결국 물러선 것으로 전해졌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PohcaSM4l5Y

minary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