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연합시론] 한국형 누리호 발사 성공…독자 기술로 우주시대 연다

송고시간2022-06-21 18:03

beta
세 줄 요약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우주 시대를 향해 힘차게 날아올랐다.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누리호는 21일 2차 발사에서 목표 고도 700㎞에 도달했고 인공위성이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2차 발사 만에 우주 시대를 자력으로 열어갈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는 개가를 올렸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이스트에이드®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힘차게 우주로 비상'
'힘차게 우주로 비상'

(여수=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2차 발사되고 있다. 이번 2차 발사는 한국이 독자 개발한 발사체에 실제 기능을 지닌 독자 개발 인공위성을 실어서 쏘는 첫 사례다. 2022.6.21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우주 시대를 향해 힘차게 날아올랐다.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누리호는 21일 2차 발사에서 목표 고도 700㎞에 도달했고 인공위성이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누리호는 이날 오후 4시께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오후 4시 13분께 3단 엔진이 정지되며 계획된 궤도에 이르렀다. 곧바로 성능검증위성과 위성 모사체가 각각 분리됐다. 2차 발사 만에 우주 시대를 자력으로 열어갈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는 개가를 올렸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오늘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의 기념비적인 순간에 섰다"며 벅찬 감동의 순간을 전했다. 그는 "오늘 오후 4시 발사된 누리호는 목표 궤도에 투입돼 성능검증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궤도에 안착시켰다"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성공을 발표한다"고 말했다.

한국은 실용급 위성을 발사하는 능력을 입증해 보인 세계 7번째 나라가 됐다. 지난해 10월 21일 '미완의 성공'이란 평가를 받았던 1차 발사를 진행한 지 8개월 만이다. 1차 발사 당시 인공위성을 고도 700㎞ 궤도에 올리고 초당 7.5㎞ 속력(시속 2만7천㎞)으로 지구 주변을 안정적으로 돌도록 하는 목표의 완전한 달성은 이뤄지지 못했다. 1차 발사에선 실제 기능이 없는 1.5t짜리 위성 모사체(더미 위성)만 실렸다. 2차 발사에는 우주기술 시험 등 기능을 지닌 성능검증 위성(질량 162.5㎏)이 함께 실렸다. 성능검증위성은 조선대, 카이스트, 서울대, 연세대 학생팀이 하나씩 제작한 초소형 '큐브위성' 4개를 담았고 궤도에 안착한 이후 순차적으로 독자적 임무에 나선다. 2차 발사는 우리로선 실제 기능하는 인공위성을 싣고 쏘아 올린 최초의 사례다. 외국의 기술을 빌리지 않아도 위성을 쏘아 올릴 능력을 갖췄다. 다양한 우주 개발 사업을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다. 스스로 우주 강국 시대를 열어갈 수 있게 된 것이다. 보다 창의적이고 본격적인 우주 개발 시대를 열어나갈 것을 기대해 본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누리호 발사에 노고를 아끼지 않은 연구진과 관계자들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고 싶다.

누리호는 길이 47.2m, 중량 200t 규모의 발사체다. 2010년 3월 개발에 착수했다. 12년여간 250여 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투입됐고 예산은 2조 원에 육박했다.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에 올릴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됐다. 설계부터 운용까지의 전 과정이 국내 기술로 이뤄졌다. 기술 개발은 지난한 과정이었고 시행착오가 없지 않았다. 한국은 1990년대 과학로켓 개발에 뛰어들었고 고체 과학로켓에서 시작해 2003년에는 첫 액체추진 과학로켓 KSR-Ⅲ를 발사했다. 러시아와 공동으로 100㎏급 소형 위성 발사체인 나로호(KSLV-I)를 개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총 3차례 발사했으나 2차례 발사는 실패하기도 했다. 나로호 이후 자체 발사체 개발에 돌입했다. 2018년에는 75t급 액체 엔진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1단 로켓인 누리호 시험발사체(TLV) 발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우주 개발은 끝없는 시련과 도전, 인내의 시간을 견뎌내야 하는 일이다. 발사체 기술은 국가 간 이전이 엄격하게 통제돼 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과 유사해 군사 목적으로의 전용에 대한 우려 때문일 것이다. 기술의 자력 확보만이 유일한 생존법이다. 핵심인 액체 엔진을 비롯해 대형추진제 탱크, 초고온 가스 배관, 발사대 등 주요 부품이 모두 우리 기업과 연구진의 성과물이다. 연구진은 1차 발사의 실패 요인이었던 3단 엔진 조기 연소 문제와 관련해 내부 설비를 보강하며 해결해 냈다. 2차 발사는 당초 지난 16일 예정됐다가 한때 무산되는 곡절을 겪었다. 2차 발사를 앞두고 장마 전선의 영향 가능성 등을 둘러싸고 일말의 불안감이 없지 않았으나 발사 순간까지 기상 상황은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누리호 발사 과정은 생중계되며 온 국민의 주목을 받았다. 우주발사전망대 등 고흥 현지에는 많은 관람객이 방문해 누리호 발사의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