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정부, 일본 고쿠라 영생원 강제동원희생자 유골 실태조사 나선다

송고시간2022-01-10 06:11

beta
세 줄 요약

한국 정부가 일본 후쿠오카(福岡) 고쿠라(小倉) 교회 영생원(永生園)에 안치된 조선인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다.

강제동원 여부와 유족들의 봉환 의사 등도 물을 계획이어서 2010년 이후 끊겼던 정부 차원의 유골 봉환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0일 행정안전부 산하기관인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따르면 재단은 지난달 '일본 후쿠오카현 고쿠라교회 영생원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실태·실지조사(시범)'에 참여할 기관을 모집하는 공고를 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행안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실태조사 추진

정부차원 유골봉환 2010년 이후 끊겨…실태조사도 10년새 처음

한일 관계 악화에 정부는 소극적…실제 봉환까진 '난관' 예상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한국 정부가 일본 후쿠오카(福岡) 고쿠라(小倉) 교회 영생원(永生園)에 안치된 조선인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다.

정부 산하기관이 조사에 나서는 것이지만, 지난 2012년 관련 정부 위원회 해체 후 처음 정부가 실시하는 유해 실태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강제동원 여부와 유족들의 봉환 의사 등도 물을 계획이어서 2010년 이후 끊겼던 정부 차원의 유골 봉환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본 탄광 강제징용 피해자 조선인들. [해외교포문제연구소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탄광 강제징용 피해자 조선인들. [해외교포문제연구소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10일 행정안전부 산하기관인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따르면 재단은 지난달 '일본 후쿠오카현 고쿠라교회 영생원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실태·실지조사(시범)'에 참여할 기관을 모집하는 공고를 냈다.

영생원은 일본 후쿠오카(福岡) 지역에 강제동원된 조선인 희생자 등 조선인 유골을 안치하고 있는 시설이다. 재일 조선인 인권 문제에 헌신한 최창화 목사가 1973년 건립했다.

157위의 유골을 모셨으나 현재는 유족들에게 봉환된 72위를 제외하고 85위가 잠들어있다.

산하기관을 포함해 정부가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에 대해 실태조사를 하는 것은 최근 10년 사이에는 없던 일이다.

2012년 말까지 활동한 국무총리 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시절에는 활발했지만, 위원회 해체 후인 2014년 6월 재단이 들어선 뒤에는 처음이다.

재단은 공고문에서 실태조사에 대해 "구 위원회 이후 중단된 유해실태·실지조사를 재개해 그간의 연구 공백을 보완하는 것이 목표"라며 "재단 최초 유해 실태·실지조사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조사 방법, 범위, 유관 기관별 역할 분담 등 향후 유해 사업의 표준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편히 잠드소서
편히 잠드소서

일본 홋카이도 조선인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및 유골 귀향 추진위원회' 봉환단이 2015년 9월20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용미리 서울시립묘지에서 115위의 유골을 모시고 납골당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공고문에 따르면 사업 참여 기관은 현지 조사와 기록물 조사 등을 통해 영생원에 모셔진 유해의 수와 보존상태 등 유해 현황을 파악한다.

또 유해의 신원, 강제동원 피해 여부를 확인하고 유해의 안치 상태(화장, 합골, 개별성 여부 등)를 조사하는 한편 구술 조사를 통해 유족의 인수 의사를 확인한다.

재단이 조사 내용에 강제동원 여부와 유해의 개별성(다른 유해와 섞여 있지 않은지 여부), 유족 조사 등을 포함한 것은 실제 유골의 국내 봉환을 염두에 둔 것이다.

재단은 공고문에서 사업의 목적에 대해 "유해 봉환·미봉환 대상을 확정해 향후 신속한 국내봉환 추진에 기여"라고 명시했다.

재단이 영생원 유해에 대한 실태조사를 추진한 것에는 영생원이 민간 시설인데다 유골 봉환에 적극적인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재단 관계자는 "영생원의 유골은 상대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있다"며 "사업 추진에는 유골을 고향으로 봉환하려는 일본 현지 시민 활동가들의 노력이 동력이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일 정부간 관계 악화가 장기간 이어지는 상황에서 실태조사가 실제로 유골 봉환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나가사키 사찰 한국인 유골
나가사키 사찰 한국인 유골

지난 2018년 5월31일 일본 나가사키(長崎)현 이키(壹岐)섬의 사찰 덴토쿠지(天德寺)에 안치된 강제징용자와 가족 등을 한국인 유골 131위.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 정부 차원의 유해 봉환은 2010년 이후 11년 넘게 중단된 상태다. 2004년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당시 일본 총리의 합의 후 2008~2010년 423위가 조국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그후 정부 차원의 유골 봉환은 없었다. 이는 문재인 정부 시절에서도 마찬가지다.

그간 정부차원에서 봉환된 유골은 모두 군인·군속의 것으로, 기업에 의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이 봉환된 적은 없다.

이후 시민·종교단체 차원에서 유골 봉환이 성사되긴 했지만, 타국에서 억울하게 숨졌다가 고향 땅에 돌아가지 못하는 영혼들을 위로하기 위해서는 우리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재단 관계자는 "실태조사는 유골이 봉환될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기초 조사"라며 "실제로 봉환이 추진될지는 재단 차원을 벗어난 얘기"라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계속 유해봉환 추진에 대해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행안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 이성락 강제동원희생자유해봉환과장은 시범사업의 의미를 묻는 연합뉴스의 질문에 "실태조사는 처음 듣는 얘기"라고 말했다.

일본에는 징용된 노동자나 징병으로 끌려온 군인·군속의 유골 2천700여위가 340여곳의 일본 사찰, 납골당에 흩어져 보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제말 미국과 일본 간 전투가 치러진 일본 남부 오키나와(沖繩)를 비롯해 팔라우, 사이판, 필리핀 등지에서 발굴되지 않은 채 묻혀 있는 조선인 군인·군속의 유골은 최소 2만2천구로 추정된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재단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bkkim@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