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부동산시장 전문가 10명 중 7명 "올해 집값 하락·보합 예상"

송고시간2022-01-27 12:00

beta
세 줄 요약

부동산시장 전문가 10명 중 7명이 올해 집값은 하락하거나,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2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021년 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에 실린 전문가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1.3%는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10명 중 7명(69.6%)은 주택 가격이 지금보다 내리거나, 지금과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본 것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주택 가격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vs 신규 공급 입주 물량 부족"

전세시장은 보합 전망…비수도권에서는 과반이 전세가 하락 예상

서울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부동산시장 전문가 10명 중 7명이 올해 집값은 하락하거나,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2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2021년 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에 실린 전문가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1.3%는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 가운데 29.0%는 집값이 5% 미만으로 소폭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5∼10% 미만 하락을 예상한 사람은 15.1%, 10% 이상 하락을 예상한 사람은 7.2%로 각각 집계됐다.

주택 가격이 보합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한 사람은 18.3%였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10명 중 7명(69.6%)은 주택 가격이 지금보다 내리거나, 지금과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본 것이다.

나머지 30.4%는 올해도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택 매매가격 하락을 전망한 이유로는 '주택 매매가격 고점에 대한 인식과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이 3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금리 인상'을 하락 요인으로 본 사람이 28.5%로 뒤를 이었다.

이외 '금융 규제(19.3%)', '주택 관련 세제 강화(17.6%)' 등의 순이었다.

반면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한 전문가 가운데는 '신규 공급 입주 물량 부족'을 이유로 든 사람(29.5%)이 가장 많았다.

이외 '투자 대체재 부족과 풍부한 유동성(24.5%)', '세제 강화에 따른 매물 감소(21.9%)' 등의 순이었다.

임대차 3법 시행 후 2년이 지나면서 전세가격이 오르고, 이에 따른 갭투자가 증가하면서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본 전문가도 19.0% 있었다.

올해 대선의 경우 상승·하락 전망 양측에서 영향이 1% 남짓으로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에 대해서는 상승률이 '높다'고 응답한 전문가가 88.3%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작년 상반기(96.0%)와 비교하면 응답 비중은 다소 줄었다.

[그래픽] 2022년 주택 매매가격 전망
[그래픽] 2022년 주택 매매가격 전망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인스타그램 @yonhapgraphics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올해 서울 지역 주택 매매가격에 대해서는 65.7%가 하락 또는 보합을 예상했다.

이들 가운데 5% 미만 소폭 하락을 예상한 사람이 23.7%로 가장 많았고, 5∼10% 미만 하락을 예상한 사람이 15.3%, 10% 이상 하락을 예상한 사람이 8.3%를 각각 차지했다.

나머지 18.3%는 서울 집값이 보합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으며, 34.4%는 여전히 서울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봤다.

서울 집값 상승 요인으로는 '신규 공급 입주물량 부족(31.1%)'을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올해 보합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비수도권의 경우 전세가가 하락할 것으로 본 전망(54.3%)이 과반을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교수·연구진 등 학계와 금융기관·건설사 종사자 등 부동산시장 전문가 8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mskwa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