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포스코 지주사 전환, 철강업 넘어 신사업 확장 포석

송고시간2022-01-28 11:38

beta
세 줄 요약

재계 6위인 포스코[005490]가 창립 54년 만에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포스코가 철강업을 넘어 친환경 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할지 주목된다.

포스코가 지주사 전환의 가장 큰 이유로 철강기업을 넘어 이차전지 소재와 수소 등 신성장분야를 아우르는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힌 만큼 이번 지주사 전환을 계기로 회사가 철강 중심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신사업 육성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은 지주사 전환 안건이 상정된 이날 임시주주총회 인사말에서도 미래 경영환경의 변화를 강조하며 "철강과 신사업 간의 균형 성장을 가속화하고 친환경 소재 기업으로 사업 정체성을 바꿔나가겠다"고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이차전지·수소 등 신산업 본격 추진…"친환경 소재 그룹으로 도약"

포스코
포스코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재계 6위인 포스코[005490]가 창립 54년 만에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포스코가 철강업을 넘어 친환경 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할지 주목된다.

포스코가 지주사 전환의 가장 큰 이유로 철강기업을 넘어 이차전지 소재와 수소 등 신성장분야를 아우르는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힌 만큼 이번 지주사 전환을 계기로 회사가 철강 중심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신사업 육성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은 지주사 전환 안건이 상정된 이날 임시주주총회 인사말에서도 미래 경영환경의 변화를 강조하며 "철강과 신사업 간의 균형 성장을 가속화하고 친환경 소재 기업으로 사업 정체성을 바꿔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임시주총 표결에서 지주사 전환 안건이 통과됨에 따라 포스코는 물적 분할을 통해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와 철강사업회사인 '포스코'로 나뉜다.

존속법인인 포스코홀딩스는 그룹의 미래 신사업 발굴과 사업 및 투자관리를 전담하는 역할을 하고, 철강사 포스코는 100% 자회사로 분리된다.

이렇게 되면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지배구조의 최상단에 있고, 포스코를 비롯해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등 다른 자회사가 그 아래 병렬 구조로 놓이는 형태가 된다.

이는 철강에 편중된 기존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이차전지 소재, 수소, 에너지 등의 '신성장산업'의 사업 비중을 확대하기 위한 수순으로 풀이된다.

포스코는 이미 수년 전부터 철강기업 대신 '친환경 미래 소재 대표기업'을 내세우며 신성장산업을 본격적 육성해왔다.

세계적인 산업 패러다임이 친환경 방향으로 바뀌는 가운데 기존 철강 산업이 성수기를 지나 쇠퇴기에 접어들었다는 판단에 따라 미래 성장 동력 발굴을 추진해온 것이다.

포스코그룹 성장비전
포스코그룹 성장비전

[포스코 뉴스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회사 측은 앞서 지난해 말 지주사 전환 계획을 발표하면서도 ▲ 철강 ▲ 이차전지소재 ▲ 리튬·니켈 ▲ 수소 ▲ 에너지 ▲ 건축·인프라, 식량 ▲ 미래사업 등을 7대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철강은 친환경이 최우선하는 환경 변화에 발맞춰 친환경 생산체제 기반을 구축하고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차전지 소재는 양·음극재 생산능력을 현재의 11만5천톤(t)에서 2030년 68만t까지 확대하고 선도 기술 확보를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차전지 소재 원료인 리튬과 니켈 사업은 자체 보유한 광산과 염호를 통해 2030년까지 리튬 22만t, 니켈 14만t의 생산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오는 11월 광양에 준공하는 1단계 리사이클링 공장을 통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도 본격화한다.

수소 사업은 2030년까지 10조원을 투자하여 연간 매출 2조3천억원, 생산 50만t 달성이 목표다. 이후 20년간 사업을 고도화해 2050년까지 연간 700만t의 수소 생산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톱10' 수소 공급 기업으로 자리 잡는다는 포부다.

철강에서의 수소환원제철과 포스코에너지의 발전사업으로도 국내 최대 수소 수요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수소사업은 특히 그룹 미래 사업의 중심축이 될 전망이다.

에너지 사업에서는 천연액화수소(LNG)와 암모니아, 신재생에너지 등 수소 경제와 연계한 사업을 확대하고, 건축·인프라 분야에서도 제로에너지 빌딩, 모듈러 건축, 수소생산플랜트 등 친환경 분야 수주를 확대한다.

식량사업은 국제환경인증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지주회사 체제 아래 유망 벤처기업을 육성함으로써 미래 사업 발굴도 추진한다.

포스코는 이를 통해 기업가치를 2030년까지 현재의 3배 이상으로 증대시키는 한편 주주가치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최정우 회장은 "회사의 경영구조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해 철강과 신사업 간의 균형성장을 가속화하고 사업정체성 또한 친환경 소재 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 성장주로서의 노력이 기업가치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ucid@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