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연합시론] '긴축의 시대'에 경제주체 리스크 관리에 만전 기해야

송고시간2022-01-24 13:57

beta
세 줄 요약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강화 움직임으로 글로벌 증시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가 종식되면 빅 테크 기업들의 실적이 이전 같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이들 기업의 주식이 대대적인 조정 국면에 들어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적 우려 못지않게 25~26일 열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주가 하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금리 인상 공포에 3대 지수 동반 하락한 미 뉴욕증시
금리 인상 공포에 3대 지수 동반 하락한 미 뉴욕증시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강화 움직임으로 글로벌 증시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나스닥 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12% 하락했고, 코스피 지수도 24일 13개월 만에 장중 2,800을 내줬다. 코로나 이후 비대면 사회가 되면서 수혜를 입었던 글로벌 빅 테크 기업들의 주가는 작년 11월을 정점으로 일제히 폭락했다. 아마존, 테슬라, 메타(구 페이스북) 등의 주가는 모두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했고, 구글의 지주사인 알파벳은 13%, 사상 첫 시가총액 3조 달러 기업에 등극했던 애플조차도 9% 가까이 떨어졌다. 전년도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폭락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명목상으로는 실적에 대한 우려 때문일 것이다. 코로나 사태가 종식되면 빅 테크 기업들의 실적이 이전 같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이들 기업의 주식이 대대적인 조정 국면에 들어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실적 우려 못지않게 25~26일 열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주가 하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지난주 미국 증시가 최악의 한 주를 보낸 것은 연준이 예상보다 더 가파르게 매파적 긴축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연준은 거의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인플레이션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금리 인상에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준이 올 한 해 동안 6∼7회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긴축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경기에 대한 불안심리가 시장에 유입되면 위험자산 회피,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는 것이 금융시장의 생리다. 가상 화폐 시장의 '대장주'로 불리는 비트코인은 지난 주말 6개월 만에 3만5천 달러를 밑돌았다. 지난달 초만 해도 6만7천 달러 선에서 거래됐는데, 불과 한 달여 만에 반 토막이 난 것이다. 코인 가격 폭락 역시 미국의 잠재적 금리 인상과 긴축 통화 정책으로 인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봐야 한다. 무섭게 치솟던 주택 가격도 금리 인상의 여파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자산 시장의 리밸런싱(자산 재조정)이 전반적 흐름이 되고 있는 양상이다. 투자 심리의 일시적 개선 등으로 기술적 반등 가능성은 있지만, 너무 부풀려진 거품이 이제 꺼질 때가 됐다는 것이 주류적 분위기로 자리 잡아가는 상황에서 경제 주체들은 향후 이어질 조정 국면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할 때다. 가계는 무리한 대출로 아파트, 주식 등 자산 투자에 나서는 것을 경계하고, 기업은 유동성을 확보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물가, 금리, 환율 등의 불안정성을 관리하는 조처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무리한 재정지출 확대는 독이 될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빅 테크 기업들이 코로나 특수를 지나면서 조정을 받는 것은 불가피한 일일 것이다. 걱정스러운 것은 그 여파가 테크 산업 전반의 위축으로 확산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당장의 캐시 플로우는 안 좋아도 기술력과 성장 비전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긴축의 파고에 휩쓸려 제대로 피어보지도 못하고 도태될 수도 있겠기 때문이다. 자산 버블은 경계해야 하고 리밸런싱의 타이밍에 옥석이 가려지는 과정도 필요하지만, 우리의 성장동력이자 미래의 먹거리인 테크 산업의 생태계 자체가 파괴돼서는 안 된다. 긴 안목으로 전략적 판단을 해야 할 책임과 의무는 국가 리더십에 달려 있다.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