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전자통신연 "두께 대폭 줄이고 인식범위 넓힌 지문 센서 개발"

송고시간2021-11-30 10:07

beta
세 줄 요약

기존보다 두께를 대폭 줄이고, 인식 범위도 화면 전면으로 넓힐 수 있는 지문 센서가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전자부품제조기업인 클랩(CLAP)과 함께 지문 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구하기 쉬운 소재와 기존 제조공정 활용…빠른 상용화 기대"

ETRI와 포항공대 연구진이 함께 개발한 지문인식 센서
ETRI와 포항공대 연구진이 함께 개발한 지문인식 센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기존보다 두께를 대폭 줄이고, 인식 범위도 화면 전면으로 넓힐 수 있는 지문 센서가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전자부품제조기업인 클랩(CLAP)과 함께 지문 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문 인식 장치는 빛의 음영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 등으로 구성되는데, 기존에는 광센서를 만들 때 주로 실리콘을 사용했다.

연구진은 비스 플루로페닐 아자이드(Bis Fluorophenyl azide)라는 물질을 도핑한 유기물을 활용했다.

유기물은 실리콘보다 광 흡수능력이 좋고, 실리콘보다 작은 두께로 광센서를 만들 수 있다.

실리콘은 흡수할 수 있는 빛을 파장대별로 구별하기 위해 컬러 필터를 추가해야 하지만 유기물은 그럴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두께를 대폭 줄이면서도 센서 모듈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주위 소자에 영향을 받아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인 '소자 간섭'도 줄일 수 있어 필름형 지문 센서를 제작하는 데 유리하다.

연구진은 몰리브덴 산화물-금-몰리브덴 산화물로 구성된 3중층 상부 전극도 개발해 빛을 위에서 받는 형태로 광센서를 만들었다.

빛을 아래서 받는 기존 방식보다 두께를 줄이고 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든 셈이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면 지문 센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부피를 대폭 줄이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ETRI와 포항공대 연구진
ETRI와 포항공대 연구진

ETRI와 포항공대 연구진이 지문인식 센서 성능을 함께 점검하고 토의하는 모습. 왼쪽부터 ETRI 박영삼 박사, 주철웅 선임연구원, 포항공대 김주희 연구원, ETRI 강승열 박사, 포항공대 정대성 교수.[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화면 일부만이 아닌 전면에 지문인식 기능을 부여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기존 제조공정을 사용해 제작할 수도 있어 빠른 양산도 기대할 수 있다.

박영삼 ETRI 책임연구원은 "비밀번호나 공인인증서와 달리 생체 인식 기술은 고유한 신체 특징을 활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크다"며 "이번에 개발된 고성능 필름형 지문 센서는 휴대폰, 노트북, 현금지급기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재료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머티리얼즈 호라이즌스'에 9월 18일자로 온라인 등재됐다.

kjunh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