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아무도 안 쓰는 '공무원용 카톡', 결국 올 연말 없어진다

송고시간2022-05-22 06:30

beta
세 줄 요약

카카오톡과 비슷한 공무원 전용 모바일 메신저 '바로톡'이 올 연말을 끝으로 7년 만에 없어진다.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같은 민간 메신저 보다 이용이 불편해 공무원들의 외면을 받았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올 연말 바로톡의 운영을 종료하고 민간 메신저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지난 3월 공문을 보내 통보했다고 22일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바로톡' 7년만에 퇴장…보안 강화한 민간 메신저 대신 도입

바로톡
바로톡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카카오톡과 비슷한 공무원 전용 모바일 메신저 '바로톡'이 올 연말을 끝으로 7년 만에 없어진다.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같은 민간 메신저 보다 이용이 불편해 공무원들의 외면을 받았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올 연말 바로톡의 운영을 종료하고 민간 메신저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지난 3월 공문을 보내 통보했다고 22일 밝혔다.

바로톡 서비스 종료는 사실상 예견된 것이었다. 행안부는 2022년 바로톡 개선 사업 예산으로 16억원을 편성했지만,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바로톡을 이용하는 공무원이 거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중앙·지방 공무원 약 49만명 가운데 바로톡 가입자는 23만명으로 절반에도 못 미친다.

바로톡을 실제로 이용하는 공무원은 가입자 수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추산된다.

바로톡은 매년 4억여원이 시스템 유지보수비로 투입되지만 유명무실한 서비스라는 지적이 국회에서 끊이지 않았다.

2020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50개 중앙 부처와 17개 시·도 지자체 공무원 가운데 바로톡에 가입한 비율은 47.2%에 그쳤다. 특히 국가인권위원회(0.8%), 방위산업청(1.4%) 등 가입률이 1% 안팎에 불과한 곳들도 있었다.

바로톡은 공무원들이 메신저를 업무에서 쓰다가 자료가 유출되는 등 보안 문제 발생 위험이 지적되자 2015년 도입됐다.

행안부는 바로톡 사용을 독려하고,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바로톡 사용을 안내하는 순회 교육도 권역별로 실시했다.

하지만 바로톡은 보안이 우선시되다 보니 속도가 느리고 공무원 신분 인증 등 접속 방법이 복잡하다는 등 불편함이 커 이용자를 끌어들이지 못했다.

행안부는 각 기관에 바로톡 설치 실적을 제출하라는 공문을 보내 공무원들에게 반강제적으로 바로톡을 설치하게 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한 공무원은 바로톡에 대한 의견을 묻자 써본 적이 없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어 외부에 있을 때 바로톡의 직원검색 기능 등을 유용하게 쓴다는 동료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면서도 "카카오톡이 공무원들 사이에서도 대세다. 접근성이 좋아 안 쓸 수가 없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올 연말 바로톡 운영을 종료하면서 카카오톡 같은 개인용 메신저가 아니라 카카오워크나 네이버웍스 같이 보안성을 강화한 기업용 메신저를 도입할 계획이다.

ykim@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