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전두환 사망] 끝내 반성도 참회도 없었다…발포명령도 부인

송고시간2021-11-23 12:21

beta
세 줄 요약

전두환 전 대통령은 23일 90세를 일기로 숨질 때까지 생전 자신의 과오에 대해 일말의 사과나 반성이 없었다.

군사 반란을 통한 집권, 5·18 유혈 진압, 철권통치와 인권 탄압, 천문학적 비자금 축재 등 숱한 사건에 대해 그는 궤변으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며 때로는 적반하장의 막말을 뱉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1980년 5월 당시 신군부 쿠데타 세력이 광주 민주화운동을 무력 진압하며 수많은 희생자가 나온 사건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전두환 측, 5·18 사과 질문에 "발포 명령 없었기에 잘못된 질문"

노태우와 대조…'발포명령' 영구 미제 남나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

(서울=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사망했다.
사진은 1979년 11월 6일 전두환 당시 계엄사 합동 수사 본부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사건 관련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2021.11.23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전두환 전 대통령은 23일 90세를 일기로 숨질 때까지 생전 자신의 과오에 대해 일말의 사과나 반성이 없었다.

군사 반란을 통한 집권, 5·18 유혈 진압, 철권통치와 인권 탄압, 천문학적 비자금 축재 등 숱한 사건에 대해 그는 궤변으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며 때로는 적반하장의 막말을 뱉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1980년 5월 당시 신군부 쿠데타 세력이 광주 민주화운동을 무력 진압하며 수많은 희생자가 나온 사건이다. 그는 수십 년 동안 이어진 추궁과 사과 요구에도 단 한 번도 미안한 기색을 드러낸 적이 없다.

국회 5공비리·5.18 특위가 1989년 12월 증인으로 불렀을 때 그는 변명으로 점철한 발표문만 읽고 질문에 답하지 않은 채 퇴장해 야유를 받았다.

문민정부 출범 이후 내란과 5·18의 책임자로 처음 법정에 섰지만, 그는 여전히 진압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당시 사건을 '좌파 세력의 준동'으로 규정했다.

재판 과정에서 "억울하다. 왜 나만 갖고 그래"라고 말한 것은 그의 태도를 단적으로 드러내준 대목으로 꼽힌다.

그러면서 고(故) 김영삼(YS) 전 대통령을 향해 "만약 제가 국가의 헌정질서를 문란케 한 범죄자라면, 이런 내란 세력과 지금껏 야합해온 김영삼 대통령 자신도 이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 순리"라며 적반하장격으로 역정을 내기도 했다.

그는 2003년 한 방송 인터뷰에서 "광주는 총기를 들고 일어난 하나의 폭동이다. 계엄군이기 때문에 계엄군이 진압하지 않을 수 없지 않느냐"라고 했고, 2017년 펴낸 회고록에서도 "5·18 사태는 '폭동'이란 말 이외에는 달리 표현할 말이 없다"고 하는 등 시간이 지나도 전혀 태도를 고치지 않았다.

수십 년이 지나 역사적·법적 평가가 완료된 사건임에도 당시 유혈 진압이 정당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5·18묘역 참배하는 노재헌씨
5·18묘역 참배하는 노재헌씨

사진은 지난 4월 21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아들 재헌씨가 희쟁자들의 묘역을 참배하고 있는 모습. [국립 5·18 민주묘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5·18 최초 발포 명령자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음에도 당시 최고 책임자였던 그가 끝내 입을 다문 채 숨지면서 결국 이 문제는 영구 미제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12·12 군사 반란에 대해서도 그는 회고록에서 "우발적 사건"이라고 주장하면서 권력을 잡기 위한 하극상 반란이라는 법원의 판결을 부정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헌법과 국민이 정해준 임기를 마치면 물러난다는 당연한 원칙을 지키는 선례를 우리 헌정사에 처음으로 기록해놓겠다"며 자신의 단임 실천을 자찬했다.

그는 1996년 비자금 사건 첫 공판에서 기업 측으로부터 돈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기업인들은 내게 정치자금을 냄으로써 정치 안정에 기여하는 보람을 느꼈을 것"이라는 논리를 내세우기도 했다.

자신보다 한 달여 전 세상을 떠난 노태우 전 대통령이 유언 형식으로 참회의 뜻을 밝히고, 자녀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과해 온 것과 여러모로 비교되는 대목이다.

노 전 대통령은 생전 유언으로 "부족한 점 및 저의 과오들에 대해 깊은 용서를 바란다"고 유족들을 통해 밝혔다.

노 전 대통령의 아들 재헌 씨는 2019년 8월 희생자들이 안치된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와 사죄 표명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5월에는 부친 명의의 추모 화환을 헌화하는 등 부친을 대신해 거듭 사과의 뜻을 밝혀왔다.

반면 전 전 대통령 측근인 민정기 전 청와대 비서관은 '5·18 사죄가 없었다'는 기자들의 지적에 대해 "기회 있을 때마다 (했다)"며 "33년 전 11월 23일 백담사 간 날에도 성명을 발표하고 피해자들에게 미안하다는 뜻을 밝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 전 대통령이 공수부대를 사실상 지휘하고 발포명령 것 아니냐, 사죄하라는 것은 질문 자체가 잘못"이라며 "발포 명령은 없었다"는 주장을 이어갔다.

geein@yna.co.kr

전두환, '역사의 단죄' 매듭 못 풀고 떠났다 / 연합뉴스 (Yonhapnews)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tFoDmqj_0Rk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